•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difficulty

검색결과 399건 처리시간 0.023초

예비교사들의 원격 PBL 수업에서 몰입에 대한 흥미수준과 학습동기의 매개모형에 미치는 인식된 교육과정 과제난이도의 조절효과 탐색 (Exploring the Moderating Effect of Difficulty in Recognized Curriculum Task on the Mediator Model of Interesting and Learning Motivation on Flow in Distant PBL Classes of Pre-service Teachers)

  • 이은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594-603
    • /
    • 2021
  •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원격 PBL 수업에서 학습자의 몰입에 대한 학습동기와 흥미의 영향을 인식된 과제 난이도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 탐색을 통해서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교육과정 수업을 수강하는 사범학부 학생 105명을 대상으로 원격PBL을 운영하였다. 원격PBL은 실시간 화상 회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협업 활동을 수행하였다. 원격PBL 활동이 종료된 이후에, 학습동기, 흥미, 몰입, 과제난이도 인식 수준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집단 간 비교(test of the structural model invariance across the groups) 분석을 수행하여, 측정모형 간의 경로계수의 차이를 검증하여 과제난이도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몰입에 대한 학습동기의 영향을 흥미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식된 과제난이도 수준에 의해서 학습동기에서 흥미로 향하는 경로가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천체관측 경험 실태 분석 (An Analysis on Astronomical Observation Experience of Elementary Students and Teachers)

  • 한제준;임성만;양일호;채동현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66-174
    • /
    • 2012
  • This study is purposed to survey on astronomical observation experiences of elementary students and teachers. Survey samples are 182 elementary students and 51 elementary teachers, and 8 students and 2 teachers among them are interview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ost elementary students are not interested in observing constellations, planets, and moon. Also most elementary students and teachers are not taught to observe astronomical objects. Finally, regarding the difficulty of astronomical practice, teachers pointed out that lack of knowledge about astronomy.

거꾸로 수업(Flipped Learning)에서 과학 교사들이 겪는 인식과 어려움 분석 (An Analysis of the Perceptions and Difficulties Experienced by Science Teachers in Flipped Learning)

  • 신영준;하지훈;이성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59-166
    • /
    • 2016
  • 과학수업에서의 거꾸로 수업에 대한 이해와 경험을 바탕으로 거꾸로 수업을 적용하는데 겪는 어려움을 면담조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면담자는 서울, 경기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중 거꾸로 수업 경력을 기준으로 과학 교과에 2년 이상 거꾸로 수업을 운영한 경험을 가진 교사와 올해 처음 거꾸로 수업을 운영하기 시작한 교사를 초 중 고 학교급별로 각 1명 씩 총 6명을 선정하였다. 참여한 교사들에게 3단계 면담 조사를 실시한 결과, 초중고 과학 수업에서 거꾸로 수업 수행에 매우 높은 만족감을 나타내었다. 특히 탐구활동에 거꾸로 수업이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교사들은 수업 준비에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수업 구성에 대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거꾸로 수업의 어려움 해결 방안에 대한 탐색으로서 교과서 체제에 대한 논의를 통해 현재의 수업을 개선하는데 다양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초등수학에 대향 예비교사들의 이해: 분수의 곱셈을 중심으로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Elementary Mathematics: Focused on Multiplication with Fractions)

  • 오영열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6권3호
    • /
    • pp.267-281
    • /
    • 2004
  •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이 초등수학에 대한 전문성을 기르는데 필수적인 요인으로써 초등수학에 대한 이들의 이해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분수의 곱셈에 대한 계산, 의미 파악, 문제 상황 제시 및 표상의 측면에서 현재 교육대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대다수의 초등예비교사들은 분수의 곱셈에 대한 계산에는 거의 어려움이 없었으나, 의미파악과 문제 상황 제시에 있어서는 동수누가의 원리가 적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당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마찬가지로, 분수의 곱셈을 그림을 이용하여 표현하는데 있어서도 대다수의 경우 동수누가의 원리가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경우인 승수가 자연수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절한 방식으로 표현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진정한 교직의 전문성은 수업에 대한 전문성에서 비롯되며, 이는 초등예비교사들이 초등수학에 대한 전문성을 확보할 때 비로소 수업관행의 근본적인 변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교실에서의 수학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초등수학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 PDF

조류(鳥類)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및 지도상의 문제점 분석 (Analyses on Primary Teachers' Perception of Birds and Problems of Teaching Birds)

  • 박헌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1호
    • /
    • pp.89-9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n birds and problems on teaching it. For this study, the science textbooks from 3rd grade to 6th grade according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ere analyzed. Results revealed that, firstly, there were 34 bird species recorded and these were described 55 times in the surveyed textbooks. Secondly, the survey showed that $20\%$ of the teachers were interested in birds despite the fact that $98\%$ of them had no special knowledge about birds nor had studied them in college. Additionally, it was revealed that $41\%$ of the teachers felt lacking in specialist knowledge about birds and this lead to difficulties in teaching on this subject. Thirdly, academic backgrounds had an affect teachers' perceptions on teaching this area. The teachers' levels of interest in birds and the teachers' ratio of teaching on this topic tended to increase as their academic careers developed, and the proportion of male teachers in this category were higher than female teachers. To overcome difficulty in teaching on this area, it is suggested that a reconstitution of subject materials, as well as a revision of the teachers' guidebooks be undertaken.

  • PDF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에 대한 교사의 인식 (Teachers' Perception about 'Science Field Trip to Korean Historical Sites')

  • 오경진;조광희;박상우;박승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61-470
    • /
    • 1999
  • 본 연구는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에 대하여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가치, 지도방식, 어려운 점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98 과학교육자 큰모임"에 참석한 현직 교사 및 과학교육자 97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검사도구는 본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되어 과학교육전문가 4인으로부터 안면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은 교육적으로 매우 가치 있다고 응답하였다. 응답자의 다수가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이 한국 문화를 이해하고, 탐구과정기능의 습득에 기여할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발산적 탐구와 협동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며, 통합교과적이고 종합적인 사고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반응하였다. 정규 과학교과 내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과학관련 진로지도 및 생활지도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기존 과학탐방의 지도경험에 대한 조사를 통해 볼 때, 탐방 전 활동이 거의 없었고 탐방 중에는 교사설명 중심의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탐방 후에는 과학기사나 일기 형식의 작문을 주로 하였다. 이에 비해 교사들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의 지도방식은 학생용 탐방자료나 비디오를 통한 탐방 전 활동, 간단한 안내 후 조별 탐구로 이루어진 탐방 중 활동, 탐방결과에 대하여 발표 토론하는 탐방 후 활동을 강조하였다.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의 어려운 점으로 교사들은 교수학습자료의 부족과 거리 비용 및 교통문제, 교사의 경험부족 등을 언급하였다. 또한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과학탐방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과 탐방활동에 대한 정규 교사 연수 과정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 PDF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선택과목 교과서의 수학교사 체감난이도 분석 (The analysis of sensed difficulty on the selective tracks textbooks based on 2007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 이봉주;김창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1호
    • /
    • pp.1-17
    • /
    • 2013
  • The goal of the textbooks of 2009 revised curriculum is to make customized lectures possible considering learning characteristics and understanding level of students. However, it is not easy to find a research result on sensed difficulty of the mathematics textbook, which is able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the diverse level textbooks. This research suggested criteria in analysing sensed difficulties of field teachers on the textbooks, and analysed sensory difficulty on the selective tracks textbooks based on 2007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using the criteri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59 mathematics selective tracks textbooks show that all have average sensed difficulty. The criteria and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in future mathematics textbook development.

Formation of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Skills in Information Environment

  • Dmitrenko, Natalia;Voloshyna, Oksana;Boiko, Anna;Hudym, Iryna;Zelinskyi, Vitali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9호
    • /
    • pp.396-402
    • /
    • 2022
  • The study deals with the problem of the formation of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skills in information environment. The role of reflection as a mechanism of formation of a modern teacher's self-consciousness was cleared up. The technology of formation of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skills was characterized and tested. The main stages of the technology were: a motivational and cognitive stage, a problematic and practical stage, and a reflective and operational stage. The substantiated pedagogical conditions of formation of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skills were adhered. The criterial and evaluativ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on of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skills were worked out: components (reflection of personal conformity, reflection of the psychological and pedagogical barriers, reflection of professional growth); criteria (criterion of consistency, criterion of difficulty, criterion of potential); indicators (cognitive-evaluative, value-motivational, activity-creative). The levels of formation of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skills (insufficient level, acceptable level, and optimum level) were determined. The analysis of students' surveys showed the effectiveness and expediency of using the technology of formation of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skills in the process of professional training.

Teachers' Needs and Implications to Design of an Electronic Performance Support System(EPSS)

  • LIM, Byung Ro;BAEK, Eun-Ok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0권2호
    • /
    • pp.1-27
    • /
    • 2009
  • Technology use can dramatically enhance teachers' performance in teaching and administrative tasks. An Electronic Performance Support System (EPSS) is a versatile tool that could provide just-in-time and on-the-job training when teachers need it. In order to design an effective EPSS for teachers, it is critical to identify their needs. This study used interviews to identify teachers' needs for technology by asking them about their workloads, the difficulty and time demands of tasks, and useful technologie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the design of an EPSS are discussed, including the necessity of an adaptive design of the EPSS.

과학수업에서의 어려움과 해결방안에 대한 과학교사의 인식 -KTOP (Korean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 분석을 이용하여-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Difficulties and Their Resolution in Science Teaching: Using KTOP (Korean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 Analysis)

  • 김학태;박종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11-124
    • /
    • 2023
  • 본 연구는 좋은 과학수업에 대한 과학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과학수업을 관찰하고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KTOP(Korean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을 이용하여, 1차로 KTOP의 각 항목들이 좋은 과학수업을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 어느 정도로 실행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느 정도로 실행하기 어렵다고 생각하는지를 조사하였고, 2차로 실행하기 어려운 KTOP 항목들에 대한 이유와 해결 방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를 조사하였다. 1차로 63명과 2차로 35명의 과학교사로부터 얻은 응답은 응답의 특성에 따라 유형별로 분류하고, 분류한 내용을 요약하여 그 특징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 과학교사들은 1개의 항목을 제외한 KTOP의 모든 항목들이 좋은 과학수업을 위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으나, 실행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실행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하지만 실행하기 어려워 실행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난 13개 KTOP 항목에 대해서는 그 이유를 학생과 교사에게 있는 것으로 많이(69%) 응답하였으나, 어려움에 대한 해결방안은 교사에게서 찾아보려는 응답(60%)이 가장 많았다. 이로부터 좋은 과학수업을 위해서는 외적인 환경보다는 교사들에 대한 이해와 지원, 역량 강화 등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가 과학수업에 대한 교사의 어려움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실제에 기반한 노력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