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strategies

검색결과 488건 처리시간 0.028초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에 대한 사서교사와 사서의 인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Teacher Librarians and Public Librarians about Cooperation between the School Library and the Public Library)

  • 변우열;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75-290
    • /
    • 2015
  •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은 도서관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좋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 써 사서직의 교육적 역할을 신장할 수 있는 전략 중 하나이다. 설문을 통한 사서교사와 사서의 협력에 대한 인식과 실태분석 결과, 사서교사와 사서 모두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이 필요하다는데 공감하고 있으며, 협력이 가장 필요한 분야는 '프로그램'과 '자료'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는 공통적인 이유는 '인식 및 관심 부족'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사서교사는 주로 공공도서관이 운영하는 어린이 청소년 관련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를 학생과 학부모에게 홍보하고 있으며, 공공도서관 사서의 경우에도 프로그램을 학교도서관에 홍보하거나, 교육과정 관련 자료의 구비 및 제공을 사서교사와 협의하고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도서관 간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전문 인력 배치'와 '협의체 운영'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자 커뮤니케이션 행동의 차별적 효과에 대한 연구: 학습자의 성격요인과 커뮤니케이션 특성에 따른 집단간 차이 (Effects of Teacher's Commnunicative Behaviors on Instructor and Class Evaluations: by Student Personalty Traits and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 안호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361-371
    • /
    • 2021
  • 지금까지 교육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주로 교수자에 초점을 두어왔다. 학습효과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교수자 뿐아니라 학습자의 특성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이 연구는 학생들을 성격요인과 커뮤니케이션 특성에 따라 각기 상이한 특징을 갖는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에 따라 교수자의 특성이 교수자 평가 및 수업 평가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에 대해 탐색하였다.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해 대학생들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군집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학생들의 성격요인중 개방성을 제외한 4개요인과 커뮤니케이션 특성을 기준으로 2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집단은 각각 안정-과묵형, 불안-다변형으로 명명하였다. 유형별로 교수자의 특징이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 집단별 회귀분석에서 독립변인의 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논문의 분석 결과는 학생의 성격 요인과 커뮤니케이션 특성 요인에 따라 유형 구분이 가능하며, 각 유형별로 상이한 소통방식과 강의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논문은 교육자 중심의 교육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새로운 방향과 접근방식을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두 초등교사의 과학 수업 지향과 현실의 갈등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A Narrative Inquiry on the Conflict between Science Class Orientation and Reality of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 한문현;윤혜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0권2호
    • /
    • pp.210-22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가 과학 수업과 관련하여 어떠한 지향을 추구하는지, 실제로 마주한 현실은 무엇이며, 그 속에서 어떻게 좌절과 실패를 극복해 나가는지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두 초임교사인 박 교사와 최 교사의 과학 수업 실천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박교사는 학습자 중심의 탐구 수업을 실천하길 원했지만, 현실에서는 교사 주도로 수업을 하게 되는 자신의 모습을 마주하였다. 최 교사는 구성주의에 바탕을 둔 과학 수업을 실천하길 원했지만, 현실에서는 스캐폴더가 아닌 지식 전달자로서의 자신의 모습을 마주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과학 수업에 대한 자신의 지향을 포기하거나 좌절에 머물기보다는 각자가 생각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지향에 다가가려고 노력하였다. 본 연구는 자신의 과학 수업 지향이 잘 구현되지 않을 때 초임교사가 어떠한 전략을 만들어 가는지 이해함으로써 예비교사에서 교사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이끌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의 어림재기 유형 및 전략 분석 (An Analysis on Types and Strategies of Estimation in Measurement in the Textbooks According to 2009 Revised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 박교식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67-28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 취급하는 어림재기 유형 및 전략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차후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으로 다음 네 가지를 제시한다. 첫째,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어림재기 관련 내용을 일치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길이, 들이, 무게, 각도의 어림재기만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교과서에서는 시간과 넓이의 어림재기도 취급하고 있다. 둘째, 교과서에서 어림재기 전략을 다양하게 안내할 필요가 있다. 지도서에서는 어림재기 전략으로 참조대상 사용하기 전략, 덩어리로 나누기 전략, 단위로 나누기 전략의 세 가지를 예시하고 있지만, 교과서에서는 그렇지 않다. 셋째, '어림하다'의 의미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교과서에서 '어림하다'가 어림재기의 맥락으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넷째, 교육과정에서 시간, 넓이, 부피의 어림재기의 취급 여부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Teachers'Positive Play Beliefs and Teaching Efficacy on Play on Teachers' Strategies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 권혜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75-200
    • /
    • 2013
  • 이 연구는 놀이가 영유아의 발달과 학습에서 차지하는 의미와 중요성에 비추어볼 때 교사의 문제행동지도를 놀이지도와의 관련성속에서 탐색해보는 것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교사의 놀이성,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과 문제행동지도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충청남도에 근무하는 어린이집 교사 151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놀이성과 문제행동지도전략, 놀이신념과 문제행동지도전략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 관계에 놀이교수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놀이성은 예방적 문제행동지도전략과 긍정적 반응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놀이신념은 예방적 문제행동지도전략과 긍정적 반응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부정적 문제행동지도전략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은 매개변인인 놀이교수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사의 놀이교수 효능감은 놀이성과 예방적 문제행동지도전략 간의 관계, 놀이성과 긍정적 반응 문제행동지도전략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의사소통 전략 교수를 위한 트위터와 무들 활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Utilizing Twitter and Moodle for Teaching of Communication Strategies)

  • 조인정
    • 한국어교육
    • /
    • 제25권1호
    • /
    • pp.203-234
    • /
    • 2014
  • This paper demonstrates how to incorporate the teaching of communication strategies into a large class of English-speaking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The method proposed here was developed to overcome the difficulty of conducting language activities involving communicative interactions amongst students and also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in a large classroom. As a way of compensating the minimal opportunities for interactions in the classroom, students are given the task of expressing in Korean the English translations of authentic Korean comics via Twitter, which was later replaced with the feedback feature on Moodle, and then their Korean expressions are collected and projected onto a big screen. These collected expressions by students naturally differ from one another, helping students to realize that it is possible for them to express the same message or meaning in many different ways. The results of two separately conducted questionnaires show that this method is an effective way of providing students with significantly increased chances of producing 'comprehensible output' that requires them to think of how to communicate with their limited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Many students also commented that the teachers' feedback on errors provides them with the opportunity to learn about common errors as well as their own errors.

컴퓨팅 사고력 기반 초등예비교사의 수감각 능력 향상 방안 (A Way of Improving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Number Sense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 김해규;김종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343-35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수감각이 요구되는 문제 해결과정에서 초등예비교사들이 선호하는 전략을 분석한 후, 컴퓨팅 사고력에 기반하여 수감각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연구함에 있다. 두 가지 다른 수감각 요소로 구성된 검사지를 이용하여 57명의 초등예비교사들이 선호하는 전략을 분석한 결과, 그들은 수감각 기반 전략보다 규칙기반 전략을 더 선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13][14][20]과 일치하였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분석된 결과와 CSTA와 ISTE(2011)의 9가지 컴퓨팅 사고력 요소를 활용하여 수감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Knowledge Assessment of Teacher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from Applied Behaviour Analysis Perspective

  • Saigh, Budor H.;Bagadood, Nizar 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호
    • /
    • pp.288-294
    • /
    • 2022
  •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knowledge of teachers working with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regarding applied behaviour analysis (ABA). The study was concerned with teachers' knowledge of ABA, its application in the classroom, barriers to its use and desired training opportunities and/or resources to enhance teacher application of ABA strategies in the classroom. Data were collected via an online survey completed by 190 teachers with students diagnosed with ASD in British schools. The results revealed overall knowledge of ABA strategies for classrooms, with only some teachers uninformed about the broad use and some key elements, and general familiarity with skills crucial for applying ABA. Actual knowledge of ABA was found to be high. In terms of application of ABA,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employed a wide range of known strategies. A number of barrier to the application of ABA were noted including a lack of knowledge and training, a lack of administrative support and a lack of time and physical resources. Theoretical knowledge is crucial for practical applications; however, practical training was found to be important to ensure intervention efficacy.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Use of Technology and PBL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rooms

  • LIM, Kyu Yon;LEE, Hyeon Woo;NGUYEN, Hien;GRABOWSKI, Barbara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1권1호
    • /
    • pp.69-9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iddle school teachers' use of technology and problem-based learning (PBL) in their teaching practice. Factors related to teachers' use of technology and PBL are also investigated including: teachers' computer and Internet skills, feelings of preparedness to use the Internet, attitudes toward the use of web resources, pedagogical beliefs,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the use of general teaching strategies. Twenty-seven middle school science, math, and technology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Research results describe the participants as slightly proficient in computer and Internet skills, positive toward use of web resources, and neutral on feelings of preparedness toward use of computer and the Internet. Participants also tended toward constructivist pedagogical beliefs and used various teaching strategies. They, however, reported low science teaching efficacy. Teachers' use of computers and the Internet correlated with pedagogical beliefs and feelings of preparedness toward the use of computers and the Internet. The study also fou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use of PBL and teachers' computer and internet skills, pedagogical beliefs, and the use of general teaching strategies. Also discussed ar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especially for the programs designed to facilitate the use of web-enhanced PBL.

이상화(idealization)에 관한 물리교사들의 인식 (Exploration of Physics Teachers' Perceptions of Idealization)

  • 윤지현;문공주;김성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801-814
    • /
    • 2011
  • 이상조건에 대한 이해는 물리학습능력 뿐 아니라 평가 문제 해결에서도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와 학생들은 그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상화에 대한 국내외 선행 연구도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리학습에서의 이상화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고등학교 물리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담을 통해 이상화에 대한 인식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일대일면담 결과를 통해 교사들의 이상화에 대한 이해와 그와 관련된 수업전략을 알 수 있었다. 교사들은 이상화라는 용어 자체는 잘 알지 못했지만, 이상화와 이상조건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있었으며 과학 수업에서 이상화와 이상조건에 대해 명시적으로 언급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서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때때로 교사들은 이론수업, 실험수업, 평가수업에서 이상화를 제시하거나 응용하여 수업 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상화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하고, 이상화에 대한 교사 교육과 수업 전략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