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effectiveness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28초

임상실습지도자의 효율성 조사와 임상평가도구 개발 (A Survey of Teaching Effectiveness and the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Instrument for Clinical Education)

  • 권미지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4권1호
    • /
    • pp.177-18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linical instruction by students ratings of teaching effectiveness in clinical education.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teaching effectiveness of clinical nursing by Yu and modified evaluation method by Kern and Mickelson. The results were are follows 1. Among the 12 categorial components of clinical teaching effectiveness, the highest satisfaction was 'encouraging to think for themselves' and the lowest was 'attitude of teacher and evaluation' 2. To compare teaching effectiveness between sex, 'resource for student' and 'professional competence'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3. To compare teaching effectiveness among clinical practice stage, 'encouraging' 'role model', 'professional competence', 'organization of subject mater' and 'attitude of teacher and evaluation'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5. Interrater ICCs for evaluation method did no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interitem ICC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article presents goal of clinical education, development of clinical instructor's educational program and a standardized method to measure clinical performance.

  • PDF

교사 중심의 수학적 사고과정을 강조한 수업 효과 분석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Teacher-Centered Instruction Stressed on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es)

  • 김진호;이남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35-53
    • /
    • 2005
  • 본 연구는 교사중심의 수업틀을 유지하면서 학습자의 사고활동을 강조한 대안적인 교수 활동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 수업으로 수업을 받는 학생들은 학업성취도면에서 전통적인 교사중심의 수업을 받은 학생들 보다 우수하였다. 따라서, 대안적인 교수법은 학교 현장에 학생들의 이해를 촉진할 수 있는 교수법이며, 또한 교사 중심의 틀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학교현장에 적용가능한 교수법이다.

  • PDF

창의·인성교육의 현장 실천도 및 효과성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A Study on Analysis of Teachers' Recognition on Field Practice and Effectiveness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 원효헌;박소영;임성민;오정숙;박종운;강버들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5호
    • /
    • pp.1096-110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recognition on field practice and effectiveness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This study used post test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er training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on 451 teach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average in satisfaction of teacher training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was 4.65 for elementary teachers and 4.35 for secondary teachers in summer, and 4.55 for elementary teachers and 4.42 for secondary teachers in winter. Secondly, effectiveness of teacher training on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was showed highly as more than 4.0 and was higher in winter than in summer. Thirdly, in the case of field practice and effectiveness of teacher training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the average of elementary teachers(3,66) was higher in respect of educational environment than that of secondary teachers(3.20) and the averages of elementary teachers and secondary teachers were 3.85 and 3.42 in respect of subject activity, respectively. In practising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it was analyzed that both elementary(ave. 3.89) and secondary(ave. 3.84) teachers went through some difficulties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 program development, and human and physical supports.

교사 산림교육 직무연수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Forest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 이윤주;하시연;최선혜;이연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3호
    • /
    • pp.341-349
    • /
    • 2020
  • 본 연구는 2017년 8월 국립횡성숲체원에서 진행된 교원 산림교육 직무연수에 참가한 유치원 및 초·중·고등학교 교사 46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결과, 직무연수 참여 전과 후에 교사들의 환경감수성과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교사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여,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교사효능감과 관련해 교사의 자신감은 다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교사들이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실질적인 교수역량 개발을 위한 연수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환경감수성과 자연친화적 태도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산림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보다 효과적인 직무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메이커 중심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원 연수 프로그램 효과 및 교사 요구사항 분석 (Analyzing the effectiveness and teachers' needs in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maker-centered education)

  • 박태정;차현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17-129
    • /
    • 2019
  • 본 연구는 메이커 교육에 대한 교원 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메이커 중심 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설계 및 실행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메이커 교육이 교육 현장에 정착하기 위한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구 교육지원청에서 제공한 메이커 교육 교원 연수 프로그램을 연구 문맥으로 설정하고, 5일간 구성된 교사 역량강화 연수 프로그램에서의 효과 분석과 연수 프로그램 후 교사들이 제안하는 메이커 중심 교육의 현장 정착 및 활성화를 요구사항을 도출하고자 양적 및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교육현장에서 혁신적인 교수 방법과 정책을 도입할 때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이 참여한 교원 연수 프로그램의 사례를 통해 교원 양성 프로그램 설계 방향과 메이커 중심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유아교사의 비디오 활용 방법 및 문제점 분석 (Teacher's Use of Video in Early Childhood Programs)

  • 문혁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5-47
    • /
    • 2001
  •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were to examine teacher's guidance over video utility and to investigate problems for video use in the classroom. Two-hundred-ninety-four teachers in half-day and all-day early childhood program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escriptive analysis and chi-square tests were used. Results resealed that teacher's guidance before, during, and after video viewing was not carried out enough for the effectiveness of video teaming. The major problem for using a video in early childhood programs was insufficient video materials. These data were interpreted with respect to teachers'training practices and government policy.

  • PDF

특성화고 교사를 위한 발명.특허 교원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와 개선 방안 탐색 (Evaluation of Teacher Training Program effectiveness and Exploration of improvement for Specialized high-school Teacher in Invention and Patent field)

  • 임윤진;최유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3-39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교사를 위한 발명 특허분야 교원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2015년도 충남대학교 발명교사교육센터가 주관한 특성화고 교사 대상 발명 특허분야 교원직무연수 참여자 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수가 종료된 시점에 직접 설문지를 배부하고 전량(100%)을 회수하였고, 39명중 불성실한 응답자 2명을 제외한 37명을 자료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위한 교원연수프로그램 개발은 문헌연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이루어졌고, 적용에 따른 만족도는 설문지를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교육요구도와 교육만족도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교원 직무연수 개선 방안 연구진에 의해 구안된 교원 연수 평가 모형에 의해 모색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교원을 위한 발명 특허 교원직무연수의 교육요구도는 높았다. 둘째, 개발된 교원직무연수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수 프로그램은 전반적으로 교육효과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연수 프로그램의 엄격한 개선을 위하여 현상유지, 대안탐색, 전략수정, 기대 확장의 4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A Case Study of English Teacher Development through Online Supervision

  • Chang, Kyungsuk;Jung, Kyutae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4호
    • /
    • pp.1-22
    • /
    • 2011
  • Little has been known about the process of the languag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an assumption that anybody who has subject matter knowledge will be a good language teacher. A teacher with rich linguistic knowledge started to question the effectiveness of his online class. The teacher, in collaboration with a teacher trainer, became involved in the critical examination of his online class, seeking for more effective ways of teaching. The trainer provided the teacher with clinical supervision, which is characterized as developmental, collaborative, non-judgemental, interactive, and teacher-centered. The data collected at the multi-facets of the online teaching shows how the process of the teacher's decision-making became principled on the basis of recent developments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and how the teacher has gained pedagogical knowledge through reflection upon his teaching. The feedback from the students reveals that such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is beneficial to student learn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anguag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can take place when they are engaged in reflective teaching and classroom investigation.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process of teacher development can be enhanced through collaborative supervision with trust, openness and congeniality between parties involved.

  • PDF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교사 양성교육의 효과 탐색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using applications)

  • 남기원;이시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19-25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교사 양성교육의 효과를 탐색하고자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실험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교사 양성교육으로 음악창작활동을 구성하였으며, 경기도 A시에 위치한 S대학교 유아교육과 2학년 학생 56명(실험집단 29명, 통제집단 27명)을 대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음악창작활동을 적용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음악적 교수효능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교사 양성교육이 교사역할 수행에 대한 신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21세기의 시대적 변화를 반영한 교육매체로서 어플리케이션을 재조명하고, 교사 양성교육과정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선택형 평가 문항 제작 전문성 향상 연수 프로그램 효과 제고에 대한 사례연구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a mathematics teacher's training program focused on the construction of test items)

  • 최지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2호
    • /
    • pp.193-212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선택형 문항 제작 전문성 향상 연수에 참여한 고등학교 수학교사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평가 문항 제작 전문성 향상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 제고 요인을 밝히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수 한 팀에 교사 5명이 참여하였고 연수 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두 차례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 자료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해 선택형 평가 문항 연수의 효과 제고 요인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로 연수 프로그램 효과 제고 요인은 집중 훈련 가능한 프로그램 구조(소규모 인원의 협력학습, 적정량의 집중적인 훈련), 문항 제작 습관 표면화와 수정(사전과제를 통한 문항 제작습관 표면화, 문항 제작에 대한 즉각 피드백), 교사간 공감대 형성(적극적인 학습태도, 문항 제작 과정 공유), 평가 문항 제작 전문성에 대한 자기 성찰(문항 제작 과정에 대한 반성, 문항 제작 전문성 중 취약점 자각)이었다. 이러한 요인을 바탕으로 평가 문항 제작 전문성 향상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