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burnout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4초

경쟁가치모형에 근거한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의 상호작용효과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Interaction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Nursery Workers Based on Competing Value Frameworks Model)

  • 신영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251-259
    • /
    • 2018
  • 본 연구는 경영학의 경쟁가치모형을 보육직무에 적용하여 교사의 감정노동과 이직의도의 영향관계에서 소진의 조절효과를 융합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어린이집에 종사하는 보육교사 296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V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중심화 기법을 적용한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표면감정노동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내면감정노동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이직의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소진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소진과 내면감정노동의 상호작용효과는 이직의도에 유의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를 관리하기 위하여 보육교사의 소진을 완화시키는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고, 보육현장에서 교사소진과 내면감정노동의 상호작용효과를 활용하여 이직의도를 관리하는 제도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현실충격과 학교소진이 진로탐색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ality Shock and School Burnout on Career Search Self-Efficacy)

  • 이해정;엄세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245-253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의 진로탐색 측면에서 개인적 변인인 학교소진과 환경적 변인인 현실충격이 예비유아교사의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예비유아교사 195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 및 Pearson 적률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현실충격, 학교소진, 진로탐색효능감의 인식수준은 보통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현실충격과 학교소진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 현실충격과 진로탐색효능감, 학교소진과 진로탐색효능감 간에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현실충격, 학교소진이 진로탐색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진로탐색효능감 증진을 위한 교육적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보육교사의 소진, 과학교수불안 및 과학교수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on the Relations Among Child Care Teachers' Burnout, Science Teaching Anxiety,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 백영숙;김동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189-20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on the relations among child care teachers' burnout, science teaching anxiety,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55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in Jollanam-do. The analysis of data was conducted with SPSS WIN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 care teachers' burnout lowered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child car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s a mediating variable, reduced the negativ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burnout on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Second, child care teachers' science teaching anxiety lowered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child car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s a mediating variable, reduced the negativ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science teaching anxiety as an independent variable on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These findings imply there is a need to boost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uring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감정부조화, 직무소진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Burnout on the Psychological Health of the Nursery Teachers)

  • 최광일;이원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4호
    • /
    • pp.669-681
    • /
    • 2016
  • 이 연구는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감정부조화, 직무소진과 정신건강 간의 연관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467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5점 척도로 구성한 측정도구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패키지 IBM SPSS 23과 AMOS 21을 사용하여 유의수준 5%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에 종사하는 보육교사의 감정부조화가 정신건강 하위요인 중 직무스트레스(학부모관계, 업무과부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부조화는 직무소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소진은 정신건강 하위요인인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직무소진은 감정부조화와 정신건강에 대해 부분적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어린이집에서 종사하는 보육교사의 정신건강 증진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제도적 지원을 모색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보육교사 소진의 영향요인에 관한 혼합연구: 메타분석과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Mix Research Regarding Influence Factors of Burnout of Child Care Teachers: Based on Meta-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

  • 김안나;이은희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1-46
    • /
    • 2019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종합적이고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그들의 경험을 심도 있게 파악함으로써 현장에서 보육교사가 겪는 소진에 대해 더욱 심층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메타분석과 심층인터뷰를 활용한 혼합연구방법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소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조직특성의 보호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개입과 예방은 어린이집 조직의 근무환경을 개선하는 등 환경적 접근이 더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또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13개의 주제와 28개의 세부주제가 발견되었는데 메타분석 결과에서 유의미하게 나온 대부분의 요인이 심층인터뷰를 통해 재확인되었다. 그 중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온 하위 요인은 심리적 요인의 자아존중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고 보육서비스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보육환경의 일원화, 보육교사 양성교육과정 및 자격기준 강화, 평가인증제도의 재검토 등을 제언하였다.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소명의식과 학업소진의 관계: 욕구지지적 교수행위와 기본심리욕구 만족의 순차적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perceived teacher's calling and academic burnout: Need-supportive teaching and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s serial mediators)

  • 박상우;박희웅;이수란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8권3호
    • /
    • pp.399-423
    • /
    • 2021
  • 본 연구는 개인이 가진 소명의식이 타인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 근거하여 교사의 소명의식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을 학생 인식을 기반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사의 소명의식이 학생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및 그러한 영향의 기제를 알아보기 위해 대한민국 고등학생 298명을 대상으로 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소명의식과 학생의 학업 소진 간의 관계가 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욕구지지적 교수행위 및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만족에 의해 매개되는지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소명의식과 학생의 학업소진의 직접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소명의식은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욕구지지적 교수행위를 매개로 학생의 학업소진과 부적인 간접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소명의식은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욕구지지적 교수행위(매개변인 1) 및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만족(매개변인 2)의 순차적 매개를 통해 학생의 학업소진과 부적인 간접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함의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하였다.

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원장의 지지, 소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Child Care Teachers' Role Performance, Supervisor's Support and Burnout)

  • 김정희;이용주;김동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175-190
    • /
    • 2014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역할수행, 원장의 지지, 소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경기지역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171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역할수행 질문지(박복매, 2011)와 사회적 지지 설문지(이재영, 2012), 직무소진 질문지(김혜경, 2011)를 사용하였다. 결과 처리를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원장의 지지, 소진 간의 관계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역할수행 전체 및 하위변인들은 소진 전체 및 하위변인들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 원장의 지지 전체 및 하위변인들은 소진 전체 및 하위변인들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역할수행이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은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역할수행의 하위요인인 교육 및 교수활동은 정서적 고갈, 개인적 성취감 감소와 소진 전체에 유의한 부적 영향력을 주었고, 상담 및 정서적 지원은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에 유의한 부적 영향력을 주었다. 셋째, 원장의 지지가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은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물질적 지지는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와 소진 전체에 유의한 부적 영향력을 주었고, 평가적 지지는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에 유의한 부적영향력을 주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보육교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 역할수행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야 함과 원장의 지지를 다각적으로 높여내야 함을 시사 받을 수 있다.

보육교사의 경력 및 소진과 놀이교수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areer, Burnout, and Play-teaching Efficacy on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 김송이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81-499
    • /
    • 2015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경력, 소진, 놀이교수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한 직장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2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1년차 보육교사들이 5~7년차와 8년차 이상의 보육교사들보다 놀이교수효능감은 유의하게 더 낮고 5~7년차 교사들에 비해 직무만족도는 유의하게 더 높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경력과 놀이교수효능감,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교사 경력과 성취감 상실로 인한 소진, 소진과 놀이교수효능감, 소진과 직무만족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의 하위영역별로 차이는 있었으나 대체로 소진, 놀이교수효능감, 교사 경력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을 예측하여, 소진 경험이 적고 교사 경력이 낮을수록 그리고 놀이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교사 경력에 따른 차별화된 접근과, 교사의 소진 경험을 줄여주는 것 외에도 보육일과의 특성상 놀이교수효능감을 높이는 방안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아동학대 의심자로서 보육교사의 경험에 대한 이야기 (Narratives of Innocent Child Care Teachers' Experiences of Being Suspected of Abusing Children)

  • 윤주연;장경은;박지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4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innocent child care teachers who had been suspected of abusing children at child care centers. Methods: Ten innocent child care teachers who had been suspected of child abuse participated in the study.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Data were analyzed using Creswell's analytical framework. Result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ptions of CCTV were positive, while parents' mistrust in CCTV formed the teachers' negative perception of it. Second, the teachers were also withdrawn from their relationships with parents, children, and other employees in child care centers. Finally, they suffered from psychological burnout after they were suspected of child abuse.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to protect teachers' human rights and to prevent relationship dissolution and burnout in traumatic situations.

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es for Selecting a Teaching Profession and Burnou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임원신;김소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559-567
    • /
    • 2017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직무만족도 및 소진의 관계를 알아보고, 교직선택동기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만족도가 가지는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 충남 및 경기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5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하고 불성실한 응답 52부를 제외한 200부가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Cronbach^{\prime}{\alpha}$수를 산출하였으며,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직무만족도 및 소진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단순회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직무만족도 및 소진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무만족도는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직선택동기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직무만족이 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유아교사의 직무만족 향상이 소진의 감소에 도움을 주며, 교직선택동기의 영향을 매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