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recognition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7초

초등예비교사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기반의 소프트웨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oftware Education Program Based on Blended Learning for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 송의성;길준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6권7호
    • /
    • pp.353-36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예비초등교사의 소프트웨어교육을 위해 스크래치를 활용하는 블렌디드 러닝 기반의 소프트웨어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B교육대학교 3학년 2개 반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성하고 설계한 소프트웨어교육 프로그램을 12주 동안 적용하였다. 초등예비교사의 소프트웨어교육에 대한 인식실태 설문과 컴퓨팅 사고력 자가 평가를 실시하여,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이 소프트웨어교육의 인식과 컴퓨팅 사고력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집단의 사후 소프트웨어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이 사전 소프트웨어교육 인식 수준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컴퓨팅 사고력 자가 평가에서도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아 블렌디드 러닝 기반의 소프트웨어교육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과학 영재 관찰.추천 선발 방식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및 개선 방안 (The Teachers' Recognition and a Plan for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on Selection of Gifted Students in Science Using Teachers' Observation and Nomination)

  • 방미선;김용권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2호
    • /
    • pp.169-18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 recognition and to suggest an improvement in the system of teacher's observation and nomination used to selecting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n Science in the Busan Metropolitan School District in 2013 by investigating teachers' recognition of the system and their expressed nee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observed that teachers are of the opinion tha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science gifted students by observation due to their lack of expertise in giftedness and gifted education, the lack of a check list to use, and the difficulty of ensuring the objectivity of the results of the determination. Second, the absence of objective screening tools used for the selection, the selection of gifted students based on their subjective judgment, and the possibility to select students based only on visible manifestations of ability may cause parents to mistrust the system. Thus, institutional support is required to address the concerns of teachers and parents. Third, the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observation, nomination, selection and determination need to be trained. After that, at least one of these teachers should be assigned in each school and training should operate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Lastly, while these things are occurring, the process of observation and nomination of by teachers, which is the basis of pooling gifted students at the level of Busan Metropolitan School District, should be continued.

조리실습에 대한 인식 조사를 기반으로 한 조리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대전.충남 지역 4년제 대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thod to Vitalize Culinary Education Based on Recognition Survey of Culinary Practice - Focused on Universities Located in Daejeon.Chungnam Areas -)

  • 강경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6-139
    • /
    • 2011
  • 본 연구는 조리 관련 학과를 전공하고 있는 일부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리 실습 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을 조사하여 조리교육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성과 학년, 졸업학교 유형에 따른 조리 실습 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은 다음과 같다. 조리 실습 교육의 흥미도와 필요성은 매우 높으나, 조리 실습 교육의 실시 정도에 대해서는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효과적인 조리 실습 교육을 위해서는 이론 교육과 실습시연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호텔요리와 기능사요리에 중점을 두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의 자세한 실습 시연과 보충실습을 할 수 있는 장소가 제공되기를 희망하였다. 변인에 따라서는 남학생과 고학년, 전문계고 출신 학생들이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결론적으로 교육과정에서 실습의 비중을 높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열린 실습실의 운영, 사회 변화를 반영한 교육과정 편성 등을 통해 자기 주도적으로 성취 욕구를 발산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면 조리 실습 교육은 더욱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구강보건교육 진단 (Diagnostic Analysis on Oral Health Education of Primary School's Health Teacher)

  • 김가영;최경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89-197
    • /
    • 2011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구강건강을 담당하고 있는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PRECEDE model을 이용하여 구강보건교육 실태와 요구하는 내용을 파악함으로써 초등학교 구강건강증진을 향상하고자 한다. 광주광역시 초등학교 보건교사 전수 1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1. 행동적 진단에서는 구강보건교육 비중은 10% 이하(58.8%)로 주로 재량활동시간(86.0%)에 이루어지며, 보건교사가 필요할 때 실시(53.5%)하였다. 지난 1년간 시행한 구강보건교육은 78.1%였으며, 학년별로 3학년이 77.2%로 가장 높았으며, 5학년 55.3%, 1학년 50.9%였다. 2. 교육적 진단의 준비 인자에서는 보건교육의 8분야 중 구강보건교육은 4,5순위였다. 다음해에도 계속 수행하고자 하는 사업에서 구강보건교육은 21.9%였으며, 세부주제로 잇솔질, 치아우식증, 치아외상과 응급처치가 80.0%정도 필요하다로 나타났다. 3. 교육적 진단의 실현 인자에서는 매년 구강보건교육 연수 경험율 13.2%, 만족도는 33.3% 였다. 구강보건교육 정보 수집 경로는 교사용 지도서(72.8%), 인터넷(52.6%)였으며, 구강보건교육 자료 수집 경로는 보건교육학회 및 관련단체(56.0%), 스스로 제작(41.0%)순이었다. 4. 교육적 진단의 강화성 인자에서는 정규 교육과정 중 구강보건관련 내용이 부족(46.7%), 교육에 필요한 자료가 부족(30.6%), 교육을 실시 기회부족(21.4%)이 장애 요소였다. 구강보건교육을 활성화시키는데 관련된 요인 중 전문가 초청(43.0%), 선배나 동료 협조 (35.1%)였다. 이상과 같은 결론에서, 구강보건교육 교재, 자료 및 방법이 개발되어야 하며,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구강보건교육을 체계화 시키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공학계열 졸업생의 직무역량에 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about the Job Competency of Engineering graduates)

  • 강소연;최금진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102-111
    • /
    • 2016
  • This study was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Job Competency level of accredited and non-accredited program's graduates. And we were seeking way to manage realistic and effective way of Accredit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survey and FGI were done. The study was: accredited program's graduates thought more positively than non-accredited program's graduates, and graduates felt that 11 Job Competencies Level of Work Performance were lower than the needs of job performanc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etween accredited and non-accredited program's graduates, we could see significant recognition difference about the perception of the needs of job performance. This was because Design curriculum were reinforced and accredited program's graduates had attended design program at accredited program. Second, accredited program's graduates felt higher than non-accredited program's graduates about the perception of level of work performance. This was because the efforts for curriculum reorganizing and teaching methods improvement were done. Third, we could not find significant recognition difference about the perception of the needs for job performance and work level. That was because accredited and non-accredited program were not dealed seperatel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fforts for analyzing job competence of industry and reflecting the program curriculum are needed on the accredited program for engineering education. Second, Government should make the incentive policy about the companies which give some merits to the accreditation graduates, and monitor constantly their real working. Third, in order that the accreditation results can be trustful on staff recruiting or school choosing, accreditation should make outcome-based-evaluation which guarantees competence of graduates.

유아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요인 및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른 유아 문제행동 인식과 지도전략 (Teachers' Recognition and Teaching Strategies for the Behavioral Problems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go-resiliency)

  • 정호경;이시자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347-368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요인과 내적 요인인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라 유아의 문제행동을 인식하고 지도하는데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유아교사의 문제 행동에 대한 인식 정도는 2년제 대학 졸업 이상의 교사 집단이 기타 집단보다, 유치원 교사 집단이 어린이집 교사 집단 보다, 그리고 자아탄력성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유아의 문제 행동 지도 전략과 관련하여 하위 영역에서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교사의 연령과 경력이 많을수록 또한 학력이 높은 경우 긍정적 예방전략 I를 많이 행하였으며 반면 부정적 반응전략은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더 많이 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교사의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른 유아 문제 행동 지도 전략 사용은 모든 하위 영역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여준다. 설명하건대, 자아탄력성이 높은 교사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유아의 문제 행동에 대해 더 많이 긍정적 예방전략과 긍정적 반응전략을 행하고 있는 반면 부정적 반응전략은 자아탄력성 하위 집단의 교사가 상위집단의 교사보다 더 많이 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유아 문제 행동 지도와 관련하여 교사의 연령과 학력 그리고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른 차이를 보여줌으로 이러한 변인을 고려한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사 양성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행복 프로그램이 유아행복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Young Children's Happiness Program Linked with Nuri Curriculum on Young Children's Happiness and Self-esteem)

  • 신지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17-45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young children's happiness program in relation with the Nuri curriculum on young children's happiness and self-esteem. Study subjects included 37 children aged 5 (experimental group 20, comparative group 17) enrolled in A day care center and D day care center located in K district, Seoul. As for the research procedur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48 times in 18 weeks, and the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the children's happiness program linked with the Nuri curriculum. In contrast, the comparative group conducted general activities focusing on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 Nuri curriculum. Study results show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st 9 sub-domains related to young children's happiness (health, emotion, immersion, recognition and achievement, parent-child relationship, teacher-child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spirituality, life satisfaction) and 3 sub-domains related to self-esteem (start and spirit of independence, sociality emotionality,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of this study prove that the children's happiness program in relation with the Nuri curriculum is effective for increasing young children's happiness and self-esteem, and could be used as preliminary data for the possibility of a happiness progra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and happiness education in the future.

논의-기반 모델링 전략을 이용한 일반화학실험에서 글쓰기 대상에 따른 예비화학교사들의 모델링 능력 및 모델링에 대한 인식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Modelling Ability and Perceptions in Science Writing for Audiences of General Chemistry Experiment Using Argument-based Modeling Strategy)

  • 조혜숙;김한영;강유진;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3권6호
    • /
    • pp.459-472
    • /
    • 2019
  • 이 연구는 논의-기반 모델링 전략을 적용한 일반화학실험 수업에서 글쓰기 대상에 따른 과학 글쓰기가 예비 화학교사들의 모델링 능력 및 모델링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이와 함께 예비 화학교사들의 화학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서 사범대학 화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화학교사 1학년 18명을 대상으로 11개 주제의 논의-기반 모델링 전략을 적용한 일반화학실험 수업을 진행하였다. 화학개념 이해는 사전과 사후의 화학개념 이해 검사 점수에 대한 효과크기를 비교하였다. 모델링 능력은 예비 화학교사들이 제시하는 모델을 설명, 표상화, 의사소통의 3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집단의 효과크기를 분석하였으며, 모델링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예비 화학교사의 화학개념 이해와 모델링 능력은 글쓰기 대상인 독자의 수준이 낮은 경우,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글쓰기 대상에 따른 집단에서 모델링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모델링 과정을 경험함에 따라 예비 화학교사들의 응답이 더 구체적으로 변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적장애인의 구강건강관리를 위한 생활재활교사의 치위생 중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ntal hygiene management for mentally retarded person's oral health care of life rehabilitation teacher)

  • 김선숙;윤혜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513-523
    • /
    • 2017
  • 구강보건 관련 취약계층에 해당하는 거주 장애인의 개인위생과 구강위생 업무수행의 어려움의 정도 및 구강보건 수행환경을 알아보고자, 경기도 장애복지 시설 생활재활교사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11부를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주 장애인의 개인위생은 자발적인 칫솔질, 칫솔질 중요도 인식, 자신의 칫솔 찾기와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거주 장애인의 구강위생 수행과 관련한 어려움의 정도는 자신의 칫솔 찾기, 치과 의료기관의 구강검사 여부에서 보통이상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발적 수행정도에서는 잇몸 맛사지, 설탕 함유 식품 자제순으로 잘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발적인 칫솔질을 잘 수행할수록 올바른 칫솔질 방법 등에 대한 교육을 적절하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분 이상 칫솔질과 회전법 칫솔질을 스스로 잘 수행 할수록 구강관리용품을 적절하게 지원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혀 닦기를 잘 수행할수록 담당 장애인의 수는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거주 장애인이 개인위생을 실천하기 어려운 경우, 구강위생 실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생활재활교사 및 장애인에게 지속적인 치위생 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예절교육 자가평가 (The Effects of Service Education for Improvement of Nursing Image)

  • 김명애;이영신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권
    • /
    • pp.7-19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effect of service education that would improve the image of nursing as a qualified nurse. This study was designed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ample was consisted of 274 nurses who was all of the nurses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of service. The education was provided during eight hours a day each group. The program of the education was devided eight sections and each section had it's own individual teacher. The member of each group was consisted of about twenty-five nurse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researchers and was applied two times just at the preeducation and two weeks after the education. The criteria of the developed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two aspects, one was recognizant aspect of service and the other was behavioral aspect of service.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as Chronbach's $\alpha$=0.778. The questionnaire was exammed collected in the morning when the education of the service was started and two weeks after the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s.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spect of recognition of service between pre and post self-evaluation.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spect of behavior service between pre and post self-evaluation.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spect of total sense, score between pre & post self-evaluation. 4.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experience and aspect of recognition of service. The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in the longer clinical experience between nurse's role and service. But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experience and aspect of behavior of service. Through the result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education of service was needed to improve image of nursing as a practical and basic factor for the nurses, even though the education wa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nures's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