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guidebooks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5초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사용지도서 목표 간의 비교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 3~4학년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Alignment between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Teacher Guidebook - Examining Learning Objectives in 2009 Grade 3~4 Science Curriculum -)

  • 나지연;윤혜경;김미정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2호
    • /
    • pp.183-193
    • /
    • 2015
  • Teacher guidebooks are practical and commonly used resources for teachers to deliver the goals and contents of science curriculum in classroom teaching. Thus, the alignment of teacher guidebooks and science curriculum could be critical to undertake the effectiveness of curriculum implication in science classroom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learning objectives of science curriculum are implicated in teacher guidebooks by analyzing the dimension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in learning objectives in both documents. Grade 3~4 learning objectives (82 objectives in the curriculum, 459 in the teacher guidebook, 541 in total) in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eacher guidebooks were coded and analyzed based on the Revised Bloom's Taxonomy. The analysis focused on how the knowledge dimensions and cognitive processes of the curriculum were emphasized and restructured in the teacher guidebooks to examine the coalition between the two important documents. The study found: 1) the learning objectives in Grade 3~4 in both documents were skewed to certain knowledge dimension (conceptual) and cognitive process (understand); 2) there was a high coalition between unit objectives and lesson objectives in the teacher guidebooks, however, relatively low coalition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teacher guidebooks; and 3) learning objectives in the curriculum were delivered in teacher guidebooks in various patterns (similar, detailed, additional, in portion, and the same), and 'detailed' and 'additional' were frequently shown. There also appeared new objectives in the teacher guidebooks, which were not present in the curriculum. The findings in this study could provide some suggestions to the current project of developing 2015 Science Curriculum in regard to understanding the dimension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of learning objectives and their alignments with textbooks and teacher guidebooks.

고등학교 가정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 비교 -주생활 지역을 중심으로- (Content Analysis of Home Economics Teacher’s Guidebooks)

  • 최창숙;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1-79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home economics teacher’s guidebooks of high school. Eight home economics guidebooks are analy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ll eight home Economics teacher’s guidebooks are composed of the former and detailed expositions. The former exposition has six items. Each guidebooks has similarities as well as differences. 2. Detailed expositions of all guidbooks are composed of long units and each long unit has a couple of middle units. 3. The housing contents in eight guidebooks are mostly similar. But there are some sugestions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usability of the teacher’s guidebook.

  • PDF

초등학교 수학 지도서의 교육적 특징 분석틀 개발 연구 (A Development Study of a Framework for Analyzing the Educative Features of Teacher Guidebooks for Elementary Mathematics )

  • 방정숙;박예진;오민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6권4호
    • /
    • pp.277-298
    • /
    • 2023
  • 수학 지도서는 교사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중요한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지도서의 교육적 특징을 다루는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지도서의 교육적 특징(educative features)을 분석할 수 있는 틀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Fuentes와 Ma(2018)가 수학 지도서를 분석하기 위해 개발한 틀인 '수학 교육과정 자원에서 교사 학습 기회(Teacher Learning Opportunities in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s)'에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지도서 각론의 구성적 특성에 따른 단원 전개 흐름을 추가하여 초기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그런 다음 3-4학년 수학의 6개 단원별로 검정 지도서 10종을 적용하여 분석틀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그 결과, 선행연구의 분석틀을 보완 및 확대하였고, 우리나라 지도서의 교육적 특징을 분석할 수 있도록 단원 전개 흐름에 따라 관련 요소를 도출하고 정교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분석틀은 향후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지도서의 교육적 특징을 면밀히 분석하는 데 활용될 수 있고, 교사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지도서의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교과교육학 지식(PCK) 요소 분석 (An Analysis of the PCK Components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books Developed Under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이재원;류고운;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2권5호
    • /
    • pp.386-397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의 화학 영역 단원에 나타난 PCK 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PCK의 하위 요소 중 주제-특이적 전략, 수직 연계, 수업 목표는 대부분의 교사용 지도서에서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었다. 그러나 교과-특이적 전략, 평가 방법, 교육과정 변화는 주로 총론에서만 다루고 있었다. 실험 및 탐구, 평가 문항, 평가 측면은 제시된 내용이나 형태에서 구성주의적 접근이 미흡하였다. 수평 연계와 학생에 관한 지식은 관련 내용이 부족하거나 단순히 목록만 제시되어 있었다. 개념 및 이론은 교사용 지도서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적정 수준을 벗어나는 내용을 일부 포함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용 지도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북한 소학교와 초급중학교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의 교수내용지식(PCK) 요소 분석 (An Analysis of the PCK Components of Science Teacher's Guidebooks for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in North Korea)

  • 정세종;나지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15-427
    • /
    • 2020
  • 본 연구는 북한에서 '2013 제1차 전반적 12년제 의무교육강령'이 시행된 이후에 출판된 소학교 1학년과 초급중학교 1학년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PCK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북한에서 진행되는 과학교육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두 지도서 모두 '과학 내용에 관한 지식'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과학 교수전략에 관한 지식', '과학교육과정 관한 지식'이 뒤를 이었다. 반면에 '과학 평가에 관한 지식', '학생에 관한 지식'은 내용이 현저하게 부족하였다. '과학 내용에 관한 지식'에서는 소학교와 초급중학교 모두 '개념 및 이론'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실험 및 탐구'의 비중도 다른 PCK 요소에 비해서는 상당히 높았다. 북한의 과학과 지도서는 학생에게 과학 개념 및 이론을 전달하거나 탐구 수업을 진행할 때 '토론'을 활동으로 제시함으로써 구성주의 교수 흐름을 표방하고 있었다. '과학 교수 전략에 관한 지식'은 '주제-특이적 전략' 중 '활동 순서 및 방식'을 안내하는 부분이 주를 이루었으며 '교과-특이적 전략'은 극히 일부분만 제시되었다. 또한 북한의 과학과 지도서는 총론과 각론 모두에서 과학교육의 이론적 배경 요소가 거의 제시되지 않았다. '과학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은 '수업 목표'가 주를 이루었고, '수직 연계'와 '수평 연계'도 일부 제시되었다. '과학 평가에 관한 지식'과 '학생에 관한 지식'은 우리나라의 과학과 지도서와 비교했을 때 차지하는 비중이 작았다.

5, 6학년 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도전 수학에 나타난 수학적 사고의 유형 (Types of Mathematical Thinking that Appeared in Challenge Math in the 5th and 6th Grade Math Teacher's Guidebooks)

  • 임영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2호
    • /
    • pp.143-160
    • /
    • 2022
  • 본 연구는 5, 6학년 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도전 수학에 나타난 수학적 사고의 유형을 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교수·학습 내용을 바탕으로 평가 및 육성이 가능한 수학적 사고의 유형을 정리하고, 수학적 사고를 분석하기 위한 틀을 구상한 뒤, 초등학교 5, 6학년 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도전 수학'에 나타나는 수학적 사고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우리나라 초등학교 5, 6학년 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도전 수학'은 계획 수립, 실행의 단계에서는 다양한 수학적 사고를 지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유형의 문제로 구성이 되어있다. 다만 자세한 보조문항으로 인하여 의도된 수학적 사고만이 발현될 것이 우려되며, 스스로 수학적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지는 불분명한 경우가 많았다. 둘째, 교사용 지도서의 문제 이해 단계와 반성 단계의 발문이 매우 전형적으로 제시됨으로써 해당 단계에서는 다양한 수학적 사고를 유발하기 어렵다. 셋째, 교사용 지도서에는 수학적 사고에 대한 명시적 설명이 부족하며 추후 개발될 교사용 지도서에서는 수학적 사고에 대한 명시적 설명을 보완해 주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음악활동에서 활용된 음악작품 분석 (An Analysis of the Musical Works of the Music Activities in Nuri Curriculum Guidebooks for Teachers of 3 to 5 Year Olds)

  • 성인지;정선아
    • 아동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101-123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usical pieces were presented in music activities on the Teacher's Guidebooks in order for young children to experience the aesthetics of music. For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the ways to address musical elements and the music activities of 100 musical works in the Teacher's Guidebooks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aesthetic qualities of the same musical pieces presented by the sound sources were examined. Following this,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used and the aesthetic qualities of the music was carried out by comparing the previous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elody (38.1%), rhythm (29.0%), and timbre (20.5%) were the most utilized elements of musical works in such activities. Secondly, the most utilized method to present music activities was singing. Among 100 musical pieces, 74 pieces used singing activities. Next, the most audible aesthetic quality from sound sources was that of the melody, presented in 69 pieces (46.6%) among 100 musical works. Lastly, among 100 musical works, at least 64 pieces were matched with more than one, whereas 34 did not.

어린이의 지방 섭취 저감화를 위한 교육 콘텐츠 및 교재 개발 (Development of Contents and Textbooks for the Education to Reduce Elementary Students' Fat Intake)

  • 김유경;김주영;차명화;이경애;이성숙;이경혜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8-167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duce children's fat intake and to establish healthy dietary lifestyles. To achieve these goals, we searched, collected, and analyzed the materials related to the fat education, based on which the research personnel-professors and graduate students in nutrition and child educatio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discussed to figure out major topics, objectives, and detailed contents and activities appropriate for fat intake reduction. We also organized an advisory committee composed of 15 professionals in related fields to discuss the adequacy and validity of the specific contents. Finally, we systematically organized the contents and developed children's textbooks and teacher's guidebooks. Considering the different cognitive development stages of junior and senior elementary students we developed two different textbooks for each of them which are easy to read and understand, fun to play with lots of activities, and designed to practice into daily life. The contents cover three major topics-the concept of lipid, lipid in food, lipid in life and are composed of 6 units in total. To help teachers understand and and to instruct, teacher's guidebooks contain an overview of the education, specific information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each class. We developed these education materials with the aim of lowering children's fat consumption and eventually promoting their health welfare; hopefully we expect these materials would be useful for children's nutritional education in the field.

초등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 수업지도안 작성 전략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Lesson Planing Strategie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 장명덕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2호
    • /
    • pp.191-20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trategies used by pre-service elementary science teachers in planning a science lesson. The participants were six senior students from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located in the midwestern area of Korea. Data regarding their planning strategies were gathered through both thinking-aloud and observation.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three of the teachers had little understanding of the necessity of reviewing unit contents or prior learning for planning a science lesson; five student teachers relied heavily on learning objectives presented in teachers' guidebooks without considering their appropriateness; all teachers exhibited an intention of composing different activities or teaching approaches from teachers' guidebooks; only two teachers thought about learners' prior knowledge or understanding levels; five and three teachers had poor understanding of discovery learning models and importance of teacher's questioning, respectively; and five teachers paid little attention to assessment.

  • PDF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유아다문화교육 내용의 연결망 비교 분석: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A Network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according to Transitions of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2009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Guidebooks for Kindergarten and the Nuri Curriculum Teacher Guidebooks for the Age of 3-5)

  • 남미경;윤갑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89-210
    • /
    • 2015
  • 본 연구는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의 연결망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범주를 토대로 UCINET 6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 11권과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32권, 총 43권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각 연령별 생활주제에 연결되어 있는 다문화교육 내용의 밀도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에 비해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가 높았다. 다문화교육 내용들과 연결성이 높은 생활주제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의 3, 4, 5세는 모두 '나와 가족'으로 '정체성 형성' 내용을 중심으로 연결망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3세는 '동식물과 자연', 4, 5세는 '유치원과 친구', '나와 가족'이 '상호작용 및 협동' 내용을 중심으로 연결망을 형성하고 있었다. 둘째, 다문화교육 내용의 하위요소 간 연결 중심성 값이 높은 내용은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의 '문화에 관심 갖기', '유사점과 차이점 알기' 순이었으며,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는 '문화에 관심 갖기', '공동체 의식 함양하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매개 중심성 값이 높은 내용은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의 '다양성 이해하기',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공동체 의식 함양하기'와 '상호작용 및 협력'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유아다문화교육은 '정체성'에서 '상호작용 및 협력'으로 변화되었으며 이는 현재 누리과정에서 다문화교육 내용이 세계시민으로서의 국제적 소양과 역량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앞으로 유아다문화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