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xonomic composition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35초

AFLP에 의한 한국산 새우난초속 식물과 그의 수종 돌연변이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 (Taxonomy of Korean Calanthe species and few of its mutants based on AFLP data)

  • 스리칸스;구자춘;구자정;최경;박광우;소순구;최용국;황성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15-221
    • /
    • 2012
  • 5개의 한국산 새우난초류 즉 새우난초, 한라새우난초, 금새우난초, 여름새우난초, 신한새우난초의 분류학적 및 유전적 유연관계가 증폭길이다형성(AFLP) 자료를 근거로 조사되었다. 위의 5개 분류군 및 노란색에 흰 설엽을 갖는 몇몇 돌엽변이체 등 16 개체가 연구에 사용되었다. AFLP를 통해서 50개의 분자마커가 동정되었다. 다변량분석의 결과는 유전적 다양성이 종내에서 보다 종간에 크게 나타났다. 유전적 비유사성은 다른 분류군에 비해서 YW 돌연변이체들 간에 가장 낮았고, 여름새우난초 개체들 간에 가장 높았다. 돌연변이체들은 주된 유집군의 밖에 유집되었다. 한라새우난초는 새우난초와 먼저 유집되어 유전적 구성이 다른 종보다 새우난초에 더 가까운 것으로 판단된다. 비록 한라새우난초가 새우난초와 금새우난초의 자연잡종에 의해 기원되었다고 하여도 분자 마커, 유집분석 그리고 비유사도 자료를 통해서 유전자이입이 새우난초 쪽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한국산 새우난초류는 유전적 다양성이 있고, 한라새우난초는 새우난초 쪽으로 유전자이입이 있으며, YW 돌연변이체들은 유전적으로 금새우난초에 보다 가깝다.

하구언 건설 전.후의 영산강 하구 식물플랑크톤 군집 및 환경 변화 (Change in Taxonomic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and Environmental Factors after Construction of Dike in Yeongsan River Estuary)

  • 신용식;윤보배
    • 환경생물
    • /
    • 제29권3호
    • /
    • pp.212-224
    • /
    • 2011
  • 서남해에 위치한 영산강 하구는 1981년 12월에 하구언이 건설되기 전까지 전형적인 하구의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하구언이 건설되면서 수질뿐만 아니라 식물플랑크톤이나 동물플랑크톤과 같은 부유생물들의 생물상들도 변화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기존에 보고된 자료와 최근 채집한 현장조사 자료를 토대로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식물플랑크톤 관련 환경인자들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하구언 건설 직후(1984년)의 환경 자료와 최근 자료를 비교 검토한 결과, 담수역에서는 암모늄이 증가하였고, 해수역에서는 표층 용존산소, 아질산염+질산염, 암모늄 농도가 증가하였고 표층 인산염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경우, 담수역에서 하구언 건설 전(1980)보다 최근에 출현한 군집이 다양해졌고, 녹조류의 종수가 감소하였다. 해수역에서는 하구언 건설 직후(1984)보다 최근에 출현한 규조류의 종수가 감소하였고 녹조류나 와편모조류 등의 종수는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하구언 건설 전 후에 공통적으로 출현했던 종은 소수로 최근에 새로운 종들이 동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영산강 하구언 건설 전 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화에 대한 조사 결과는 아직까지 보고된바가 없어,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향후 영산강 하구 생태계를 이해하고 관리하는 데 필요한 정보 및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기물(有機物) 시용시(施用時) 논 토양(土壤)에서 방선균(放線菌)의 형태(形態) 및 생리학적(生理學的) 특성(特性) (Studies on Some Physi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ctinomycetes in Paddy Soil applied Organic Materials)

  • 박경수;박열;류진창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7-84
    • /
    • 1987
  • 볏짚 퇴비(堆肥) 및 무기질비료(無機質肥料)를 시용(施用)한 논토양(土壤)의 포장조건(圃場條件)에서 방선균(放線菌)의 군락(群落)을 경시적(經時的)으로 계수(計數)하고, 이들 분리균주(分離菌株)들의 형태적(形態的) 및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과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상에서 균(菌)의 포자체(胞子體) 형태(形態)를 관찰(觀察)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방선균(放線菌)의 균수(菌數)는 $2.1{\times}10^6$에서 $7.4{\times}10^7$ 의 범위(範圍)로 무기질비료(無機質肥料)보다 퇴비(堆肥) 시용시(施用時) 많았으며, 연중(年中) 방선균(放線菌)의 경시적(經時的) 군락(郡落)은 1월(月)과 9월(月)보다 6월중(月中)에 채취(採取)한 토양(土壤)에서 많았다. 2. 분리(分離)한 250개(個) 균주(菌株)의 방선균(放線菌)을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으로 구분(區分)한 결과(結果) 21개군(個群)으로 분류(分類)되었으며, 이들 각군(各群)들중 Streptomyces 속(屬)은 15개군(個群)의 87.2%, 그리고 non-Streptomyces 속(屬)은 6개군(個群)의 12.8%로 확인(確認)되었다. 또한 전체(全體) 분리균주(分離菌株)중 포자체(胞子體)의 Spiral Chain 형태(形態)의 Streptomyces 속(屬)이 80%로서 우점하였다. 3. Streptomyces 속(屬)의 15개군(個群)을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상에서 포자체(胞子體)의 표면형태(表面形態)를 관찰(觀察)한 결과(結果) 3개군(個群)은 spiny 형태(形態)를 보였고, 12개군(個群)은 smooth 형태(形態)를 갖는 것으로 동정(同定)되었다.

  • PDF

식물역병균 Phytophthora spp.에 특이 길항균인 YNB54 균주의 분류 (Taxonomy of a Soil Bacteria YNB54 Strain Which Shows Specific Antagonistic Activities against Plant Pathogenic Phytophthora spp.)

  • 김삼선;권순우;이선영;김수진;구본성;원항연;김병용;여윤수;임융호;윤상홍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01-108
    • /
    • 2006
  • Phytophthora sp.의 균사성장을 특이적으로 저해하는 토양 미생물인 YNB54 균주의 정확한 분류적 위치를 밝히기 위해 Biolog GN2, API 20E와 같은 상업적 생화학 kit, 16S rDNA, DAN-DNA hybridization, GC함량, MIDI 등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다양한 생화학적 kit를 사용한 동정 결과는 이 균주가 다른 어떤 종보다 Enterobacter cloacae와 E. cancerogenus에 보다 더 가까움을 보여주었다. 또한 DAN-DNA hybridization, GC함량, MIDI 분석의 결과들 역시 다른 속 (Citerobacter, Klebsiella, Leclercia)보다 Enterobacter 속에 더 유사함을 암시해 주었다. 그러나 16S rDNA분석에서 이 균주는 Citrobacter freundii(99.4%)와 동일 그룹으로 구분되었지만 Enterobacter, Leclecia, Klebsiella 속 등과도 98%이상의 상동성을 보여주는 polyphyletic 특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YNB54의 분류 동정을 위한 우리의 조사들은 이 균주가 유전적으로 다양하고 지금까지 아는 것보다 분류학적으로 더 복잡함을 암시해줌에도 불구하고 Enterobacter속임이 가장 유력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Lung Microbiome Analysis in Steroid-Naïve Asthma Patients by Using Whole Sputum

  • Jung, Jae-Woo;Choi, Jae-Chol;Shin, Jong-Wook;Kim, Jae-Yeol;Park, In-Won;Choi, Byoung Whui;Park, Heung-Woo;Cho, Sang-Heon;Kim, Kijeong;Kang, Hye-Ryu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9권3호
    • /
    • pp.165-178
    • /
    • 2016
  • Background: Although recent metagenomic approaches have characterized the distinguished microbial compositions in airways of asthmatics, these results did not reach a consensus due to the small sample size, non-standardization of specimens and medication status. We conducted a metagenomics approach by using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RFLP) analysis of the induced whole sputum representing both the cellular and fluid phases in a relative large number of steroid $na{\ddot{i}}ve$ asthmatics. Methods: Induced whole sputum samples obtained from 36 healthy subjects and 89 steroid-$na{\ddot{i}}ve$ asthma patients were analyzed through T-RFLP analysis. Results: In contrast to previous reports about microbiota in the asthmatic airways, the diversity of microbial composi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s and asthma patients (p=0.937). In an analysis of similarities, the global R-valu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a very low separation (0.148, p=0.002). The dissimilarity in the bacterial communities between groups was 28.74%, and operational taxonomic units (OTUs) contributing to this difference were as follows: OTU 789 (Lachnospiraceae), 517 (Comamonadaceae, Acetobacteraceae, and Chloroplast), 633 (Prevotella), 645 (Actinobacteria and Propionibacterium acnes), 607 (Lactobacillus buchneri, Lactobacillus otakiensis, Lactobacillus sunkii, and Rhodobacteraceae), and 661 (Acinetobacter, Pseudomonas, and Leptotrichiaceae), and they were significantly more prevalent in the sputum of asthma patients than in the sputum of the controls. Conclusion: Before starting anti-asthmatic treatment, the microbiota in the whole sputum of patients with asthma showed a marginal difference from the microbiota in the whole sputum of the controls.

한글대장경에 기록된 관속식물의 분포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Recorded in the Hangul Tripitaka)

  • 박희준;백원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76-587
    • /
    • 2014
  • 한글대장경을 기준경전으로 하여 불교경전에 기록된 여러가지 다양한 식물 명칭을 한국 국명으로 정리하고, 학문적인 분류를 통한 실체를 확인하여 향후 불교식물 연구에 기초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분포 조사를 통한 외국 원산의 불교경전 속 식물에 대한 국내 도입경로를 추정하고, 불교경전 속 식물들의 용도와 기능 및 역할 분석을 통하여 자원식물로서의 가치를 찾는 계기를 만들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불교경전에 기록된 식물 명칭을 추출하여 분류학적 종 분류 및 계급분석 결과 107과 244속 313종 1아종 16변종 1품종 등 총 331종류로 나타났다. 331종류 식물들의 종 조성은 양치식물은 2종류, 겉씨식물 15종류, 쌍떡잎식물 261종류, 외떡잎식물 53종류 등이며, 이 중 목본 183종류, 초본 148종류로 분석되었다. 331종류 식물들의 분포 분석결과 인도가 차지하는 분포지 비중 8.9%에 비하여 한중일 3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한국 10.5%, 중국 10.9%, 일본 10.0%로 인도의 8.9%보다 높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한글대장경에 한 중 일 3국을 자생지로 하는 식물이 다수 출현하는 것은 인도로부터 경전이 중국으로 전래된 후 중국에서 많은 식물들이 추가되거나 대체되었고, 이 경전이 한반도로 전래된 후에 한반도의 식물들로 대체되거나 추가되었기 때문이다. 한글대장경에 기록된 식물들 331종 중 한국에서 자생하는 식물들 119종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은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 한다.

16S rDNA 염기서열에 의한 청정지역 및 공단지역 내 식물잎권의 내산성세균 군집의 다양성 (Diversity of Acid-Tolerant Epiphytic Bacterial Communities on Plant Leaves in the Industrial Area and the Natural Forest Area Based on 16S rDNA)

  • 정필문;신광수;임종순;이인수;박성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65-272
    • /
    • 2001
  • 깨끗한 대기가 유지되는 청정지역 및 산성강하물의 영향을 받는 공단지역에서 자라는 떡갈나무(Quercus dentate Thunb.) 잎표면에서 분리한 내산성세균 배양으로부터 16S rDNA를 추출하여 모두 444개의 clone을 얻었으며, 이를 대상으로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을 실시한 결과 총 17종류의 계통형 (phylotype)이 나타났다. 두 지역에서 나타난 대표적인 내산성 잎권세균 군집은 매우 단순하여 ${\gamma}$-Proteobacteria와 low-G+C gram-positive bacteria의 2개 group이었다. 식물 잎의 나이가 들수록 내산성 잎권세균 계통형의 다양성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내산성 잎권세균 군집 구조는 $\gamma$-Proteobacteria에 속하는 Pseudomonas group과 Enterobacteriaceae, 그리고 low-G+C gram-positive bacteria 즉 Bacillus/Clostridium group에 속하는 Streptococcaceae와 Staphylococcus group이 우점하였다. 산성강하물에 따른 내산성 잎권세균 군집 구조의 변화는 상위 계통분류군(subphylum 수준)에서는 뚜렷이 볼 수 없었지만 보다 하위분류군에서 볼 때 $\gamma$-Proteobacteria의 Xanthomonadales group은 공단지역에서만, 그리고 $\alpha$-Proteobacteria의 Acetobacteraceae는 청정지역에서만 각각 검출되었으므로 이들 세균집단을 산성강서만, 그리고 $\alpha$-Proteobacteria의 Acetobacteraceae는 청정지역에서만 각각 검출되었으므로 이들 세균집단을 산성강 하물에 대한 지표세균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남겨 놓았다.

  • PDF

갈색퍼짐병 발병토양의 미생물 군집 분석 (Soil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in Large Patch (Rhizoctonia solani AG2-2 IV))

  • 이정한;민규영;전창욱;최수민;한정지;심규열;곽연식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2호
    • /
    • pp.124-128
    • /
    • 2015
  • 갈색퍼짐병은 토양 병원성균으로 Rhizoctonia solani AG2-2 IV가 원인균이다. 한국잔디나 버뮤다글라스와 같은 난지형 잔디에 가장 중요한 병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갈색퍼짐병 발병토양의 미생물 군집 분석으로 생물적 방제제로 이용할 근거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갈색 퍼짐병의 중심부(CLC)와 가장자리(CLE), 건전부(CLH)에서 채취한 근권부 토양의 미생물 군집(bacterial composition)을 Metagenomics 데이터 분석으로 Phylum 수준에서 조사한 결과 미생물상은 Proteobacteria, Acidobacteria, Chloroflexi, Firmicutes, Planctomycetes, Gemmatimonadetes, Nitrospira, Cyanobactria, Verrucomicrobia, Bacteroidetes 등의 순으로 분포 경향은 모두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Actinobacteria의 경우 중심부에서 9.28%, 가장자리에서 10.84%로 건전부에서의 16%에 비하여 5~6% 정도 높은 비율로 분포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Phylum 수준에서 중복되는 미생물의 종류를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중심부에서는 총 6,948 OTUs가 분포하였으며 가장자리와 건전부에서는 각각 6,505와 5,537 OTUs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ctinobacteria의 경우 중심부의 총 OTUs는 615였으며 가장자리와 건전부는 709와 891 OTUs로 나타났다. 또한 모두 중복되는 OTUs도 382로 높게 나타났으나 서로 중복되지 않는 OTUs는 건전부에서 286으로 중심부와 가장자리가 91과 126 OTUs인 것에 비하여 2~3배 이상으로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Gut Microbiota Community and Its Assembly Associated with Age and Diet in Chinese Centenarians

  • Wang, Fang;Yu, Ting;Huang, Guohong;Cai, Da;Liang, Xiaolin;Su, Haiyan;Zhu, Zhenjun;Li, Danlei;Yang, Yang;Shen, Peihong;Mao, Ruifeng;Yu, Lian;Zhao, Mouming;Li, Quany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8호
    • /
    • pp.1195-1204
    • /
    • 2015
  • Increasing evidence suggests that gut microbiota underpin the development of health and longevity. However, our understanding of what influences the composition of this community of the longevous has not been adequately described. Therefore, illumina sequencing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gut microbiota of centenarians (aged 100-108 years; RC) and younger elderlies (aged 85-99 years; RE) living in Bama County, Guangxi, China and the elderlies (aged 80-92 years; CE) living in Nanning City, Guangxi, China. In addition, their diet was monitored using a semiquantitative dietary questionary (FFQ 23). The results revealed the abundance of Roseburia and Escherichia was significantly greater, whereas that of Lactobacillus, Faecalibacterium, Parabacteroides, Butyricimonas, Coprococcus, Megamonas, Mitsuokella, Sutterella, and Akkermansia was significantly less in centenarians at the genus level. Both clustering analysis and UniFraq distance analysis showed structural segregation with age and diet among the three populations. Using partial least square discriminate analysis and redundancy analysis, we identified 33 and 34 operational taxonomic units (OTUs) as key OTUs tha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ge and diet, respectively. Age-related OTUs were characterized as Ruminococcaceae, Clostridiaceae, and Lachnospiraceae, and the former two were increased in the centenarians; diet-related OTUs were classified as Bacteroidales, Lachnospiraceae, and Ruminococcaceae. The former two were deceased, whereas the later one was increased, in the high-fiber diet. The age and high-fiber diet were concomitant with changes in the gut microbiota of centenarians, suggesting that age and high-fiber diet can establish a new structurally balanced architecture of gut microbiota that may benefit the health of centenarians.

양송이 배지로부터 분리한 Bacillus licheniformis CY-24의 섬유소분해 효소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ibrinolytic Enzymes of Bacillus licheniformis CY-24 Isolated from Button Mushroom Compost)

  • 민경진;박혜성;이은지;이찬중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99-209
    • /
    • 2021
  • 본 연구는 양송이 배지의 관행 발효기술을 개선하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양송이 볏짚 배지 발효단계에서 우점하는 Bacillus strain CY-24 균주를 순수분리하여 16S rDNA 염기서열을 통한 동정 결과 Bacillus licheniformis로 밝혀졌다. B. licheniformis 최적 생육 온도는 30℃, 최적 생육 pH는 6.0에서 가장 생육이 활발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B. licheniformis CY-24 균주는 glycerol, glycogen, L-arabinose, D-ribose, D-xylose, D-galactose, D-glucose, D-fructose, D-mannose 등의 탄소원을 잘 활용하였고, 효소활성 측정 결과 esterase, leucine arylamidase, acid phosphatase, β-glucosidase 등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CMCase 활성 온도는 50℃, PGase는 60℃에서 가장 효과가 극대화되었으며, CMCase, PGase 두 효소는 60℃ 이상에서도 안정성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금속이온의 촉매 효과는 CoCl2 1mM에서 가장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B. licheniformis CY-24의 효소학적 특성은 매우 우수하였으며, 양송이 재배에 사용되는 배지를 생산하는 과정에 효소의 작용은 볏짚의 발효 촉진과 연화 작용에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유용생물자원으로써 발효기술에 대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다양한 미생물과 버섯균의 상호작용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유용한 자원으로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