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stainable participation

검색결과 314건 처리시간 0.024초

국내 계획공동체 마을의 주민참여의 실태 및 특성 (Actual Condition and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Participation of Intentional Communities in Korea)

  • 최정신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93-102
    • /
    • 2008
  • In Korea, a movement for forming intentional communities is gathering people's interests to improve individualistic living environment, and to create a humanistic lifestyle.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if its management is successful or not, because intentional community is just in the experimental stag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ctual condition of residents' participation in forming process, shared activities in their daily lives, residents' regulation, common facilities and its management in order to offer basic information for revitalization of intentional communities in Korea. 7 intentional communities including eco-friendly villages, religious communities and a cooperative housing community were collected as the study objects. Upon analysis, those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purpose of establishment; "HC (Housing-life focused Community includes cooperative housing community and eco-friendly community)" and "IC (Ideology focused Community includes ideology community and religious community)" in order to identify difference in residents' participation between the two groups. In-dept interviews with representatives of 7 intentional communities by a structured questionnaire were used as study metho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general, more active residents' participation is identified in ICs than in HCs. There is no common house, which is considered as essential in intentional community, in HCs, while it was facilitated in all ICs. Role of leader seems more important in ICs than in HCs. About the ownership of housing and land, private owned is common in HCs, while community owned is common in ICs. Shared activities and residents' regulations are evidently less in most HCs than in ICs. Furthermore, in order to run a community sustainable, it is crucial to encourage sense of community among residents, and developing common house and activity programs. Common house design, which can promote proactive residents' participation in shared activity should be studied fitted to Korean circumstances. Above all, proactive participation in the shared activiti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intentional community.

스마트도시사업 단계별 시민참여 수준 진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vel of Citizen Participation in Smart City Project)

  • 박지호;박정우;남광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28
    • /
    • 2021
  • 글로벌 스마트도시 추진 동향을 기반으로 2018년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국내 스마트도시 정책의 방향과 관련하여 '지속가능성'과 '사람중심'을 핵심 키워드로 선정하였다. 이에 따라 국내 스마트도시사업 추진단계별로 적극적인 시민중심의 혁신 방법론인 리빙랩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있다. 스마트도시는 리빙랩을 통해 시민이 중심이 되어 지역문제를 발굴하고, 공공·전문가와 함께 시민의 니즈(Needs)를 반영한 해결방안 도출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문제 해결방안 및 지역발전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 운영된 도시재생사업과 비교할 때 스마트도시사업의 시민참여는 그 수준이나 지속가능성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추진된 스마트도시사업에서 수행한 리빙랩 프로그램 사례를 대상으로 도시재생사업 단계별 시민참여 특성과의 비교 분석과 Arnstein의 '참여의 사다리' 모형을 기준으로 한 시민참여 활동 수준진단을 수행하였다. 진단결과, 스마트도시사업에서 수행된 리빙랩에 나타난 시민참여 활동은 스마트도시서비스의 선정이나 해결책 구성 등에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권한을 기반으로 지역주민의 수요에 맞는 스마트도시서비스를 선택하고 지역에 맞는 서비스의 기술수준이 결정되는 데 큰 영향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스마트도시 구축사업만을 위한 단발성 성격의 시민참여단 모집으로 사업 종료 후 에는 대부분의 시민참여활동이 중단되고 있었다. 이에 반해 도시재생사업의 시민참여 활동은 지역공동체 중심으로 사업 계획 단계부터 사업 종료 후 운영단계까지 지속적인 운영·관리 방안이 도출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도시재생사업과 스마트도시사업간의 시민참여의 특성 비교와 수준진단을 통해 보다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 구현을 위한 시민참여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학교 환경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학교의제 21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School Agenda 21 to Activate Environmental Education)

  • 박하나;남영숙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8권2호
    • /
    • pp.23-3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chool Agenda 21 to activate environmental education at schools. In detail,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operating procedures, major issue areas or domains, and instructions on the preparation for School Agenda 21. School Agenda 21 means the action plan which students, teachers, parents, and other concerned parties (including office of education, local municipal bodies, and NGOs) write under agreement with respect to their respective roles in order to activate environmental educations oriented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operating procedures for School Agenda 21 consist of seven steps; organization, diagnosis of problems, setup of targets or objectives, development of codes of behavior, system establishment, practices and reviews, and evaluation and feedbacks. Second, major issue areas for School Agenda 21 are classified into six; school management, class operation, independent subject activity, separate subject activity, non-subject activity, and external relations of school. Third, instructions of the preparation of School Agenda 21 address these 10 concepts; balance, unification, continuity, daily routine, linkage, environmental justice, participation, peculiarity of schools and classes, regional peculiarity, and concreteness, which consider 7 principle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levels of learners, regional features, and concreteness. School Agenda 21 developed from this study converts existing environmental education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environmental education, and developed for the purpose to activate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but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are realizing sustainable society, sustainable future to realiz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o School Agenda 21 is expected to important performance way making possible Local Agenda 21, National Agenda 21, Agenda 21 as if education, public recognition and discipline contents of the 36 chapter of Agenda 21.

  • PDF

지속가능한 사회기술시스템으로의 전환과 백캐스팅: 네덜란드의 지속가능한 교통.식품.가정 시스템 전환 사례를 중심으로 (Transition to Sustainable Socio-technical System and Backcasting: The case of sustainable transportation, foods, household system transition in the Netherlands)

  • 성지은;정병걸;송위진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81-116
    • /
    • 2012
  • 지속가능성이 전 지구적인 화두로 등장함에 따라 이를 목표로 한 시스템 전환 노력이 기후 에너지 주거 교통 바이오 등 다양한 영역에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전환과 그 관리의 수단으로 주로 활용되는 백캐스팅 사례로 네덜란드의 지속가능한 교통 식품 가정 시스템 전환 정책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네덜란드는 지속가능한 교통 식품 가정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시도하면서 현재의 상태에서 출발하는 점진적 변화 방식을 벗어나 지속가능한 미래 상태에 도달하기 위한 전향적인 정책 수단을 강구하여 왔다. 이 과정에서 과학기술 전문가뿐 아니라 인문사회과학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다학제적 연구를 강조하고 있으며, 시나리오의 개발 및 평가 등의 과정에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참여시킴으로써 시민사회의 지식과 과학기술전문가들의 지식 융합을 추구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사회 및 정책 전반에 걸쳐 새로운 경로를 창출해야 하는 시스템 전환의 상황을 맞이하고 있는 만큼 다양한 주체의 합의에 기반을 두면서도 관련 정책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참여형 백캐스팅 관점의 도입이 필요하다.

  • PDF

우리나라 대학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가능성과 과제 - 교육 과정 파트너쉽, 지속가능한 대학 경영을 중심으로 -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i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Korean Universities - Focused on Curriculum, Partnership, and Sustainable University Management -)

  • 이선경;주형선;김남수;김찬국;장미정;권혜선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4권1호
    • /
    • pp.88-101
    • /
    • 2011
  •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current status of ESD(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Korean universities since UN DESD was launched in 2005,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in them.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s and case studies on members of university communities which were engaged in green campus activities or interested in SD and ESD.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s showed that most of those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 were well aware of SD, but had comparatively low understanding of ESD. The highest number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since 2005 they had newly opened courses on SD or ESD, or added contents on SD or ESD to existing ones. Ratio of network participation among ESD-related universities was over 30%, and they appeared to have the highest partnership ratio with NGOs. Not many universities had policies for sustainable school management, and 'green space conservation and ecosystem protection' and 'energy and resource saving campaign and monitoring' were most common sustainable environment protection activities. Through case studies on eight universities, it was discovered that ESD programs in universities took various forms such as whole-university approaches, participatory courses and club activities. We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make efforts to find out good examples of ESD in Korean universities and share the results with university leaders, professors and staffs for further development of ESD.

  • PDF

미얀마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이슈 및 트렌드 분석: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A Sustainable Development Issues and Trends in Myanmar: A Text Network Analysis)

  • 표수뙤;정의범;이돈희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105-122
    • /
    • 2024
  • 본 연구는 미얀마의 지속가능발전 지수는 2018년부터 2020까지 3년간 증가하였지만, 2021년부터는 지속가능발전 지수가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미얀마의 지속가능발전 성공 요인과 저해(방해) 요인을 분석하고자한다. 2018년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미얀마'와 '지속가능성'이라는 키워드를 활용하여 뉴스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미얀마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성공요인(예, 해외 투자 유치, 민간 기업의 참여노력, "인적자원 개발 프로젝트, 신재생 에너지 활용 등') 및 저해요인(예, 정부의 강압적 정책, 노동권 침해, 삼림훼손 등)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미얀마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현황을 학문적 실무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데 활용될 수 있으며, 국가적 차원에서 지속가능발전 실천을 위한 방향을 수립하고자 할 때 정책 입안자 및 유사 국가에서 벤치마킹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미국 외부공간 친환경 인증(SITES) 사례분석을 통한 친환경 조성기법 및 평가체계 연구 (A Study on Sustainable Outdoor Design Strategies and Assessment System through Analysis of SITES Certified Projects)

  • 이형숙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56-64
    • /
    • 2016
  • 친환경 건축물만이 아닌 지속가능한 대지개발 및 외부환경 조성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미국에서는 기존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인 LEED와는 별도로 Sustainable Sites Initiative(SITES)라는 인증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유형의 외부공간의 친환경 요소들을 평가하고, 개발 전 과정동안 지속가능하고 통합적인 디자인이 실현되도록 유도하고 있다. 본 연구는 SITES 인증을 획득한 프로젝트들의 구체적인 친환경 전략과 적용기술 등을 분석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외부공간 조성기법과 평가체계를 검토하고, 국내 외부환경 친환경 평가체계의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SITES 인증을 받은 텍사스 지역 세 대상지의 친환경요소 분석결과, 건축물 중심의 친환경 인증과 달리 토양, 식생, 물 보전 등 조경분야에서의 다양하고 실질적인 친환경 전략과 방법들이 적용되고 있었다. 또한 인증과정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력하고 소통하는 통합적 디자인과 주민들의 참여가 이루어지고, 환경교육 및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외부환경 및 녹지의 친환경적 평가기준이 부족한 현실에서 국내 상황에 적합한 현실적이고 실효성 있는 외부환경 친환경 인증 및 평가체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는 향후 이러한 논의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융복합형 노사갈등이 노조참여행동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onvergence-type Conflict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on Union Participation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

  • 한진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69-78
    • /
    • 2015
  • 노사관계는 향후 융복합 글로벌환경에서 기업들이 지속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반드시 풀고 가야할 핵심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융복합형 노사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노조참여행동의 매개효과 검증해 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자료의 수집은 대전시, 충청남 북도에 위치한 중소기업의 종업원 491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사갈등이 노조참여행동에 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조참여행동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조참여행동은 노사갈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조지도부가 노조원들의 이익과 욕구에 민감히 반응하고 이를 통하여 노조의 필요성과 가치를 지속적으로 제고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Ocean energy in Indian coasts and islands for sustainability-A roadmap for future

  • Dauji, Saha
    • Advances in Energy Research
    • /
    • 제5권4호
    • /
    • pp.305-320
    • /
    • 2017
  • Limited quantity and non-uniform distribution of fossil fuel over the world, along with the environmental concerns of increasing $CO_2$ emissions, indicate that gradual and planned switchover to the sustainable energy sources is the need of the day. Ocean energy is well-distributed over the coasts, abundant, renewable and available in the form of wave energy, tidal energy and thermal energy. India has gathered precious experience from the pilot plants utilizing these methods over the last few years. One of the main constraints is deemed to be the grid connectivity. Time has come to transform this limitation into opportunity. Ocean power can be a very suitable option for the coastal belts and the islands. Implementation of this concept would require large-scale industry participation along with favourable government policies in the coming years. This article attempts a review of the ocean energy initiatives in India and proposes a roadmap for the future.

창의와 인성 함양을 위한 수업척도 고찰에 관한 연구 - 중등 수학 수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Criteria for Lessons that Build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 Focused on Secondary Mathematics Classes -)

  • 이은주;이재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2권1호
    • /
    • pp.1-14
    • /
    • 2013
  • This study focuses on the criteria for lessons that develop secondary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in mathematics classes. Literature used in this study is related to the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 (e.g., Core competenci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onstructivism education) and intent of the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Lesson criteria for developing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include educational content associated with the real-world contexts, use of tools and resources, activ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problem-solving skills, teachers' attitudes, and the classroom environment. This study suggests ways to implement mathematics lessons that build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