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n-dried salt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35초

GS/MS 분석에 의한 천일염의 향기성분 (Aroma Profiling of Sun-dried Salt by GC/MS Analysis)

  • 나종민;김영섭;김세나;김정봉;김행란;조영숙;윤향식;김소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092-1098
    • /
    • 2012
  • 바닥소재에 따른 천일염의 향기성분은 네 가지 종류의 천일염에서는 4-methyl-2-pentanone, 5-methyl-3-hexanone, 4-methyl-3-penten-2-one, 2-hexanol, benzothiazole, 2,4-bis-(1,1-dimethylethyl)-phenol, 1,3,5-tri-tert-butyl benzene 등 케톤류, 알콜류 그리고 방향족 화합물류와 같은 공통된 향기성분이 검출되었다. 친환경소금으로 알려진 토판염,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천일염인 PVC 장판염과 그리고 친환경소재의 PP 장판염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는 향기성분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신안군에서 생산된 천일염에서만 methyl isobutyl ketone 성분이 검출되어 생산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편백나무에 보관했던 천일염의 향기성분은 오동나무와 소나무에 보관했던 천일염의 향기성분보다 다양한 종류가 검출되었으며, 이는 저장용기의 나무소재에 따라 천일염에 이행된 향기성분이 다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이 독특한 향기성분을 천일염에 부여하는 것은 천일염 산업에 새로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방법이라 판단되며, 소금 유통시장에서 적용가능성이 높은 연구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가공조건과 천연항균제의 처리가 황태양념구이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cessing Conditions and Natural Antimicrobial Materials on Quality of Freeze-dried, Seasoned and Roasted Alaska Pollack (Theragra chalcogramma))

  • 조순영;심재만;최용석;김옥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37-441
    • /
    • 2003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ocessing conditions and natural antimicrobial materials on quality of freeze-dried, seasoned and roasted Alaska pollack (Theragra chalcogramma). The optimum dipping time and moisture contents of freeze-dried Alaska pollack were 1 sec in $1\%$ salt solution, $48.6\%$ respectively. The freeze-dried, seasoned and roasted Alaska pollack product showed high sensory value. As sterilization time increased over 30 mins in water bath at $100^{\circ}C$ the browning degree of the freeze-dried, seasoned and roasted Alaska pollack product increased. Among various antibrowning agents, $3\%$ corn starch was better in preventing browning than sporix treatment. The freeze-dried, seasoned and roasted Alaska pollack product added with lactate Ca and catechin had the antimicrobial, and the VBN contents of the product showed low level.

Comparison of NaCl and D-Pinitol Content of Freeze-Dried Ice Plant, Natural and Purified Commercial Salts and thei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Sim, Wan-Sup;Park, Sung-Ho;Choi, Sun-Il;Cho, Bong-Yeon;Choi, Seung-Hyun;Han, Xionggao;Jang, Gill-Woong;Kwon, Hee-Yeon;Choi, Ye-Eun;Men, Xiao;Yoon, Sangjin;Kim, Young-Jun;Cho, Ju-Hyun;Lee, Ok-Hwa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95-600
    • /
    • 2019
  • 본 연구는 아이스플랜트의 기능성 소금 대체제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천연 및 정제소금과의 NaCl, D-pinitol, 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기초자료를 비교 조사하였다. 아이스플랜트 동결건조분말의 NaCl 함량을 분석한 결과 19%이었고 D-pinitol의 함량은 777 mg/100 g으로 천일염 및 정제염에 비해 NaCl 함량은 유의적으로 낮으나 D-pinitol을 함유하고 있어 건강기능성에는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아이스플랜트 동결건조분말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15 mg/100 g 및 985 mg/100 g을 함유하고 있어 DPPH라디칼 소거능의 항산화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이스플랜트 분말의 bioactive compound을 함유한 대체 소금 천연소재로서 가능성을 확인한 기초 연구를 제공하였다.

무 절임 제조 시 천일염과 스타터 첨가에 따른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adish by Soaking Using Sun-dried Salt and Leuconostoc starter)

  • 나종민;김영섭;김세나;김정봉;조영숙;김광엽;김행란;김소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51-956
    • /
    • 2012
  • 본 연구는 국내산 천일염(장판염, 토판염)의 성분 비교와 이를 이용하여 무 절임을 제조할 때 첨가한 스타터와 함께 발효기간 동안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그 결과 두 소금간의 일반성분 중 수분함량은 차이를 보였지만 회분 함량은 그룹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아, 생산시기가 동일한 점을 고려할 때 천일염 생산방식에 따른 차이라고 판단된다. 이들의 무기성분 함량은 소금의 주성분인 Na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Ca, K 그리고 Mg 함량은 장판염이 높게 측정된 반면, Fe 그리고 Zn 함량은 토판염이 높게 측정되었지만, Ca 함량을 제외하고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천일염의 당도 측정 결과 10.70 Brix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어 어떤 종류의 당으로 구성되었는지에 대한 정성 분석 연구가 요구된다. 무 절임 중 천일염과 스타터 첨가에 의한 발효 변화를 관찰하였을 때 스타터를 첨가한 그룹이 스타터를 첨가하지 않은 그룹보다 활발하게 유리당, 유기산 등 2차 대사산물을 생성하여, 우점종으로서 초기 미생물 조절에 영향을 끼쳤다고 판단된다. 그리하여 실험에 사용된 Leuconostoc mesenteroides B-512F 균주의 스타터 첨가가 발효과정 중 미생물 균총 변화에 큰 영향을 주므로, 발효 식품 제조 시 초기미생물 조절자로서의 명확한 역할 구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담두시의 제조방법 확립 및 제조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Method and on the Improvement of Damdusi)

  • 이영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13-317
    • /
    • 2003
  • Damdusi was a kind of fermented soybean food added with ginger and sancho(Zanthoxylum schinifolium). To improve the preparing method of Damdusi, Asperillus oryzae was inoculated at steamed soybean and fermented at 25~3$0^{\circ}C$ incubator far 48 hours. Salt, ginger and sancho was mixed into it after 1st fermentation, and the 2nd fermentation was also done at 30~37$^{\circ}C$ for 1 week. After drying under the sun, sancho was removed from it. Dried Damdusi was composed of 4.90% of moisture, 35.07% of crude ash, 13.61% of crude fat and 23.44% of crude protein, respectively. Its flavor earned the high score(3.94) but taste did not (2.98) due to the salty taste by the sensory evaluation. Therefore, salt ratio was reduced to 18%, 16%, and 14% for improving the taste. The one with 14% salt concentration had the highest crude ash and crude fat but the lowest crude protein composition. The crude protein was the highest in the group of 16% salt. By the sensory evaluation, the taste and the overall acceptability was the highest in the 14% salt group.

  • PDF

건조방법에 따른 아로니아(Aronia melancocarpa)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함량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Water Extracts of Aronia (Aronia melancocarpa) with Different Drying Methods)

  • 황은선;뉴안 도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03-308
    • /
    • 2014
  • 아로니아 열수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여 가공식품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다양한 건조방법이 아로니아의 항산화 성분 함량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신선한 아로니아를 일광건조, 스팀 후 일광건조, 동결건조 및 오븐건조의 방법으로 완전히 건조시킨 후 분말로 제조하여 $100^{\circ}C$에서 6시간 동안 3회 반복 열수 추출하여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안토시아닌 함량을 분석하였다. 아로니아의 총 폴리페놀 함량(mg gallic acid/g 기준)은 동결건조한 시료에서 가장 높았으며, 스팀 후 일광건조 > 일광건조 > 및 오븐건조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아로니아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quercetin을 기준으로 동결건조한 시료에서 가장 높았으며, 스팀 후 일광건조 > 일광건조 > 오븐건조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로니아에 함유된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cyanidin-3-glucoside를 기준으로 동결건조 > 일광건조 > 스팀 후 일광건조 > 오븐건조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로니아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hydroxyl 라디칼 소거능, superoxide anion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의 5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4가지 건조방법 중에서 동결건조 시료에서 항산화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오븐건조한 시료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건조방법이 아로니아의 항산화 성분 함량과 항산화 활성에 영향을 주며 고온의 건조방법보다는 저온의 동결건조 방법이 아로니아의 유효성분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최적의 방법으로 사료된다.

습식분해 및 직접용해법에 따른 천일염 중 무기성분 함량 비교 (Comparison of the Mineral Contents of Sun-dried Salt Depending on Wet Digestion and Dissolution)

  • 김영섭;제정환;이연희;김진효;조영숙;김소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993-997
    • /
    • 2011
  • 12종 천일염 시료의 성분 분석을 비교한 결과, 식염함량은 국내산 장판염이 85.1%, 국내산 토판염이 89.3%, 수입산 천일염이 91.3%로 나타났다. 국내산 장판염의 불용성분은 0.05%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수분함량은 6.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내산 장판염의 Na 함량은 수입산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난 반면 Mg, K 함량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프랑스 게랑드 소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는 인체에 꼭 필요한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소금을 섭취함에 있어, Na 함량이 적고 Mg, K 등 무기성분이 높게 함유된 국내산 천일염을 통한 소금 섭취를 권장하는 바이다. 습식분해 및 직접용해법에 의한 Na와 Mg의 무기성분 조성비(%)는 수입산과 토판염의 경우 두 가지 방법 모두 89 : 1로 동일한 비율을 보였고, 장판염에서는 82 : 3 대 81 : 3로 유사한 조성 비율을 나타내어 천일염시료 분석에 있어 습식분해와 직접용해법 간에 차이가 그다지 크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습식분해법에 비해 복잡한 전처리를 거치고 않고 직접용해로 천일염의 무기성분분석을 실시하여도 정확한 수치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urprisingly, traditional purple bamboo salt, unlike other salts does not induce hypertension in rats

  • Kim, Young-Sick;Lee, Eun-Hee;Kim, Hyung-Min
    • 셀메드
    • /
    • 제3권2호
    • /
    • pp.16.1-16.5
    • /
    • 2013
  • Hypertension induces many of the social costs related by cardiovascular diseases. Sodium is known as a crucial factor in inducing type I hypertension.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bamboo salt (BS) has been used in the attenuation of salts toxic coldness and nowadays it has shown various therapeutic effects. It contains mostly sodium chloride (about 91.7% of BS); however, the effect of BS on hypertension is still not completely understood. Thu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BS on blood pressure for the first time. Two group of BS, sun-dried salt (SDS), NaCl, or distilled water (DW, vehicle control) was administrated orally for 8 weeks. Although BS had no effect on body weight and food intake, it increased water intake (p < 0.05). The BS groups, in terms of blood pressure, was similar to the DW group; whereas the SDS and NaCl group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blood pressure levels (p < 0.05). BS also decreased sodium-chloride cotransporter (NCC) mRNA expression, unlike SDS or NaCl. These observations indicate that BS may be a promising strategy for the prevent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salt-related diseases.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간고등어 제조 및 품질 특성 (Characterizing the Quality of Salted Mackerel Prepared with Deep Seawater)

  • 김광우;김가현;김정식;안효영;허길원;손진기;김옥선;조순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63-169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of salted mackerel prepared with deep seawater concentrate and salt. The quality of the salted mackerel product prepared with deep seawater was compared to that prepared with surface and intermediate seawater salts, sun-dried salt, and refined salt. After preparing the salted mackerel products using the five salts, the products were stored at $4^{\circ}C$ for 35 days. Quality characteristics compared were the acid value (AV), peroxide value (POV), lipophilic browning, volatile basic nitrogen (VBN), pH, viable cell count, and sensory factors. The deep seawater salted mackerel product had the lowest AV, POV, browning value, and viable cell counts, compared to the others, while it had the highest score in the sensory evaluation.

음식물류폐기물건조분말과 혼합유기질비료 혼합물의 청경채 생장 효과 (Growth Properties of Mixtures with Mixed Organic Fertilizer and Dried Food Waste Powder in Pakchoi (Brassica rapa L.))

  • 김영선;조성현;이훈수;이긍주
    • 유기물자원화
    • /
    • 제29권3호
    • /
    • pp.17-25
    • /
    • 2021
  • 본 연구는 음식물류폐기물건조분말(FWP) 및 유기질비료(MOF)와의 혼합물의 처리별 청경채의 생장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FWP 처리 후 청경채의 생장 조사 결과, FWP 처리구(2,500 kg/ha, 5,000 kg/ha, 10,000 kg/ha)는 무처리구나 대조구보다 생장이 감소하였다. FWP와 MOF 혼합물(FWP10, FWP20, FWP30) 처리 후 청경채의 생장은 대조구(MOF)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혼합물 중 염분 함량과 청경채의 생장 지수는 부의 상관성(P<0.05)을 보였다. FWP와 MOF 혼합물 중에서 FWP10의 처리량(FWP10: 2,500 kg/ha, 2FWP10: 5,000 kg/ha, 3FWP10: 7,500 kg/ha, 4FWP10: 10,000 kg/ha)별 청경채의 생장은 FWP10, 2FWP10, 3FWP10 처리구는 화학비료 처리구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4FWP10 처리구는 화학비료 처리구보다 감소하였다. FWP10 시비수준(1~3배)에 따른 염분 공급량과 청경채의 생장 비교 시 부의 상관성(P<0.01)을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들을 종합할 때, 음식물류폐기물건조분말은 유기질비료의 원료로 사용이 가능하며, 음식물류폐기물건조분말이 함유된 유기질비료의 시비에 따른 토양중 염분의 농도가 증가한 경우 청경채의 생장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