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mmer pruning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8초

개화기에 저온 피해를 받은 '후지'/M.9 사과나무의 하계전정 시기가 신초생장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ummer Pruning Time on Shoot Growth and Fruit Quality of 'Fuji'/M.9 Apple Tree Damaged by the Low Air Temperature at Flowering Period)

  • 권헌중;사공동훈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28-334
    • /
    • 2022
  • BACKGROUND: The low temperature at flowering period break the balance between vegetative and reproductive growth of apple tree. Summer pruning has been used to control vegetative growth. 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mmer pruning time on shoot growth and fruit quality of 'Fuji'/M.9 apple trees damaged by the low temperature at flowering period. METHODS AND RESULTS: The following treatments were applied to tree : a) control (no summer pruning), b) pruned 26 June, c) pruned 30 July, d) pruned 28 August, and e) pruned 26 September. The summer pruning significantly increased light penetration and fruit red color by reducing the total shoot growth compared with control. And the summer pruning control the outbreak of apple valsa canker. But the summer pruning at the end of June increased regrowth of shoot and pruning weight compared with the summer pruning at the end of August. The summer pruning at 30 July had the highest fruit weight, but return bloom was the highest in the summer pruning at 28 August.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d the optimum summer pruning time of 'Fuji'/M.9 apple trees damaged by the low temperature at flowering period were the end of August.

블루베리 '듀크' 품종의 무가온 시설재배시 전정시기가 수체생장과 과실수량에 미치는 영향 (Bush Growth and Yield of Highbush Blueberry 'Duke' as Influenced by Different Pruning Times in Unheated Plastic House)

  • 천미건;이서현;박경미;최성태;황연현;장영호;김진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2-217
    • /
    • 2021
  • 본 시험은 무가온 시설재배 조건에서 북부하이부쉬 블루베리의 전정시기가 영양 생장과 과실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180L 용기에서 재배한 7-9년생 '듀크' 품종을 대상으로 2018년과 2019년 6월 20일(수확 후 30일경), 7월 20일, 8월 20일에 하계전정을 실시하였고, 2019년과 2020년 1월 20일에 동계전정(관행)을 목질부 생장량의 30%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하계 전정구들은 2년 연속 전정 이듬해인 2020년 10월 15일에 신초 생장이 현저히 감소하였는데, 주당 총 신초장은 6월, 7월, 8월 전정구가 동계 전정구에 비해 각각 47%, 37%, 33%로 작았고 하계전정 시기가 늦을수록 신초 생장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하계전정 1년차와 2년차 이듬해의 과실 특성은 전정 시기의 영향이 없었고, 주당 수량은 전정 1년차 이듬해인 2019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2년 연속 처리 이듬해 2020년에는 동계 전정구가 2.9kg인데 반해 하계 전정구들은 동계 전정구에 비해 21~38%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무가온 시설재배 조건에서 북부하이부쉬 '듀크'의 하계 전정은 동계 전정에 비해 수세가 약화되어 수량이 감소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계 및 하계전정이 남부하이부쉬 블루베리 'Misty'의 수량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inter and Summer Pruning on Yield and Fruit Quality in Southern Highbush Blueberry 'Misty')

  • 강동일;신미희;김홍림;김진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28-333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시설재배에 이용되는 남부하이부쉬 블루베리의 전정방법 도출을 위해 동계 및 하계전정이 수량 및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전정처리는 무전정, 동계전정(2월 4일), 동계전정+하계전정(8월 5일)으로 나누어 처리하였다. 과실은 총 6회에 걸쳐 수확하였고, 수확시의 수량, 수확시기별 과실의 과중 변화와 과실 품질을 조사하였으며, 비상품 과실의 발생 비율을 조사하였다. 5년생 'Misty'에 있어 전정 처리에 의한 과실 수량의 차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전정 처리의 수확시기별 수확량에 있어 무전정 처리의 경우 2번째 수확기부터 마지막 수확기까지 수확량이 일정한 반면, 전정처리 나무의 경우 수확 전반기에 보다 많은 수확량을 보여 전정으로 인해 큰 과실을 보다 많이 수확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과실의 총 당, 총 안토시아닌, 총 페놀 함량의 변화는 처리간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비상품과 발생량의 경우 무전정 처리구에서 전체 수확량의 57%인데 반해 동계전정 처리구와 하계전정을 겸용한 처리구의 경우 각각 26%, 31%로 낮게 조사되었다.

전정시기가 가온재배 남부하이부쉬 블루베리 '신틸라'의 신초 생장과 과실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Pruning Time on Bush Growth and Fruit Production of Southern Highbush Blueberry 'Scintilla' Cultivated in a Heated Plastic House)

  • 천미건;이서현;박경미;최성태;황연현;장영호;김진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83-187
    • /
    • 2021
  • 본 연구는 가온재배 조건에서 수확 후에 수관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남부하이부쉬 블루베리 '신틸라'의 안정된 수체 생장과 과실 생산에 적합한 전정시기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신틸라' 품종을 180L 용기에서 재배하여 2018년(7년생)과 2019년(8년생)에 하계전정은 5월20일(수확 후 35-39일경)과 6월20일(수확 후 65-69일경)에 12월 전정구(관행)은 12월 20일(개화 전 5일)에 2년 연속 목질부 생장량의 30%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5월 하계전정으로 이듬해 신초생장이 촉진되었는데, 12월 전정구보다 주당 신초수는 17-49%, 주당 총신초장은 18-32% 많았다. 본 연구에서 전정시기에 따른 과실 특성 차이는 없었다. 주당 수량은 처리 1년차 이듬해인 2019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2년 연속 처리한 이듬해인 2020년에는 5월 전정구가 12월 전정구보다 7% 높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가온 재배 '신틸라' 블루베리는 수확 후 5월에 하계전정을 하는 것이 신초 생장을 촉진하여 과실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순상전 춘기말벌채고조의 발아상태와 충해 발생 관계 (Study of germination for none seasonal pruning mulberry farm and their insective diseases)

  • 도경화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권
    • /
    • pp.13-21
    • /
    • 1963
  • (1) 춘추겸용 순상전에 있어서는 74.3%의 발아율이었고 미개엽의 발아율은 25.7%이었다. (2) 춘잠사육후 하기에 벌채를 하지 않고 고조로 잔치한 것이 있어서 발아하는 상태는 액아에서 발아성장한 것이 74.88%이고 춘기미개엽중에서 발아성장한 것이 25.12%의 비율이었다. (3) 신아가 착생하는 방위는 남북애에 있어서 정북향이 가장 적고 서남, 서북면에 착생이 가장 많았다. (4) 순상전에 있어서 하벌을 하지 않고 고조를 잔치하였을 때에는 해충의 서식처로 된다. (5) 저지대에 재배된 노상 순상전에 있어서는 다습하고 일조시간이 짧으면 상충의 발생이 심하다. (6) 추잠기 수엽기수엽량에 있어서는 지조를 벌채하지 않는 고조에서는 발아성장하는 기간이 길어서 하벌한 후 성장한 것에 비하여 수엽량이 많았다. (7) 근예정지 순상전으로서 하기에 채벌하지 않으면 비배관리나 기 익년에 지장을 가져오기 때문에 식재거리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 (8) 노상과 같은 품종은 교목식으로 재배는 부적당하며 또 적당한 재배거리를 밀식정도로 하는 것은 양책이라 할 수 없다. (9) 재배상 품종계통별에 있어서는 엽수형인 백상계가 일정한 지조에 대한 착생아수도 많았고 그 발아비율도 많았다.

  • PDF

신초의 하계 절단전정에 의한 사과품종 '후지' 및 '조나골드'의 2차생장과 정화아 형성의 차이 (Differences in Regrowth and Terminal Flower Bud Formation of 'Fuji' and 'Jonagold' Apple Trees in Response to Summer Heading Back Pruning of Current Season's Shoots)

  • 오성도;이희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3호
    • /
    • pp.333-336
    • /
    • 1999
  • 사과 품종 '후지'와 '조나골드'의 2년생 가지상에 발생한 신초에 대하여 5월 초순부터 7월 중순까지 약 12일 간격으로 기부에 5엽을 남기고 각각 절단전정을 실시한 결과, 절단한 가지상에 2차 생장이 이루어졌으며 절단전정의 시기와 관계없이 '후지'가 '조나골드'에 비하여 더 왕성한 2차 생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각 품종에서의 2차 생장은 절단전정의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후지'의 경우 5월 초순이나 7월에 실시하였을 때보다 5월 중순 또는 6월에 실시하였을 때 더 왕성하였으며 '조나골드'의 경우에는 5월 중순까지의 전정에서는 2차 생장이 전혀 일어나지 않았으며 5월 하순 이후의 전정에 의해 2차 생장을 나타내었다. 하계 절단전정에 의하여 형성 된 정화아로부터 이듬해에 개화와 착과도 이루어졌다. 대체적으로 '조나골드'에 비하여 '후지'가 절단전정에 의한 정화아 형성률이 높은 경향 이었으며 '후지'는 5월 하순, '조나골드'는 6월 중순에 절단전정을 실시하였을 때 가장 높은 정화아 형성률을 나타내었다. 형성된 단과지로부터의 개화는 두 품종 모두 비슷하였으나 착과율은 '조나골드'보다 '후지'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각 품종에서의 착과율은 하계 절단전정의 시기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하계절단전정은 품종에 따라 그 생장 특성에 맞게 시기를 달리하여야 효과적임이 구명되었다.

  • PDF

Effects of Pruning Season on Compartmentalization of Pruning Wounds in Acer palmatum and Pinus strobus

  • Lee, Kyu-Hwa;Lee, Kyung-Joon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2호
    • /
    • pp.226-234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runing season on the compartmentalization of pruning wounds in Acer palmatum and Pinus strobus. A total of eighty five field-grown trees for each species were allocated to five different seasons, early- and late-winter, mid-spring, mid- and late-summer, for pruning treatments. Wound closure rate (WCR) of the two species for one year after treatment, area of discolored stem tissue on the medial longitudinal surface and cambial dieback length under the pruning wound of A. palmatum were measured. Changes of total phenols and variations of extractives, holocellulose and lignin at the treated branch unions were examined. In WCR of A. palmatum, late-winter (March, 39.8%) and mid-spring (May, 39.7%) were higher than any other seasons, while early-winter (November, 28.4%)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late-winter and mid-spring. P. strobus showed similar results with A. palmatum. The WCR of early-winter (57.2%) was the lowest significantly among the five seasons, and mid-spring (73.5%) and late-winter (71.4%) showed higher a WCR than other seasons. In the discolored/wound area ratio of A. palmatum, early-winter (73.2%) was the highest by far, and mid- (July) and latesummer (September, 36.7%, respectively) were the lowest among the five seasons. In the length of cambial dieback, two dormant seasons, early- and late-winter were longer than any other seasons. Phenol contents at the treated branch union were changed in line with the seasonal fluctuation of the tree. Total phenols in the below core of the treated un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branch union with living branch, while little differences were seen in the above core. At the branch core of the treated union, phenols of A. palmatum decreased one month after the treatments, but P. strobus maintained similar to or a little higher than those at the controls. The major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at pruning wounds were extractives and lignin increased by less than 20% in A. palmatum, while extractives in P. strobus remarkably increased by 70%.

다간식정지에 있어서 지조의 벌채정도와 신조의 발육과의 관계 (Relation between the growth of mulberry branch and cutting off mulberry branch various sizse in the multi-stemed Pruning)

  • 김문협;임수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9권
    • /
    • pp.7-13
    • /
    • 1969
  • 다간식 정지에 있어서 그 기조의 벌채를 어떻게 하는 것이 뽕의 수량과 정(十)의 상관관계가 있는 총조장과 총조경 및 총조장$\times$총조경들을 증대시킬 수가 있는가를 알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춘벌한 경우에는 전기조 5 cm 균일 벌채구와 태조 10 cm 세조 5 cm 벌채구가 이들이 가장 크다. (2) 하벌한 경우에는 1지간중 상위부분의 기조는 5cm 하잎의 것은 10cm. 벌채구와 태조 l0cm 세조 5cm 벌채구 및 전기조 5cm 균일 벌채구가 가장 크다. (3) 춘벌을 통해서 볼 때에 그 전지 기술이 단순한한 전기조 5cm 균일벌채구가 가장 유리할 것 같다.

  • PDF

포도 캠벨얼리 품종의 2차지를 이용한 과실생산 (Berry Production Using Secondary Shoots in 'Campbell Early' Grapevines)

  • 최인명;박희승;조명동;이창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3호
    • /
    • pp.378-382
    • /
    • 2000
  • 포도 '캠벨얼리'에 있어서 2차지에 결실되도록 하기 위해서 만개후 13일부터 10일 간격으로 신초의 기부로부터 3, 6, 9마디의 눈을 각각 남기고 하계절단 처리를 한 결과, 액아 발아는 7~8일, 발아 후 개화까지는 19~25일 소요되었다. 하계 절단처리시기별 2차지의 화수수는 만개 후 13일 절단처리가 2.8개, 만개 후 23일 및 33일 절단처리가 3.2개로 차이가 없었다. 1차지의 기부에서 3번째 마디의 눈에서 발달한 2차지의 화수수 2.0~2.4개, 화수장 9.3~10.4cm 정도로 발달이 미약했으나, 6번째와 9번째 마디의 눈에서 발생한 2차지의 화수수 3.1~3.8, 화수장 12~14.9cm였고, 특히 6번째 마디의 눈에서 발생한 2차지에서 화수발달이 가장 충실하였다. 만개 후 13일에 절단 처리한 6, 9번째 눈에서 발생된 2차지의 수확기 과실형태 및 특성은 1차지의 과실과 차이가 없었으며, 나머지 만개 후 23일이나 33일 처리는 2차지의 과실 형태는 양호하였으나 성숙기간이 짧아 품질이 낮았다. 따라서 2차지의 과실 결실을 위한 하계 전정의 적기는 만개후 13일이고, 절단하는 마디의 위치는 1차지의 기부로부터 6번째 마디임이 구명되었다.

  • PDF

2년생 안개초 여름철 차광 및 지상부 절단 높이에 따른 생육반응 (Growth Characteristics as Affected by Shading and Pruning Height of Above-ground Part in Two-year Old Gypsophila paniculata during Over-summer)

  • 정동춘;임회춘;김갑철;송영주;김정만
    • 화훼연구
    • /
    • 제17권3호
    • /
    • pp.185-189
    • /
    • 2009
  • 2년생 안개초의 안정적인 월하(越夏)를 위해 1차 절화 수확 후 차광여부 및 잔존 지상부 절단 높이에 따른 고사주율, 개화 및 절화특성을 조사하였다. 차광처리에서 신초 발생소요일수가 짧고 발생 신초수도 많았고 고사주율은 낮은 경향이었으며, 특히 지상부를 높게 절단함으로서 고사주율이 낮아졌다. 개화는 무차광에서, 그리고 지상부를 높게 절단한 처리에서 빨라지는 경향이었고, 화경장, 측지수, 경경, 화수폭 및 절화량 등은 무차광, 9 cm 절단처리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비원추화서율과 로젯트 발생률도 무차광 9 cm 절단처리에서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