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lfate content

검색결과 510건 처리시간 0.029초

효모 표층 Arylsulfatase에 의해 제조된 Agarose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garose Produced by Yeast Cell Surface Displayed-Arylsulfatase)

  • 조은수;김정환;김연희;남수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28-433
    • /
    • 2010
  • Agar로부터 agarose 제조 시 유기용매를 이용해서 황을 제거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어진다. 하지만 agar의 황을 가수 분해하는 효소를 사용할 경우 agarose 제조 시공정과정을 획기적으로 간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arylsulfatase로 agaropectin에서 황 제거를 통해 agarose로 바꾸는 공정은 간단하고 높은 수율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agarose 생산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arylsulfatase를 세포표면에 발현하는 효모생촉매를 이용하여 제조한 agarose의 황 함량과 gel 강도를 측정하였다. 처리한 효모(효)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된 탈황 반응에 의해 황함량이 줄어들었고, 특히 35 unit/mL의 효소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황 함량은 0.2%까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황 함량을 가장 낮출 수 있는 최적 조건은 0.6% agar(Junsei) 용액에 효모 표층 arylsulfatase 35 unit/mL로 처리하고 $40^{\circ}C$에서 3시간 반응시켰을 때 였다. 또한 1.0% DNA 전기 영동용 agarose의 gel 강도는 효모 표층 arylsulfatase 처리로 제조된 agarose의 경우 $559.8{\pm}0.12$로 상업적 agarose의 gel 강도($880.6{\pm}0.15\;g/cm^2$와) 보다는 낮았다. 따라서 효모 S. cerevisiae의 세포 표면에서 발현된 재조합 arylsulfatase 효소를 이용하여 agar로부터 전기영동용 agarose의 생산 공정에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간척지에서 요소 및 유안비료 시용이 총체보리의 생산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rea and Ammonium Sulfate Application on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Whole Crop Barley in Reclaimed Tideland)

  • 신재순;김원호;이승헌;임영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5-30
    • /
    • 2006
  • 간척지에서 요소와 유안비료의 시용이 총체보리의 수량성, 사료가치 그리고 토양염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2003년 10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충남 당진에 위치한 대호간척지에서 시험한 결과, 평균 토양 염류도는 요소를 시용한 표준시비구(T2)에 비해 유안을 시용한 구(T3, T4 및 T5)에서 낮게 나타났다. 생초수량은 요소를 시용한 표준시비구(T2)에 비해 유안을 시용한 T3, T4 및 T5 처리구에서 각각 62% (p>0.05), 41% (p<0.05) 그리고 23% (p<0.05) 증수되었다. 건물수량과 TDN 수량도 생초수량과 같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유안대체구(T3)가 가장 높았으며, 유안을 증량시용(T4와 T5) 할수록 감소하였다. TDN 함량은 유안 200kg/ha 대체시용구(T3)와 유안 300kg/ha 대체시용구(T4)에서 높았다. 나트륨함량은 유안시용구(T3, T4 및 T5)에서 $0.50%{\sim}0.61%$로 낮았다. 위의 결과로 볼 때 간척지에서 겨울철 사료작물로 총체보리를 재배할 경우, 질소질 비료는 요소대신 유안을 ha당 200kg 시용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PERFORMANCE OF TWO-PHASE UASB REACTOR IN ANAEROBIC TREATMENT OF WASTEWATER WITH SULFATE

  • Oh, Sae-Eu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8-15
    • /
    • 2007
  • Two phase UASB reactors for treating wastewater with sulfate were operated to assess the performance and competition of organics between sulfate reducing bacteria(SRB) and methane producing bacteria(MPB), and the change of characteristics of microorganisms. The reactors were fed in parallel with a synthetic wastewater of 4,000-5,000 mgCOD/L and sulfate concentration of $800-1,000\;mgSO_4/L$. In the MPR(methane producing reactor) and CR(control reactor), COD removal efficiencies were 90% and 60%, respectively, at the OLR(organic loading rate) of 6 gCOD/L, while the amount of biogas and methane content were 6.5 L/day and 80%, and 3 L/day and 50%, respectively. However, the portion of electron flow used by SRB at the OLR of 6 gCOD/L day in MPR and CR was 3% and 26%, respectively. This indicated that the increase of OLR of wastewater containing high sulfate like CR resulted in activity decrease and cell decay of MPB, while SRB was adapted immediately to new environment. The MPB activities in MPR and CR were 2 and $0.38\;kgCH_4-COD$/gVSS day at the OLR of 6 gCOD/L. This indicated hat SRB dominated gradually over MPB during long-term operation with wastewater containing sulfate as a consequence of outcompeting of SRB over MPB. In addition, the solution within AFR was maintained around pH 5.0, the MPB such as Methanothrix spp. which was very important to formation of granules was detached from the surface of granules due to the decrease of activity by limitation of substrate transportation into MPB. Therefore, a significant amount of sludge was washed out from the reactor.

논과 밭 토양의 황산염 환원세균 군집 구조 비교 (Comparison of community structure of sulfate reducing bacteria in rice paddy and dry farming soils)

  • 이중배;박경량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1-30
    • /
    • 2015
  • 본 연구는 논과 밭 토양의 황산염 환원세균의 군집구조와 T-RFLP 패턴을 조사한 논문으로, 유기 농법 토양과 관행 농법 토양 그리고 밭 토양 총 3종류의 토양을 8월과 11월에 채집하여 실험하였다. 토양 성분 분석 결과 총 질소, 총 탄소, 총 인의 값은 모든 토양이 비슷하게 나타났고 계절별로는 수분의 함량은 8월에, 총 탄소는 11월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황산염 환원세균은 초산보다 젖산을 기질로 이용하는 황산염 환원세균이 더 많이 분포하고, 유기 농법 토양에 황산염 환원세균이 가장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토양에서 얻은 총 181개 클론으로 계통학적 분석을 한 결과, 대부분의 클론들은 배양 가능한 황산염 환원세균과는 매우 낮은 상동성을 보였으나, 자연계에서 확인되는 클론들과는 90% 이상의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T-RFLP 분석 결과 91, 357, 395, 474 bp의 분포가 가장 높았고, 계절에 따라 황산염 환원세균의 군집 구조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금부산물인 닭 용골연골로부터 chondroitin sulfate를 포함하는 뮤코다당단백질의 추출에 관한 연구

  • 신승철;김동욱;김관응;안승민;유선종;김성권;안병기;강창원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4년도 제21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26-27
    • /
    • 2004
  • 닭 용골연골을 이용하여 CS를 함유하는 뮤코다당단백질을 추출하는데 있어 경제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열수 추출의 경우 120분간 추출하였을 때 그 수율과 CS 함량이 가장 효율적으로 나타났으며, 효소 추출은 2 %의 alcalase를 첨가한 후 120분 동안 추출하였을 때 수율과 CS 함량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CS를 다량 포함하는 정제소재를 제조하기 위해 ethanol 침전을 실시한 결과. 수율은 21.41 %, CS 함량은 46.31 %로 나타났다.

  • PDF

종자발아에 영향을 미치는 울산 정자동 절토비탈면 강산성 토양의 화학적 특성 (Chemistry of Strong Acidic Soil on Ulsan-Jungjadong Cut-Slope Affecting Seed Germination)

  • 장창희;김민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133-142
    • /
    • 2006
  • Occasionlly, a lot of plants withered on the marine upheaval soil, because of the potential acid sulfate soil. It wa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chemistry of soil, before planting on Ulsan-Jungjadong cut-slope of road construction site. Cut-slope surface soils were sampled on the every varying points in soil colour and analyzed chemically. Germination status of seeds in sample soils was investigated such as Albizzia julibrissin, Festuca arundinacea. Relationship between germination status and chemistry of soil was analyzed.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are as follows. 1. Germination of seeds was inhibited, less than pH($H_2O$ 1 : 5) 2.63. 2. Germination of seeds was inhibited, more than EC($H_2O_2$ 1 : 5) 13.4mS. 3. Germination of seeds was inhibited, more than aluminum ion content 2.0ppm in soil solution extracted by A$H_2O$ and 6.2ppm by $H_2O_2$. 4. pH($H_2O$ 1 : 5), EC($H_2O_2$ 1 : 5) and aluminum ion content proved chemical indicators of seed germination inhibition, in case of potential acid sulfate soil.

Controlled Release of Gentamicin Sulfate from Poly(3-hydroxybu-tyrate-co-3-hydroxyvalerate) Wafers for the Treatment of Osteomyelitis

  • Gilson Khang;Park, Hak-Soo;John M. Rhee;Yoon, Sung-Chul;Cho, Jin-Cheol;Lee, Hai-Bang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8권6호
    • /
    • pp.253-260
    • /
    • 2000
  • Biodegradable wafers were prepared with poly (hydroxybutyrate-co-hydroxyvalerate) (PHBV;5, 10, and 15 mole% for 3-hydroxyvalerate) by simple heat pressing method for the sustained release of antibiotic agent, gentamicin sulfate (G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the treatment for osteomyelitis. The effects of hydroxyvalerate (HV) content, thickness of wafers, various types of additives such as sodium dodecyl sulfate (SDS),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and hydroxypropylcellulose (HPC), and different initial drug loading ratio on the release profile have been investigated. In vitro release studies showed that different release patterns and rates could be achieved by simply modifying factors in the preparation conditions. PHBV wafers with 3 mm thickness, 10% of GS initial loading, 15% of HV content and addition of 5% of SDS and HPC were free from initial burst and a near-zero-order sustained release was observed for over 30 days. It might be suggested that the mechanisms of G5 release may be more predominant simple dissolution and diffusion of GS than erosion of PHBV in our system.

  • PDF

제주도"송이"의 시멘트안정처리 효과에 관하여 (Effects of Soil-cement Stabilization about the Song-I in Cheju Province)

  • 신광식;도덕현;이성태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3-59
    • /
    • 1981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soil cement stabilization about the Song-I in Cheju provinc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The increasing ratio of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according to the increment of cement content was markedly low compared with the weathered granite soil, so the effect of stabilization was low. 2.The moisture content of the sample of Song-I indicates the maximum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showed at the 5% or so of dry side than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and the change of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according to the change of moisture content was not sensitive compared with the weathered granite soil. 3.Generally the primary strength of curing age within 7 days of the sulfate resisting cement was low compared with the normal portland cement and the strength of 28 curing days showed a similar tendency, especially in case of Song-I, and it seemed that the sulfate resisting cement was a little more effective than the normal portland cement. 4.As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grain size controlled Song-I was low compared with the weathered granite soil, so the rate of weight loss by the durability test was great, therefore it was thought that the durability was weak.

  • PDF

Electrodeposition Characteristics and Magnetic Properties of CoFeNi Thin Film Alloys

  • Song, Jae-Song;Yoon, Do-Young;Han, Choon;Kim, Dae-Heum;Park, Dyuk-Young;Myung, No-Sang
    • 전기화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7-20
    • /
    • 2002
  • 다양한 조성의 CoFeNi합금이 chloride bath와 sulfate bath에서 전해도금 되어졌고, 합금의 도금 특성과 자기특성이 관찰되어졌다. CoFeNi합금 박막의 전해도금에 있어서 Fe조성의 증가는 chloride bath에서보다 sulfate bath에서 빠르게 증가하였다. 전류효율은 큰 변화가 보이지 않는 chloride bath와 달리 sulfate bath에서는 $750\%$에서 $50\%$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Co, Fe, Ni조성이 $80\%,\;10\%,\;10\%$되는 CoFeNi합금이 이번 실험에서 가장 우수한 연자성 재료로 평가되었으며, 그때의 Coercivity는 3 Oe이고 높은 squareness값을 보였다

잠재 산성황산염토양의 산화과정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Oxidation Process of Potential Acid Sulfate Soil)

  • 한강완;전재철;조재영;김금희;안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43-248
    • /
    • 1996
  • 잠재 산성황산염토양의 산화과정과 이 토양에서 유래된 잠재 산성황산염토양을 칼럼에 넣고 개량제 시용에 따른 토양특성의 변화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잠재 산성황산염토양의 건조와 담수 조건에서 토양 pH변화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두 조건 모두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그 낮아지는 폭이 건조조건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2. Sulfate-sulfur의 함량은 건조조건에서 증가하였으나 담수상태에서는 점점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sulfide-sulfur의 함량은 담수조건이 더 높게 나타났다. 3. 2가 철의 함량은 시간의 지남에 따라 담수조건에서 함량이 더 높았고 건조조건에서는 서서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치환성 알루미늄의 함량은 건조와 담수 두 조건에서 모두 증가하였다. 4. 컬럼을 이용한 모델실험에서 잠재 산성황산염토양에 농용석회, 암모니아수를 처리하여 중화시킨 후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대조구에 비하여 pH가 상승하였지만 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Eh_6$는 암모니아수 처리가 제일 낮았으며 다음이 농용석회, 대조구의 순서였다. 5. 칼럼용출액 중의 sulfate-sulfur와 치환성 알루미늄의 함량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sulfide-sulfur와 2가 철의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