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gar compositions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32초

신안산 손바닥선인장 부위별 성분 분석 (Analysis of Components in the Parts of Opuntia ficus indica from Shinan Korea)

  • 조인경;진성우;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42-746
    • /
    • 2009
  • 신안산 손바닥선인장의 수분함량은 열매 71.18%, 줄기 74.85%로 나타났고, 조단백질 함량은 줄기가 3.48%로 높았으며, 조섬유 또한 줄기가 2.58%로 열매 1.54%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고, 조회분, 조지방은 열매와 줄기 모두 비슷한 함량을 보였다. 신안산 손바닥선인장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maltose는 소량 검출되었고, 유기산은 tartaric acid, malic acid, citric acid가 검출되었고 citr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위별 함량은 유리당, 유리산 모두 열매가 줄기보다 높게 나타났다. 신안산 손바닥선인장의 무기성분은 K의 함량이 178.61~254.71 mg%로 가장 높았고 열매가 줄기보다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 함량은 구성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 모두 Glutamic acid의 함량이 357.10~654.82 mg%와 218.25-263.32 mg%로 가장 높았으며 열매보다 줄기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조직배양생강과 한국재래종 생강의 유효성분 비교 (Comparison of Active Ingredients between Field Grown and In Vitro Cultured Rhizome of Korean Native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 조만현;함인기;이규희;이종국;이가순;박상규;김태일;이은모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04-41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생강의 유효성분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한국재래종생강과 조직배양생강의 일반성분, 무기성분, 유리당, 지방산, 휘발성 성분, 그리고 6-gingerol과 6-shogaol 등을 분석하여 평가하였다. 일반성분(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질, 탄수화물)함량은 한국재래종 생강이 조직배양생강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무기성분(Cu, Fe, Mn, Zn) 함량은 조직배양생강이 한국재래종 생강보다 높게 나타났다. 무기성분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이 K이었으며, P와 Mg, Na, Ca 순으로 많았다. 유리당(fructose, glucose, sucrose)은 조직배양생강이 한국재래종 생강보다 높게 나타났다. 생강은 C14 미만의 지방산이 주요 지방산이었다. Citral 성분은 한국재래종 생강이 조직배양생강 보다 생강의 고유향이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gingerol 함량은 경정배양에 의하여 증가하였다.

국내산 신품종 감자의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 (Nutrient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ew Domestic Potato Cultivars)

  • 최희돈;이해창;김성수;김윤숙;임학태;류기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82-388
    • /
    • 2008
  • (주)포테이토밸리에서 개발한 감자 신품종인 구이밸리, 보라밸리, 고구밸리와 기존 품종인 수미의 영양성분과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조단백은 수미가, 회분은 고구밸리가, 탄수화물은 보라밸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방산은 linoleic acid, linolenic acid와 같은 필수지방산의 비율이 높으면서 품종간 함량 차이는 거의 없었다. 무기질 함량은 고구밸리가 가장 높았으며, K와 P가 주요 무기질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이밸리는 전분 함량이 높고 환원당 함량은 낮아 가공용 감자로 이용하기에 적합한 품종이었고, 식이섬유와 vitamin C는 고구밸리가 기타 품종에 비해 월등히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페놀산의 경우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그리고 ${\rho}-coumoric$ acid 등이 정량되었고 chlorogenic acid와 caffeic acid가 주요 페놀산이었으며, 보라밸리가 가장 높은 페놀산 함량을 나타내었다. DSC 분석 결과 호화개시 온도는 수미에 비하여 밸리 품종이 비교적 높은 호화개시 온도를 나타내었고, 피크온도도 유사한 경향이었으며, 호화 엔탈피는 구이밸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RVA 상의 페이스트 온도는 DSC 결과에서의 호화개시온도 경향과 유사하였으며, 구이밸리가 가장 높은 최고점도와 최종점도를 나타내었다.

제주 전통된장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ju Traditional Doenjang)

  • 오현정;임자훈;이주연;전시범;강혜영;오유성;오영주;임상빈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98-308
    • /
    • 2009
  • 제주도내 된장 가공업체에서 제조된 전통된장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의 함량은 각각 37.33~47.43%, 11.06~14.28%, 0.08~0.53%, 12.75~15.97%로 나타났다. 된장제품의 pH는 4.82~5.12, 산가는 17.84~27.55 mg/g, 염도는 10.66~13.91%, 아미노산성 질소함량은 301.06~573.89 mg%을 보였다. 제주 전통된장은 유기산 중에서 lac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총당 함량은 4.21~24.19 mg/g으로 전화당인 fructose와 glucose 함량은 0.68~6.21 mg/g와 0.81~10.44 mg/g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총 지방산중에 필수지방산인 linoleic acid의 비율이 61.54~66.79%로 높았다. 된장의 구성아미노산은 모두 17종이 검출되었으며, 구성 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시료간에 13.89~16.46%의 범위를 보였다. 제주 전통된장의 isoflavone의 함량은 274.87~451.49 mg/kg으로 시료간에 다양한 범위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된장의 제조에 사용된 콩의 품종, 발효기간, 발효미생물, 제조방법 등에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한국산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의 화학적 조성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araxacum officinale Consumed in Korea)

  • 강미정;서영호;김종배;신승렬;김광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2-187
    • /
    • 2000
  • 천연에 널리 존재하지만 미개발 자원인 서양민들레의 식품학적 가치와 식품소재로의 개발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민들레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민들레의 일반성분은 잎과 뿌리에서 각각 수분 7.85와 7.73%, 회분 11.35와 4.82%, 조단백 21.6과 11.8%, 조지방 5.12와1.73%로 뿌리보다는 잎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민들레 잎과 뿌리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뿌리가 2710.66mg%로 잎의 1476.98mg% 보다 높았고, asparagine, arginine, serine, proline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잎에서 233.83mg%, 뿌리에서 209.76mg%로 잎에서 그 함량이 많았으며, 잎과 뿌리 모두 valine과 threonine의 함량이 많았다. 유리아미노산 유도체로는 ${\gamma}$-aminoisobutyric acid를 비롯하여 잎에서 14종이, 뿌리에서 11종이 검출되었고, 뿌리보다는 잎에서 441.53mg%로 그 함량이 다소 높았다. 또한 민들레 잎과 뿌리에는 어패류 등에 풍부한 taurine 성분이 비교적 높은 조성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민들레에 함유된 구성 총아미노산은 cystine을 제외한 17종이 검출되었고, 이중 필수아미노산 8종이 모두 높은 함량으로 존재하였다. 총아미노산과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뿌리보다 잎에서 각각 1.4와 1.8배정도 높았고, 전체 아미노산 중 필수아미노산이 잎과 뿌리 모두 42.17과 34.12%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주요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로 구성되어 있었고, sucrose의 함량이 잎과 뿌리에서 모두 높았다.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로 잎에서는 linolenic acid의 함량이 63.6%, 뿌리에서는 linoleic acid 함량이 56.4%로 월등히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무기질 함량은 잎과 뿌리 모두 K과 Ca이 매우 높았고, 잎의 K 함량은 3,510 mg/100g으로 대부분의 약용식물 보다 월등히 높았다.

  • PDF

맥문동 열수추출액을 이용한 인삼정과의 품질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inseng JungKwa Produced with Hot-Water Extract from Maegmundong (Liriope platyphylla tubers))

  • 이가순;김관후;성봉재;김현호;송미란;김미리;이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1819-1825
    • /
    • 2010
  • 인삼정과 제조 시 이용되는 당 용액 대신에 올리고당 함량이 높은 맥문동의 열수추출액을 이용하여 인삼정과를 제조한 후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맥문동 추출액으로 제조한 인삼정과는 가용성 무질소물인 탄수화물의 함량이 76.40%로 설탕으로 제조한 인삼정과의 80.01%에 비하여 약 4% 정도 낮았고, 조단백질 및 조회분 함량은 각각 1.46% 및 3.49%로 일반인삼정과의 0.59% 및 0.96%에 비하여 약 3배 이상 높았다. 맥문동 열수추출액을 이용한 인삼정과에서 유리당 조성 및 함량은 fructose가 32.42%로 가장 많았고, 그 외 올리고당이 16.91%, 설탕 및 이당류가 13.91%, glucose가 13.16%이었으며, Rh2를 비롯한 진세노사이드 11종이 검출되어 총 함량이 740.1 mg%로 일반 인삼정과(675.6 mg%)보다 더 높았다. 총 페놀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5.46과 0.016%로 일반인삼정과의 5.02와 0.014%보다 높았다. 맥문동 열수추출액으로 제조한 인삼정과의 항산화활성은 DPPH $IC_{50}$값이 인삼정과 중량기준으로 약 34.5 mg/mL 이었으며, hydrogen peroxide 소거능은 $50{\mu}g$/mL의 농도에서 92%의 소거능을 보여주었다.

Comparison of Chemical Composition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omegranate Extracts from Different Growing Areas

  • Lee, Hyun-Jung;Cho, Hye-Jin;Lee, Hyun-Sun;Kwon, Ki-Han;Hong, Yang-Hee;Kim, Seon-Hee;Suh, Hyung-Jo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4권3호
    • /
    • pp.214-219
    • /
    • 2009
  • The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is a promising source of functional food, which contains several phytochemicals that perform important roles in reducing the risk of pathological diseases. Chemical compositions, such as the total sugar, uronic acid, polyphenols, and anthocyanin content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among PEs from six different cultivation areas. Total anthocyanin contents (TAC)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TPC) from various growing areas were detected in the following order, respectively: Spain (19.08 ${\mu}g$/mL)> Turkey (12.91 ${\mu}g$/mL)> Iran-A (6.67 ${\mu}g$/mL)> Taiwan (4.77 ${\mu}g$/mL)> Uzbekistan (1.88 ${\mu}g$/mL)> Iran-B (0.76 ${\mu}g$/mL) and Turkey (639.52 ${\mu}g$/mL)> Uzbekistan (502.19 ${\mu}g$/mL)> Spain (306.40 ${\mu}g$/mL)> Iran-B (249.20 ${\mu}g$/mL)> Taiwan (162.78 ${\mu}g$/mL)> Iran-A (143.93 ${\mu}g$/mL). PEs from six different cultivation areas were determined to vary in ellagic acid content from 8.90 ${\mu}g$/mL to 332.52 ${\mu}g$/mL. The amounts of total sugars in PE from Iran-A evidenced relatively high total sugar contents, but low uronic acid levels (11.92 mg/mL).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as follows: Turkey> Uzbekistan $\gg$ Spain> Iran-B> Iran-A> Taiwan. ABTS [2,20-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detected in the following order: Turkey$\geq$ Uzbekistan$\gg$ Spain> Iran-B> Iran-A> Taiwa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Es from Turkey with higher levels of TPC, TAC, ellagic acid, and highe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may constitute a promising functional source for the prevention of several degenerative diseases.

국내산 고추를 이용한 고추 케찹 개발 및 관능적 특성 평가 (Development of Value-added Ketchup Products with Korean Chile Peppers(Capsicum annuum L.) and Their Sensory Evaluation)

  • 이슬;유경미;송순란;박재복;황인경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16
    • /
    • 2012
  • 국내산 고추를 이용하여 미국인의 입맛에 맞는 고부가가치 액상 소스를 개발하기 위해 고추 케찹을 제조하였다. 국내산 고추 케찹은 토마토 페이스트(37.5%), 설탕(14.8%), 식초(14.1%), 고추 퓨레와 고춧가루(14.1%)를 주성분으로 하였고, 그 외 허브류, 올리고당, 매실엑기스, 청주, 레몬즙 등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고추 케찹의 이화학적 성분 분석 결과, 수분함량 $59.61{\pm}0.28%$, 조단백 함량 $2.18{\pm}0.11%$, 조지방 함량 $1.99{\pm}0.04%$, 조회분 함량 $9.26{\pm}0.13%$, 조탄수화물 함량 $26.97{\pm}0.48%$, 환원당 함량 $35.19{\pm}0.97%$, 염도 $3.04{\pm}0.04%$, 산도 $2.22{\pm}0.01%$, pH $3.7{\pm}0.01$, 당도 $36.3{\pm}0.14\;^{\circ}brix$로 미국산 경쟁 제품보다 조탄수화물, 환원당 함량은 높았고, 회분함량, 산도, 염도는 낮았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관능검사 결과, 국내산 고추 케찹은 미국의 유명 케찹 회사의 제품보다 단맛과 짠맛이 약하고, 매운맛은 비슷하다고 평가되었다. 기호도 조사에서는 국내산 고추 케찹이 미국 고추 케찹보다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고추 케찹은 외국인의 입맛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해외 시장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국내산 고추의 새로운 가공식품으로 서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산수유의 영양성분 분석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of Cornus officianalis)

  • 김용두;김황곤;김경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85-789
    • /
    • 2003
  • 산수유를 다양한 가공식품으로 개발하고 그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산수유의 부위별 일반성분, 유리당, 유기산, 유리 아미노산, 구성 아미노산, 무기질 및 지방산 성분함량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산수유의 수분 함량은 과육, 씨 각각 74.52%, 30.13%, 조회분 함량은 과육, 씨 각각 1.53%, 1.82%, 조단백질 함량은 과육, 씨 각각 1.36%, 3.34%,조지방 함량은 과육, 씨 각각 1.24%, 6.12%, 조섬유 함량은 과육, 씨 각각 3.54%, 38.62%이었다. 그리고 환원당의 함량은 과육, 씨 각각 13.98%, 10.30%이었다. 산수유 과육과 씨에 함유된 유리당은 과육이 10,411.0 mg%이며, 씨는 8,258.4 mg%으로 과육이 씨보다 훨씬 많은 유리당 함량을 보였으며, 유기산은 malic acid 1,463.03 mg%로 가장 높았고, 씨의 경우에는 citric acid 158.12 mg%로 가장 높았다. 산수유의 과육과 씨에서 구성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외 17종이 검출되었고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씨가 과육보다 3.83배 정도 높았으며 과육에서는 Gly가 32.24 mg%로 가장 높았고, 씨의 경우에는 Arg가 114.37 mg%로 가장 높았다. 산수유의 과육과 씨에 함유된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과육, 씨 모두 Arg가 가장 높았고, 각각 0.52 mg%, 0.60 mg%로 나타났다. 산수유의 과육과 씨에 함유된 무기질은 과육에는 K, Mg, Ca, Na, P, Fe, Zn, Cu, Mn 함량 순이었으며, 씨에서 Ca, K, Mg, Na, P, Fe, Zn, Mn, Cu 함량 순으로 검출되었다. 산수유의 과육과 씨에 함유된 주요 지방산으로는 linoleic acid가 과육에서 15.08 mg%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씨에서는 linolenic acid 65.44 mg%으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지리오갈피의 이화학적 분석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the Acanthopanax Chilsanensis)

  • 김명석;성찬기;김홍출;갈상완;이상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815-1820
    • /
    • 2009
  • 지리오갈피(Acanthopanax chilsanensis)를 이용한 지역특산품을 개발할 목적으로 먼저 지리오갈피 뿌리, 줄기 및 열매 자체에 대한 이화학적 성분분석을 행하였다. 지리오갈피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뿌리, 줄기 및 열매의 조지방은 각각 2.09, 2.51 및 7.94%이었으며, 조단백질은 11.50, 7.18 및 10.17%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회분은 각각 11.07, 6.85 및 6.38%로 뿌리 중의 조회분이 줄기와 열매 중의 조회분 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환원당은 각각 18.90, 10.70 및 24.05 g/100 g으로 측정되었다. 색도를 측정한 결과 명도(L)는 줄기가, 적색도(a)는 열매가, 그리고 황색도(b)는 뿌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리당은 뿌리, 줄기, 열매 모두 fructose, glucose 및 sucrose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Acanthoside-D 함량은 줄기(18.95 mg/100 g), 뿌리(8.10 mg/100 g) 및 열매(2.85 mg/100 g)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은 줄기가 955.26 mg/100 g으로 뿌리보다는 4.5배, 열매보다는 8.5배 높게 검출되었다. 향기성분 중에서는 $\alpha$-pinene, $\beta$-pinene, 3-carene 및 D-limonene 등과 같은 천연향기 성분이 동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