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species

검색결과 774건 처리시간 0.02초

함백산 일원의 식물상 (Flora of Mt. Hambaek-san and its neighboring mountains)

  • 최두섭;손동찬;박범균;고성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72-95
    • /
    • 2015
  • 함백산 일원의 식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함백산(1,573 m), 금대봉(1,418 m), 대덕산(1,307 m)의 관속 식물을 2012년 4월부터 2014년 8월까지 조사하였다. 본 조사에서 생육이 확인된 관속식물은 90과 310속 532종 4아종 73변종 13품종의 총 622분류군이며, 문헌상 증거표본이 있는 자료를 추가하면 총 808분류군에 이르고, 이는 한반도 전체 관속식물의 17.55%에 해당된다. 이들 중에는 한국 특산식물 21분류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26분류군, 귀화식물 30분류군, 유용자원식물은 총 464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62분류군(I, I등급 제외)이 각각 포함된다. 한편, 본 조사지역은 한반도 식물구계로 볼 때 남부식물분자보다 북부식물분자가 더 많이 유입된 전형적인 중부아구의 식생을 보였다.

한석산(인제, 강원)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Mt. Hanseok (Inje-gun, Gangwon-do))

  • 강종수;한준수;천경식;김경아;박용호;유기억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45-71
    • /
    • 2015
  • 강원도 인제군에 위치하는 한석산(1,119 m)에 대한 식물상을 2013년 3월부터 2014년 8월까지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분포가 확인된 관속식물은 101과 337속 520종 5아종 69변종 9품종으로 총 603분류군이었다. 특산식물은 14분류군이었으며, 희귀식물은 취약종(VU)에 5분류군, 약관심종(LC)에 9분류군, 그리고 자료부족종(DD)에 3분류군으로 총 17분류군이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V등급 1분류군, IV등급 14분류군, III등급 22분류군, II등급 30분류군, I등급 32분류군으로 총 99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생태계교란야생식물 3분류군을 포함하여 총 3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도시화지수와 귀화율은 각각 11.5%와 6.1%로 산출되었다. 용도는 식용이 223분류군(36.9%)으로 가장 많았고, 목초용 217분류군(35.9%), 약용 165분류군(27.3%), 관상용 67분류군(11.1%), 목재용 22분류군(3.6%) 그리고 다용도 9분류군(1.4%) 등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태백산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in Mt. Taebaeksan(Taebaek-si), Korea)

  • 신현탁;윤정원;김상준;허태임;권영한;임동옥;안종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09-332
    • /
    • 2015
  • 본 연구는 강원도 태백시에 위치한 태백산 도립공원 지역의 관속식물의 분포조사를 수행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는 2014년 4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총 79과 238속 352종 4아종 43변종 7품종 406분류군을 확인하였다. 그 중 특산식물은 키버들, 진범, 홀아비바람꽃 등 8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VU등급 두메개고 사리 등 4분류군, LC등급 세잎종덩굴, 너도바람꽃, 등칡 등 12분류군까지 총 16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107분류군으로 V등급 좀미역고사리, 눈측백, 승마 3분류군, IV등급 골개고사리, 들바람꽃, 회리바람꽃 등 14분류군, III등급 분비나무, 주목, 거제수나무 등 31분류군, II등급 다람쥐꼬리, 좀나도히초미, 가래고사리 등 32분류군,I등급 관중, 낚시고사리, 잣나무 등 27분류군이 각각 조사되었다. 또한 귀화식물은 닭의덩굴, 소리쟁이, 유럽점나도나물 등 16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도시화지수는 5%, 귀화율은 3.9%로 각각 나타났다.

달마산과 그 인근지역의 식물상 연구 (Floristic Study of Dalmasan and its Adjacent Regions)

  • 이유미;박수현;최형선;양종철;남기흠;정규영;최혁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21
    • /
    • 2009
  • 전라남도 해남군에 위치한 달마산 및 인근지역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2005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4회 조사를 실시한 결과 달마산 일대의 관속식물은 112과 322속 473속 3아종 60변종 9품종의 총 545 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 한반도 특산식물은 12분류군이었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 4분류군이 분포하였다. 또한 환경부 지정 특정식물종으로는 IV등급 5분류군, III등급 17분류군 등 총 8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한반도 미기록 식물로 '초록별꽃(신칭)'이 관찰되었고, 차꼬리고사리, 수수고사리, 금억새, 처진물봉선, 서울민바랭이 5분류군은 이번 연구를 통해 한반도 내 자생지가 새롭게 확인되었다. 본 조사지역의 귀화식물은 29분류군으로 전체분류군의 5.3%를 차지하여 전남지역의 평균 귀화식물분포 수와 비슷한 수치로 조사되었다.

세걸산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Mt. Segeolsan in Korea)

  • 김윤영;나누리;송혜인;장창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0-127
    • /
    • 2016
  • 지리산 국립공원에 포함되는 세걸산(1,261 m) 및 공안리, 산덕리 일대의 식물상을 2014년도 4월부터 9월까지 총 12일에 걸쳐 조사하였다. 증거표본을 바탕으로 관속식물목록을 작성한 결과, 108과 376속 584종 5아종 73변종 16품종으로 총 67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지리대사초, 숙은촛대승마, 금꿩의다리, 삼도하수오, 금오족도리풀, 노각나무 등 1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중 숙은촛대승마, 금꿩의다리, 삼도하수오, 금오족도리풀은 지리산 일대가 남방한계선인 것으로 추정되며, 지리대사초는 지리산 일대가 분포의 주요지역으로 파악됨에 따라 식물지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조사지역의 자원식물은 총 633분류군, 민속식물은 359 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귀화식물은 총 61분류군으로 확인되어 귀화율(9.0%) 및 도시화지수(17.4%)가 높게 산출되었다.

천마산(경기도)의 식물상 (Flora of Mt. Cheonma (Gyeonggi-do Prov.))

  • 하영호;윤창영;김상철;김주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0-109
    • /
    • 2016
  • 본 연구는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한 천마산의 관속식물상의 조사를 위해 수행되었으며, 이를 대상으로 한반도고유종,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적색식물, 구계학적특정식물종, 기후변화 적응대상 식물, 귀화식물을 조사하였고 또한 이미 조사가 이루어진 주변지역의 산과 종 조성을 비교분석하였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총 22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94과 266속 378종 2아종 46변종 7품종의 총 433분류군의 관속식물이 확인되었다. 이 중에서 산림청(국립수목원)이 지정한 특산식물은 13분류군이, 환경부지정 고유종은 1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IUCN 평가기준에 따라 국립수목원이 제시한 기준에 따라 약관심종(LC) 9분류군, 취약종(VU) 2분류군, 위기종(EN) 1분류군 등 총 1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환경부에서 제시한 적색자료집에 따르면 관심대상(LC) 7분류군, 미평가(NE) 1분류군 등 총 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식물 I, II 등급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환경부지정 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49분류군이 확인 되었으며, 이 중 정밀생태 조사종인 IV등급에 해당하는 종은 도깨비부채, 만주바람꽃, 미역고사리, 점현호색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국립수목원지정 기후변화 적응대상식물 300종 중에서 1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19분류군이 확인되어 귀화율 4.3%, 도시화지수 5.9%를 보였다. 광주산맥내 위치하는 산인 축령산, 화악산, 명지산과 비교하여 190분류군이 공통적으로 분포하였으며, 51분류군은 천마산에서만 확인되었다.

한려해상국립공원 일대의 민속식물 (Ethnobotany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and Its Adjacent Regions, South Korea)

  • 김현준;강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6-61
    • /
    • 2016
  • 본 연구는 한려해상국립공원 일대에서 이용되는 민속식물에 대한 전통지식 정보를 수집 및 보존을 위하여 2012년 3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수행되었다. 한려해상국립공원 일대 70개소에서 주민 183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조사야장 1,430장의 설문조사를 수행한 결과, 조사된 식물은 총 82과 197속 224종 3아종 19변종 1품종의 총 247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용도별 이용현황은 식용 166분류군, 약용 138분류군, 생활용품 27분류군, 용재용 16분류군, 제례용 9분류군 등으로 주로 식·약용 이용 높았다. 이용 부위로는 잎, 줄기, 열매, 뿌리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된 247분류군의 전통지식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통하여 특정식물 종의 이용을 언급한 정보보유자의 수(FC), 이용범주 수(NU), 특정식물을 이용하는 수(UR), 문화적 중요도 지수(CI), 상대적 인용빈도(RFC), 상대적 중요도(RI), 문화적 가치(CV)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문화적 중요도 지수(CI)는 쑥, 칡, 민들레, 상대적 인용빈도(RFC)는 쑥, 쇠무릎, 참취, 상대적 중요도(RI)는 쑥, 칡, 소나무, 문화적 가치(CV)는 쑥, 칡, 쇠무릎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조사지역의 고유한 전통지식으로 털머위뿌리를 관절염, 산후풍, 혈액순환 장애 등에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량산(봉화군, 안동시)의 관속식물상 (A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Cheongnyangsan (Bonghwa-gun, Andong-si))

  • 남보미;김재영;정선;이재현;남명자;오병운;정규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16-634
    • /
    • 2015
  • 연구는 경북 봉화군 명호면과 재산면, 안동시 도산면과 예안면에 걸쳐 위치하는 청량산(870 m)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을 밝히고 주요 자원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2006년 3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총 16회에 걸쳐 조사된 식물은 총 97과 330속 541종 3아종 61변종 9품종 614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한국특산식물은 21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중 취약종은 8분류군, 약관심종은 5분류군, 환경부 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V등급이 2분류군, IV등급이 10분류군, III등급이 1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청량산에 분포하는 분포특이종으로 세뿔투구꽃, 산토끼꽃 등 4종이 조사되었다. 이들은 유용성에 따라 구분하면 식용 234종류, 사료용 213종류, 약용 174종류, 관상용 62종류, 목재용 16종류, 염료용 12종류, 섬유용 11종류의 순으로 나타났고, 이 외에 용도를 알 수 없는 식물이 167종(27.2%)로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32분류군으로 귀화율은 5.3%, 도시화지수는 10.0%로 나타났다.

초.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인용된 관속식물의 종류와 특징 (Vascular Plants and Their Characteristics Cited in Science Textbook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 임재원;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8-95
    • /
    • 2009
  • 본 연구는 제 5차, 제 6차 및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311종류의 초, 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인용된 관속 식물의 종류를 파악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용된 식물은 129과 332속 383종 2아종, 47변종 6품종, 3잡종으로 총 44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이 중 초본은 280종류(63.5%), 목본은 161종류(36.5%)였으며, 자생종과 외래종은 각각 241종류(54.6%)와 200종류(45.4%)였다. 과별로는 국화과가 35종류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벼과가 2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인용된 441분류군에는 한국특산식물은 9분류군, 희귀식물 25분류군, 멸종위기식물 12종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83종류와 16종류의 귀화식물이 포함되어 있다. 식물의 용도는 식용이 185종류(41.9%)로 가장 많았으며, 약용 148종류(33.5%), 관상용 139종류(31.5%), 목초용 87종류(19.7%), 목재용 34분류군(7.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제주도 토양에서 분리한 xylanase 생산균주 Streptomyces glaucescens subsp. WJ-1의 동정 및 효소의 생화학적 특성 연구 (Identification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Xylanase-producing Streptomyces glaucescens subsp. WJ-1 Isolated from Soil in Jeju Island, Korea)

  • 김다솜;정성철;배창환;지원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43-50
    • /
    • 2017
  • 본 연구로부터 WJ-1 균주는 제주도에서 수집된 토양샘플로부터 동정되었는데, 형태분화관찰 및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분석과 DNA-DNA hybridization 분석을 통하여 S. glaucescens의 신아종으로 분류되었다. 균주 WJ-1의 주요 cellular fatty acid와 게놈내 G+C 농도는 각각 $C_{15:0}$ anteiso (42.99%)와 74.73 mol%였다. 이 균은 배양액으로부터 준비된 조효소액의 xylanase 활성은 중성 pH 조건 및 $55^{\circ}C$에서 활성이 가장 높았다. S. glaucescens의 조효소액을 이용하여 xylan으로부터 xylotriose 및 xylotetraose를 포함하는 xylooligosaccharide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S. glaucescens의 아종에 관한 최초의 보고이며, 관련 종에서 xylanase 활성에 관한 최초의 보고이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WJ-1 균주는 lignocellulosic biomass의 이용 및 기능성 xylooligosacchade 생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