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scular Plants and Their Characteristics Cited in Science Textbook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초.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인용된 관속식물의 종류와 특징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is study was examined the vascular plants and their characteristics cited in 311 science textbook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used in the fifth to seventh curriculum. Vascular plants were composed of 129 families, 332 genera, 383 species, 2 subspecies, 47 varieties, 6 forma, and 3 hybrid, totaling 441 taxa. The herbs and trees were consists of 280 taxa (63.5%) and 161 taxa (36.5%), respectively. Native species (241 taxa) were more cited than non-native species (200 taxa). The number of species within a family were high ranked in 35 taxa of Compositae, and 26 taxa of Gramineae. Nine species including endemic genus Hanabusaya Nakai and Abeliophyllum Nakai among the 441 taxa were Korean endemic, and the 25 rare and 12 endangered plants were also included. Based on the list of the species of specially designated plant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83 taxa were recorded in the investigated textbooks, and the naturalized plants were 16 taxa. 441 taxa listed consists of 185 taxa (41.9%) of edible plants, 148 taxa (33.5%) of medicinal plants, 139 taxa (31.5%) of ornamental plants, 87 taxa (19.7%) of pasture plants, 34 taxa (7.7%) of timber plants, 13 taxa (2.9%) of miscellaneous plants, 8 taxa (1.8%) of fiber plants, and 3 taxa (0.7%) of industrial plants.

본 연구는 제 5차, 제 6차 및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311종류의 초, 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인용된 관속 식물의 종류를 파악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용된 식물은 129과 332속 383종 2아종, 47변종 6품종, 3잡종으로 총 44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이 중 초본은 280종류(63.5%), 목본은 161종류(36.5%)였으며, 자생종과 외래종은 각각 241종류(54.6%)와 200종류(45.4%)였다. 과별로는 국화과가 35종류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벼과가 2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인용된 441분류군에는 한국특산식물은 9분류군, 희귀식물 25분류군, 멸종위기식물 12종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83종류와 16종류의 귀화식물이 포함되어 있다. 식물의 용도는 식용이 185종류(41.9%)로 가장 많았으며, 약용 148종류(33.5%), 관상용 139종류(31.5%), 목초용 87종류(19.7%), 목재용 34분류군(7.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Gebruder Borntraeger. Berlin. II Band, 666pp
  2. Melchior, H. and E. Werderman. 195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Gebruder Borntraeger. Berlin. Band, 367pp
  3. Raunkiaer, C. 1934.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Oxford Univ. Press, London, 623pp
  4. 김양필. 2000. 제4차, 제5차 및 제6차 교육과정의 초・중・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수록된 관속식물의 종류와 빈도 및 남・북한명칭의 비교.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5. 산림청. 1996. http://www.nature.go.kr/
  6. 신미진. 2002. 고등학교 과학과 교과서에 제시된 생물의 분류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7. 심재명, 윤성구. 1994. 신・구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출현된 동물의 종류 비교.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2: 167-193
  8. 여성희, 심규철, 이현욱, 소금현, 장남기. 1999. 초・중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동물학습 소재 분석 -생물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7: 256-265
  9. 여성희, 장남기. 1998. 초・중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식물학습 소재 분석-생물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6: 85-93
  10. 오병운, 조동광, 김규식, 장창기. 2005. 한반도 특산 관속식물. 국립수목원, 포천
  11. 이영노. 2006. 새로운 한국식물도감(I, II). 교학사, 서울
  12. 이우철. 1988. 우리나라 과학교과서 개정의 바람직한 방향. 강원대학교논문집 27: 73-93
  13. 이우철. 1996a. 한국식물명고. 아카데미서적, 서울
  14. 이우철. 1996b.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15. 이율경, 박강은. 2003. 제 7차 초・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유관속식물 학습 소재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1: 132-138
  16. 이율경, 박강은. 2006. 초・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유관속식물 학습 소재의 생태적 분석-고유성, 자생성, 중요종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 279-287
  17. 이창복. 1976. 한국의 관속식물과 유용도. 서울대 관악수목원 연구보고(1), 서울
  18. 이창복. 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19. 조영옥, 김성하, 정완호. 2001. 남북한 생물교과서에 나오는 동물과 식물의 종류와 종수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9: 148-154
  20. 최도성, 강문주. 1992. 국민학교 교재식물에 관한 분석적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0: 59-72
  21. 최선영, 강호감. 2002. 6차, 7차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개발된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에 나타난 식물의 종류에 대한 비교.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0: 209-220
  22. 홍웅선. 1982. 교과서 개발의 원리. 한국교육개발원
  23. 환경부. 2005a. 야생동식물보호법-멸종위기 야생 동, 식물 I, II급, 환경부
  24. 환경부. 2005b. http://alienplant.nier.go.kr/
  25. 환경부. 2006. 제3차 전국 자연환경조사 지침-특정식물종을 포함한 식물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