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ive quality of life

검색결과 595건 처리시간 0.028초

중년여성의 주관적 건강 및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The Influencing Factors of Subjective Health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 박혜선;김상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121-130
    • /
    • 2024
  • 건강한 노년을 위하여 중년의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주관적 건강인지와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제8기 자료를 이용하여 40-59세 중년 여성 1068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STATA 15.0을 이용하여 복합표본 평균과 표준편차, 복합표본 가중치 백분율, 복합표본 t-test, 다중회귀분석을 수행 하였다. 주관적 건강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공통요인은 교육수준, 가구원수, 우울증, 스트레스이었다. 연령, 폭음, 신체활동은 주관적 건강인지, 보험유형, 취업여부, 수면장애는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중년기는 노년기로 넘어가는 전 단계로 중년의 주관적 건강 및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건정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성인의 부정교합 자각증상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 (The correlation between symptoms of malocclusion in adults and their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 김수경;박소영;안지현;양지은;이세현;정은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25-234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subjective symptoms of malocclusion has on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Methods: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s aged 20 years, with a total of 308 copies of the response sheets analyzed. Results: The degree of subjective symptoms of malocclusion was highest in the group of those in their 20s when looked at across different age groups, and those who had a final education of middle school. In addition,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was the highest in middle school graduates and among those in Gyeonggi province. The degree of malocclusion symptom according to oral health behavior was highest in 1-2 weeks of drinking when smoking in a smoking state, and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was higher in smokers than in non-smokers. The greater the subjective symptoms of malocclusion, the lower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ive symptoms of malocclusion decreased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As such,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can be improved through aesthetic and functional improvement efforts to decrease the subjective symptoms of malocclusion.

농촌지역 중노년층 주민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Self-rated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and Elderly in Rural Areas)

  • 김윤영;현혜순;방활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17-325
    • /
    • 2020
  • 본 연구는 농촌지역 중·노년층 주민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농촌지역 중·노년층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 되었다. A군의 40세 이상 주민 235명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삶의 질을 측정하여 분석하였고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Sobel test로 검증하였다. 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삶의 질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우울은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 질의 신체적 건강지수와 정신적 건강지수 모두에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은 농촌지역 중·노년층 주민의 삶의 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며,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우울은 삶의 질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농촌지역 중노년층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주관적 건강상태 개선 및 우울 경감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요구된다.

일부 재활관련 전문가의 업무 스트레스와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 연구 -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Job Stress among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ists)

  • 구현모;이인희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2권2호
    • /
    • pp.69-75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job stress with regard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characteristics of physical therapists (PT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OTs). Methods: The study involved administering questionnaires to 93 PTs and OTs who worked in urban medical institutions between November 2009 and October 2009. A questionnaire (KvSBQOL) developed by Dunbar and colleagues and translated into Korean version by Yoon et al was used for measuring subjective quality of life.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m was used for measuring job stress. Results: Among PTs and OTs, the mean quality of life score was 3.10 points and the mean level of job stress was 3.42. Female PTs and OTs had significantly greater levels of job stress. Those PTs and OTs in the 'Lowest pay' group and in the 'Associated Degree' group reported the lowest quality of life. Those in the 'Very healthy' group of PTs and OTs had significantly lower job stress than the other groups. The group with the highest job stress had the lowest quality of life. A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that all data was self-reported and subject to associated bias. Conclusion: To prevent loss of business services by PTs and OTs, it is important to know how job stress affects quality of life. Our findings suggest that a reduction in job stress can improve quality of life among PTs and OTs.

재활트레이너의 완벽주의와 자기효능감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habilitation trainer's perfectionism and self-efficacy 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 이종복;김도진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8호
    • /
    • pp.155-161
    • /
    • 2022
  • 본 연구는 재활트레이너의 완벽주의, 자기효능감,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의 병원 및 재활 운동 센터에 근무하는 재활트레이너를 대상으로 206부의 설문 결과를 얻었다. 이를 SPSS 통계를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재활트레이너의 완벽주의와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의 하위요인을 독립변인으로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신체 자신감을 종속변인으로 한 결과, 자기지향, 타인지향, 사회적 부과에서 신체자신감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둘째, 완벽주의와 자기효능감의 신체능력의 관계에서 자기지향, 타인지향, 사회적 부과에서 신체자신감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셋째, 완벽주의와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자기지향, 타인지향, 사회적 부과에서 주관적 삶의 질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넷째,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에서 신체 능력, 신체 자신감에서 주관적 삶의 질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완벽주의, 자기효능감,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가 유의미한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와 관련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정규직 및 비정규직 고용형태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The Effect of Regular and Temporary Employmen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 손신영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71-182
    • /
    • 2015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employment type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thods :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were analyzed with the ${\chi}^2$ test,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employment typ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emporary workers was lower than that of regular workers.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regular workers were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stress, age, and education.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emporary workers were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education, stress, sleeping time, and gender.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ployment type affects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research on social policy is recommended to resolve health inequalities.

일 지역에 거주하는 암환자의 삶의 질, 정신건강 및 주관적 건강상태 조사 (Survey on Quality of Life, Mental Health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 이보영;조희숙;권명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9-60
    • /
    • 2010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of life, mental health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Methods: Subjects were 212 out-patients with cancer at Kangwon University Hospital.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10 to August 14, 2008. Quality of life as determined by the Euro Quality of life-5 Dimensions (EQ-5D) was measured using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KCDC). Mental health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measured using KCDC. Results: EQ-5D determined degrees of difficulty were 25.5%(mobility), 25.2%(anxiety or depression), 23.6%(pain or discomfort), 20.3%(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13.7%(self care). An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several factors and mental health showed th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were age, gender, medical coverage, and private insurance. An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several factor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showed th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was occupation. Conclusion: Cancer patients suffer from significant psychological distress. Programs that address mental and physical health would be beneficial.

암생존자의 주관적 구강건강 및 정신건강이 건강관련 삶의 질(EQ-5D)에 미치는 영향: 제8기(2019-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Effects of subjective oral and mental health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in cancer survivors : The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8th KNHANES, 2019-2020))

  • 정은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379-386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prepare basic data to improv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cancer survivors by confirming their oral and mental health statuses and identifying factors affecting thei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thods: Of all participants in the 8th KNHANES (2019-2020), adults aged 19 years or older who responded 'yes' to the diagnosis of cancer and 404 cancer survivors who responded 'none' to the current cancer prevalence item were selected as the final research participa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cancer survivors' oral and mental health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sults: Subjective oral health (p<0.01), chewing problems (p<0.05), subjective health (p<0.001), and depression (p<0.01) had an effec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Conclusions: Therefore, oral and mental health promotion may improv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u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oral and mental health and implement preventive education and programs.

웰니스 요인이 장애인근로자의 삶의 질과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ellness Components on the Quality of Life and Subjective Happiness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 이민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8호
    • /
    • pp.361-371
    • /
    • 2018
  • 본 연구는 장애인근로자의 웰니스 요인이 삶의 질과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실증연구이며, 장애인근로자들이 실생활에서 웰니스를 경험하고 건강지향적인 삶을 살아가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조사는 제8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의 원자료(raw data)를 활용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신체적 웰니스, 정서적 웰니스, 사회적 웰니스, 인지적 웰니스, 직업적 웰니스 요인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웰니스 요인들이 장애인근로자의 삶의 질과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5개의 웰니스 요인은 장애인의 삶의 질과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삶의 질은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장애인근로자의 웰니스가 높아져야만 그들의 삶의 질과 주관적 행복감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장애유형에 맞는 웰니스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지표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성인여성의 주관적 체형인식에 따른 삶의 질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f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Subjective Body Image of adult women)

  • 권명진;김선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297-305
    • /
    • 2019
  • 본 연구는 성인여성의 주관적 체형인식에 따른 삶의 질 영향요인을 비교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제 7기 1차 년도인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 총 8,150명 중 주관적 체형인식에 '마름', '보통', '비만'이라고 답한 20세 이상 여성 3,39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신체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IBM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부여한 복합표본계획파일을 생성한 후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주관적 체형을 마르게 인식한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준 요인은 교육 수준, 출산 경험, 우울, 주관적 건강이었고 이들의 설명력은 43.1%이었다. 보통이라고 인식한 대상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은 교육수준, 우울, 주관적 건강이었고 이들의 설명력은 26.5%이었으며, 비만으로 인식한 대상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은 나이, 1년간 체중변화, 1년간 체중조절, 고혈압 유무, BMI, 주관적 건강이었고 이들의 설명력은 40.9%이었다. 그러므로 주관적 체형인식 각각의 영향요인을 고려한 개별적 삶의 질 향상 중재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