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yrene monomer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1초

스티렌 모노머 화재폭발사고 피해예측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amage prediction analysis for styrene monomer fire explosion accidents)

  • 최형수;최민제;조규선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2호
    • /
    • pp.37-44
    • /
    • 2024
  • 본 연구는 석유 화학사 생산공장에 설치된 스티렌 모노머 저장 탱크의 화구(fireball)와 증기운 폭발(VCE)에 대한 최악의 시나리오를 선정하고 피해 예측 및 사고영향을 분석하였다. 혼합잔사유 저장 탱크의 주성분인 스티렌 모노머 이상중합반응 시 화구(fireball)와 증기운 폭발(VCE)로 인한 복사열과 과압의 영향 범위는 e-CA 사고 피해 예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정량 분석하였다. 복사열과 폭발 과압의 피해 영향 범위는 각 최대 반경 1,150m와 626m로 분석된다. 복사열 4kW/m2이 미치는 1,150m 이내 사람은 20초 동안 노출 시 피부가 부풀어 오를 수 있다. 폭발 과압 21kPa이 미치는 626m 이내 건축물은 철 구조물의 손상과 기초에서 이탈될 수 있고, 사람은 신체 부상할 수 있다. 화재, 폭발 또는 누출 사고 발생 시 복사열, 과압에 의한 사업장 내 근로자, 인근 주민 또는 주변 시설물 등의 위험 정도와 수용 여부 위험 기준을 판단하고, 취급 물질 유해·위험성 파악, 비상대응체계 구축, 개선 및 투자 활동 등을 통해 사업장 피해 최소화 대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라디칼 개시제를 이용한 MA-PLA 제조 및 바이오플라스틱 PLA/PA11 블렌드의 상용성 개선 (Preparation of MA-PLA Using Radical Initiator and Miscibility Improvement of PLA/PA11 Blends)

  • 이종은;김한얼;남병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76-85
    • /
    • 2019
  • Vegetable oil은 자연 유래 물질로 낮은 가격 및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으로 최근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vegetable oil 내의 이중결합의 낮은 반응성으로 인해 고분자 합성의 기반 물질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응성이 높은 관능기로 치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Tung oil은 ${\alpha}$-eleostearic acid를 주성분으로 하는데, 이 구조는 3개의 이중결합이 공명구조 형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다른 vegetable oil과는 달리 높은 반응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tung oil을 styrene 및 divinylbenzene 등의 monomer와 양이온 중합을 통해 tung oil의 관능기 치환 과정이 없는 열경화성 수지를 합성하였으며, 각 monomer의 조성이 합성된 열경화성 수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열적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tung oil-styrene-divinybenzene copolymer는 단일 Tg를 갖는 homogeneous한 열경화성 고분자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기계적 물성의 변화를 통해 tung oil 및 styrene은 soft segment로써 합성된 copolymer에 elastic한 성질을 부여하고, divinylbenzene은 hard segment로 작용하여 합성된 copolymer에 brittle한 성질을 부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Estrogenic Reduction of Styrene Monomer Degraded by Phanerochaete chrysosporium KFRI 20742

  • Lee Jae-Won;Lee Soo-Min;Hong Eui-Ju;Jeung Eui-Bae;Kang Ha-Young;Kim Myung-Kil;Choi In-Gyu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4권2호
    • /
    • pp.177-184
    • /
    • 2006
  • The characteristic biodegradation of monomeric styrene by Phanerochaete chrysosporium KFRI 20742, Trametes versicolor KFRI 20251 and Daldinia concentrica KFRI 40-1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resistance, its degradation efficiency and metabolites analysis. The estrogenic reduction effect of styrene by the fungi was also evaluated. The mycelium growth of fungi differentiated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levels of styrene. Additionally P. chrysosporium KFRI 20742 showed superior mycelium growth at less than 200 mg/l, while D. concentrica KFRI 40-1 was more than 200 mg/l. The degradation efficiency reached 99 % during one day of incubation for all the fungi. Both manganese-dependent peroxidase and laccase activities in liquid medium were the highest at the initial stage of incubation, whereas the lowest was after the addition of styrene. However, both activities were gradually recovered after. The major metabolites of styrene by P. chrysosporium KFRI 20742 were 2-phenyl ethanol, benzoic acid, cyclohexadiene-1,4-dione, butanol and succinic acid. From one to seven days of incubating the fungi, the expression of pS2 mRNA widely known as an estrogen response gene was decreased down to the level of baseline after one day. Also, the estrogenic effect of styrene completely disappeared after treatment with supernatant of P. chrysosporium KFRI 20742 from one week of culture down to the levels of vehicle.

Characterization of Mechanical Property Change in Polymer Aerogels Depending on the Ligand Structure of Acrylate Monomer

  • Lee, Kyu-Yeon;Jung, Hae-Noo-Ree;Mahadik, D.B.;Park, Hyung-Ho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5-20
    • /
    • 2016
  • In an effort to overcome the weakness of aerogel, polymer aerogels have been prepared by copolymerizing the different types of monomers through sol-gel process. Polymerizing the successive phase of a high internal phase emulsion, which has interconnected porous structure, porous polymer aerogel can be manufactured. In this paper, we use the styrene/divinylbenzene chain as a basic monomer structure, and additionally use 2-ethylhexyl methacrylate (2-EHMA) or 2-ethylhexyl acrylate (2-EHA) as monomers for distinguishing the visible mechanical properties of synthesized polymer aerogel. We can observe the different tendency of polymer aerogels by kinds of monomer or ratio. Flexibility and microstructure can be changed by the types of monomer. EHA polymer aerogel shows high flexibility and thin microstructure, and EHMA polymer aerogel shows high hardness and thick microstructure. EHA/EHMA polymer aerogel shows the intermediate nature between them. By utiliz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ree types of polymer aerogels to adequate situation or environment, polymer aerogels could be used as drug agent, ion exchange resin, oil filter and insulator, and so on.

자유라디칼 Telomerization 에 의한 스티렌메타크릴산메틸 Block 혼성중합체의 합성 및 분석 (제1보) (Synthesis and Charaterization of Poly(styrene-b-methyl Methacrylate) by Free Radical Telomerization (Ⅰ))

  • 박정학;서길수;최삼권
    • 대한화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59-265
    • /
    • 1980
  • 자유라디칼 telomerization 반응을 이용하여 스티렌-메타크릴산메틸 block 혼성중합체 (PS-b-PMMA)를 합성하였다. AIBN을 개시제로 사용하여 CCI$_4$로 스티렌을 telomerization시킨 다음 생성된 중합체의 $CCI_3$ 말단기를 macrotelogen으로 사용하여 AIBN 개시에 의해 메타크릴산 메틸을 다시 telomerization하여 스티렌-메타크릴산메틸 block 혼성중합체를 얻었다. Macrotelogen의 농도, 단위체의 농도, macrotelogen의 분자량, 반응온도 및 용매의 농도가 block 혼성중합체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반응조건을 조절하여, PMMA가 약 10무게%까지 포함된 block 혼성중합체를 얻었다.

  • PDF

초임계 이산화탄소 함침을 이용한 연료전지용 폴리스타이렌/폴리프로필렌 복합막의 제조 (Preparation of Polypropylene Grafted Polystyrene Sulfonic Acid Membranes for DMFCs in Supercritical CO2)

  • 변정연;석준호;신우균;김화용
    • 청정기술
    • /
    • 제11권3호
    • /
    • pp.141-146
    • /
    • 2005
  • 초임게 이산화탄소를 용매 및 팽윤제로 사용하여 함침 및 라디칼 중합으로 폴리프로필렌막에 스타이렌(styrene)을 그래프팅 시켰다. 모노머인 스타이렌의 양을 변수로 조절해가면서 막을 제조하였다. 초임계 함침, 중합 공정을 통해 만들어진 술폰화된 폴리스타이렌을 그래프팅한 폴리프로필렌 막 (PP-g-pssa)을 다양한 방범으로 특성화하였다. SEM과 EDS을 통하여 그래프팅 막의 표면 및 구조, 술폰화 여부를 분석하였다. 모노머의 양이 증가할수록 메탄올 투과도는 감소하고 이온 전도도와 전지 성능은 증가하다가, 스타이렌 모노머의 양이 1.5 g이상에서 제조된 막의 메탄올 투과도, 이온 전도도 및 전지 성능은 거의 유사한 값을 보였다.

  • PDF

단분산상으로 가교된 고분자 비드의 합성 (Preparation of Monodispersed Crosslinked Polymer Beads)

  • 심상은;변재만;전종원;차윤종;최순자
    • 폴리머
    • /
    • 제24권3호
    • /
    • pp.287-298
    • /
    • 2000
  • DVB (divinylbenzene)를 가교제로 하여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단분산상 폴리스티렌 입자를 분산 중합법으로 제조하면서, 반응 온도와 단량체, 개시제, 용매 및 공용매의 농도, 안정제 poly(N-divinylpyrrolidone) (PVP) 함량과 분자량, 그리고 DVB의 함량이 전환율과 생성 입자의 크기 및 분포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분산매로는 에탄올을, 개시제로 AIBN, 공통 분산매로톨루엔, 그리고 안정제로는 분자량 40000의 PVP를 사용하였다. 반응온도가 높아지고 개시제의 농도가 1%에서 4%로 증가할수록 반응속도와 전환율은 상승하고 모든 반응조건에서 10시간의 반응 결과 전환율과 입자의 크기는 거의 완결 단계에 이르렀으며, 오히려 24시간 동안 반응된 입자의 안정성은 10시간의 것보다 뒤떨어졌다. 또한 반응온도의 상승이 개시제의 농도변화보다 반응속도와 전환율에 더 민감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각각 반응물의 조성을 변화시키면서 입자크기 및 분산도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표면 특성이 안정하며 단분산상의 분포도를 갖는 구형의 고분자 입자를 중합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은 0.5% DVB, 25% 스티렌 단량체, 20-25% 톨루엔, PVP 농도는 10~15%, AIBN의 농도는 2와 4%이었으며, 이 조건에서 10시간의 반응으로 합성된 비드의 평균 입자경은 각각 3.9~4 $\mu\textrm{m}$와 3.4~9.3 $\mu\textrm{m}$이었다.

  • PDF

Core-Shell Poly(Styrene/Sulfonated N-hydroxy Ethyl Aniline) Latex Particles Prepared by Chemical Oxidative Polymerization in Emulsion Polymerization

  • Shin Jin-Sup;Lee Jung-Min;Suzuki Kiyoshi;Nomura Mamoru;Cheong In-Woo;Kim Jung-Hyun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4권4호
    • /
    • pp.466-472
    • /
    • 2006
  • The kinetic behavior of emulsion polymerizations of styrene in the presence of sulfonated N-hydroxy ethyl aniline (SHEA) was investigated with two initiators: 2,2'-azobisisobutyronitrile (AIBN) and potassium persulfate (KPS). SHEA was synthesized using a stepwise polyurethane reaction method from 3-hydroxy-1-propane sulfonic acid sodium salt, isophorone diisocyanate (IPDI), and N-(2-hydroxyethyl) aniline. Stable core-shell poly(styrene/sulfonated N-hydroxy ethyl aniline, St/SHEA) latex particles were successfully prepared by using an appropriate amount of AIBN, in which SHEA plays the role of 'surfmer', i.e., acting as both a surfactant in the emulsion polymerization and a monomer in the chemical oxidative polymerization. The kinetic behavior was dissimilar to that of typical emulsion polymerization systems. A long inhibition period and low rate of polymerization were observed due to radical loss by the oxidative polymerization of SHEA. It was concluded, due to the low water-solubility of AIBN and retardation reaction by SHEA, that the initial loci of polymerization were monomer droplets. However, growing polymer particles as polymerization loci became predominant as polymerization proceeded. It was suggested that AIBN was more effective than KPS in the preparation of the core-shell type poly(St/SHEA) latex particles. With KPS, no substantial polymerization was observed in any of the samples.

스티렌과 불소함유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및 공중합체의 특성 (Copolymeriz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tyrene and Fluorine-Containing Acrylate)

  • 김상신;이상원;허정림;허완수
    • 폴리머
    • /
    • 제26권1호
    • /
    • pp.9-17
    • /
    • 2002
  • 탄화수소의 수소 부분이 불소로 치환된 과불소알킬기(perfluoro group : $CF_3(CF_2)_nCH_2CH_2$-; n=5, 7, 9, 11)를 함유하고 있는 perfluoroalkylethyl acrylate(FA)와 styrene을 bulk 상태에서 $60^{\circ}C$를 유지하며 $\alpha$, $\alpha$'-azobisisobutyronitrile(AIBN)을 개시제로 하여 각각의 단량체의 반응 몰비를 변화시키며 전환율을 10% 이내로 제한하여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또한 반응 몰비의 변화에 따른 중합된 공중합체내의 반복단위의 함량사이의 관계와 Helen-Tudos법을 이용하여 단량체 반응성비 $r_1$, $r_2$를 구하였다. FT-IR과 $^1H-NMR$을 통해 두 단량체의 공중합 여부와 구조를 정성적으로 확인하였고 공중합체의 조성은 $^1H-NMR$분석을 통해 구하였다. 단량체의 비율에 따른 열적 특성은 DSC와 TGA를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공중합체와 소량의 공중합체가 첨가된 PMMA의 접촉각을 측정하여 공중합체의 표면특성을 나타내는 표면자유에너지를 계산하였다.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Wood Plastic Combinations (II). Monomer Impregnations and Gamma-ray Induced Polymerizations

  • Pyun, Hyung-Chick;Kim, Jae-Rok;Lee, Kyung-He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권1호
    • /
    • pp.23-30
    • /
    • 1972
  • 감마선 중합에 의한 목재와 프라스틱의 복합체 제조에 있어서, 각종 목재들에 대한 단량체의 침투량과 침투속도를 검토하였으며, 중합에 있어서는 국산 목재를 주로 하여 이에 각종 단량체 및 그 혼합물, 방사선의 조사량, 조사율, 이에 따르는 중합속도 등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단량체 침투에 있어서, 침투속도나 침투량은 모두 포플라에서 컸다. 2) 목재내에서의 단량체의 중합속도는 비닐 아세테이트-메찔메타아크릴레이트-스타이렌의 순서이며 필요한 전 조사량은 조사율 4$\times$$10^4$rad/hr에서 3~15Mrad의 범위었다. 따라서 중합속도의 관점에서 볼때 비닐아세테이트나 메찔메타아크릴레이트가 좋은 단량체 이다. 3) 단량체와의 결합에 있어서 리기다송, 육송등이 중합속도로 보아 효과적인 목재이다. 4) 목재 내부에서 단량체는 비교적 낮은 조사율인 2.1$\times$$10^4$rad/hr에서 더 용이하게 중합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