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ss deviator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31초

굴패각 혼합토의 비배수 전단강도 특성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Characteristics of Mixed Soil with Oyster Shells)

  • 송영진;김기영;문홍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7-1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굴패각 혼합토의 전단강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해성토에 굴패각 혼합율 0%, 25% 그리고 50%로 달리 한 후 $K_o$ 비배수 삼축압축 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혼합비에 따라 유효 연직압을 200kPa, 300kPa 그리고 400kPa로 적용하였고, 유효 연직압 300kPa에 대해서 전단속도를 세가지로 달리하여 그에 따른 혼합토의 전단강도 특성을 알아보았다. 일련의 실험결과로부터 굴패각 혼합비가 증가할수록 굴패각 입자의 파쇄로 인해 전단강도가 증가함을 볼 수 있었으며, 전단속도는 굴패각 혼합토의 전단강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굴패각 혼합토의 실내실험과 Mayne, Bishop의 경험식을 토대로 비교 분석한 결과 비배수 전단강도는 실험값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간극수압계수 예측은 혼합비 0%에서 경험식이 실험값과 보다 과대 평가를 보이고 있다.

Time-dependent behaviour of interactive marine and terrestrial deposit clay

  • Chen, Xiaoping;Luo, Qingzi;Zhou, Qiujuan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7권3호
    • /
    • pp.279-295
    • /
    • 2014
  • A series of one-dimensional consolidation tests and triaxial creep tests were performed on Nansha clays, which are interactive marine and terrestrial deposits, to investigate their time-dependent behaviour. Based on experimental observations of oedometer tests, normally consolidated soils exhibit larger secondary compression than overconsolidated soils; the secondary consolidation coefficient ($C_{\alpha}$) generally gets the maximum value as load approaches the preconsolidation pressure. The postsurcharge secondary consolidation coefficient ($C_{\alpha}$') is significantly less than $C_{\alpha}$. The observed secondary compression behaviour is consistent with the $C_{\alpha}/C_c$ concept, regardless of surcharging. The $C_{\alpha}/C_c$ ratio is a constant that is applicable to the recompression and compression ranges. Compared with the stage-loading test, the single-loading oedometer test can evaluate the entire process of secondary compression; $C_{\alpha}$ varies significantly with time and is larger than the $C_{\alpha}$ obtained from the stage-loading test. Based on experimental observations of triaxial creep tests, the creep for the drained state differs from the creep for the undrained state. The behaviour can be predicted by a characteristic relationship among axial strain rate, deviator stress level and time.

Bottom Ash의 최대입경에 따른 시간-의존적 거동 특성 및 크리프 모델 적용성 검토 (The Time-Dependent Behavior Characteristic of Bottom Ash by Maximum Particle Size and Application of Creep Models)

  • 김태완;손영환;봉태호;노수각;박재성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5권5호
    • /
    • pp.9-16
    • /
    • 2013
  • This study finds the characteristics of long-term settlement of Bottom Ash and to review the application of Singh-Mitchell creep equation and Burgers Model to the creep behavior of Bottom Ash. In the undrained state, it was confirmed that creep behavior appeared in the range to 30-80 % of the maximum deviator stress by applying condition in other three stresses through triaxial compression test after isotropically consolidation. By using sieve analysis, it was compared to each sample that was passed through 9.5 mm, 2 mm, 0.25 mm sieves. Also, using Singh-Mitchell creep equation and Burgers Model, it was compared between the theoretical behavior and the observed behavior for each sample. In the result, it is found that creep behavior of Bottom Ash is similar to the theoretical behavior of Singh-Mitchell creep equation and Burgers Model in early stage and it is possible to predict creep behavior of Bottom Ash by these models.

불포화토의 삼축압축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Triaxial Compressive Behaviour of Unsaturated Soil)

  • 김영석;오카 후사오;조삼덕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24-1227
    • /
    • 2006
  • It has been recognized unsaturated soil behaviour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geomechanics. Up to now, only a few experimental data are available for the technical difficulties related to both volume changes and suction measurements. In this study, the volume changes of unsaturated compacted silty soil were monitored with proximeter (i.e. non-contactable transducer) during various triaxial compression tests, which gave a realistic estimation in the volume changes of unsaturated soil sample. The measurement of volume changes were performed with 0.5% of the maximum error under the axial strain ratio of less than 10%. The experimental results have revealed that the mechanical behaviour of unsaturated soil can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matric suction. During the shearing processes, the level of maximum deviator stress under the initial suction pressure of 50kPa was higher than that under the initial suction pressure of 10kPa. On the other hand, the volume changes became smaller under the increase in the initial suction pressure.

  • PDF

점성토의 회복탄성계수($M_r$)에 대한 포화도의 영향 (Effect of Saturation on Resilient Modulus of Cohesive soils as subgrade)

  • 김동규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40-1147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degree of saturation on the resilient modulus of cohesive soils as subgrade. Six representative cohesive soils representing A-4, A-6, and A-7-6 soil types collected from road construction sites across Ohio, were tested in the laboratory to determine their basic engineering properties. Resilient modulus tests were conducted on unsaturated cohesive soils at optimum moisture content, and samples compacted to optimum conditions but allowed to fully saturate. The subgrade compacted at optimum moisture content may be fully saturated due to seasonal change. Laboratory tests on fully saturated cohesive soils showed that the resilient modulus of saturated soils decreased to less than half that of soil specimens tested at optimum moisture content. The reduction of resilient modulus would possibly be caused by the buildup of pore water pressure. In resilient modulus testing performed in this study on saturated samples, pore water pressure increases were observed. Pore water pressure and residual pore water pressure gradually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deviator stress.

  • PDF

탄.소성 구성 모델의 초질매개변수 예민성 (Sensitivity of Parameters for Elasto-plastic Constitutive Model)

  • 정진섭;김찬기;이문수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8권2호
    • /
    • pp.81-96
    • /
    • 1992
  • 본 문은 Lade의 단일항복면 구성모델(single work-hardening model)을 선정하여 사질토의 거동해석에 필요한 토질매개변수를 실내시험을 하여 구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실험오차가 해석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서는 백마강 모래에 대하여 등방압축-팽창시험과 구속압력을 달리한 일련의 배수삼축시험을 하고 이 시험자료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근거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토질 매개 변수 결정 프로그램에 의해 기찬매개변수를 결정하고 그 평균치에서 표준편차를 증감시켜 축방 향변형률에 대한 축차응력 및 체적변형률의 상계 및 하계 범위를 밝힘으로서 각 토질매개변수의 민감도를 규명하였다. 그 결과 토질매개변수결정 프로그램의 실용성이 크다는 것을 화인하고 Lade의 단일항복면 구성모델의 예측능력이 좋다는 것을 알았다.

  • PDF

삼축압축 하에서 지중연속벽 주변 방콕 연약 점토의 거동 (Behaviors of Soft Bangkok Clay behind Diaphragm Wall Under Unloading Compression Triaxial Test)

  • Le, Nghia Trong;Teparaksa, Wanchai;Mitachi, Toshiyuki;Kawaguchi, Takayuki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9호
    • /
    • pp.5-16
    • /
    • 2007
  • 비배수 상태에서의 변수 $S_u,\;E_u$, n의 함수로 표현되는 단순한 선형 완전점탄성 모델은 굴착 중에 연성 토양에 시공되는 지중연속벽의 변위를 예측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유한요소해석에서의 이러한 모델은 굴착이 잠시 중단되었거나 완료된 후 지중연속벽의 측방향 변위를 연속적으로 예측하는 데 한계가 있다. 굴착이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의 지중연속벽 주변 토양의 변형 거동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지중연속벽 주변 토양에 작용하는 응력상태를 가정한 '방콕 연약 점토'에 대한 일련의 삼축압축시험이 모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다른 조건에서의 삼축압축시험이 실시되었는바, 압밀 비배수 조건에서의 재하($CK_0UC$), 압밀 배수 및 비배수 조건에서의 재하 및 제하($CK_0DUC$$CK_0UUC$)의 조건에서 시험이 실시되었다. 시험으로부터 일련의 $CK_0DUC$ 시험에서 얻은 전단강도는 $CK_0UC$ 시험에서의 잔류강도와 같음을 알 수 있었다. $CK_0DUC$ 시험에서 시험편에 가해지는 수평압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면서 측정한 탄성계수는 편차응력의 증가와 더불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K_0UC$$CK_0DUC$시험에서 한계상태 관계의 기울기가 동일하게 나타났다. 더욱이, $CK_0DUC$시험에서 수평압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경우의, 축방향 및 반경방향 변형율 증가율을 시간, 한계상태 관계의 기울기, 편차응력과 평균 유호응력의 비의 함수로 표현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삼축압축시험의 제하 과정에서 얻은 시험 결과가 굴착 중 지중연속벽의 변형을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AFM)과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을 통해 관찰한 GST 다층박막시료의 고온 열처리 전후 표면미시거칠기 변화도 PRAM 기록기를 사용할 때에는 in-situ 타원계를 사용할 때보다 1/10 정도의 크기를 보여주어 PRAM 기록기와 분광타원계를 사용하여 결정한 GST의 고온광학물성의 신뢰성을 확인하여 주었다.>, 여자 $179.1{\pm}37.2%$이었다. 평균필요량에 비해 가장 낮은 양을 섭취한 영양소는 엽산으로서 남자 $60.1{\pm}10.8%$, 여자 $54.6{\pm}9.9%$로 조사되었다. 칼슘의 섭취량은 평균필요량에 비해 전체 $74.9{\pm}31.9%$로 나타났다. 에너지 섭취량에 있어서 남자 노인들은 모두가 필요추정량의 75% 미만을 섭취하고 있었고 여자 노인의 경우에도 97%가 필요추정량의 75% 미만을 섭취하여 에너지 섭취량이 매우 낮았다 반면에 단백질 섭취량에 있어서는 남자 노인의 경우 100%가 평균필요량의 125%를 초과하였고, 여자 노인의 경우에는 91%가 평균필요량의 125%를 초과하여 대조적이었다. 비타민 A와 E는 각각 평균필요량과 충분섭취량의 125%를 초과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에 비타민 $B_2$는 특히 남자 노인에서 평균필요량의 75%미만을 섭취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엽산 섭취량에 있어서는 평균필요량의 75% 미만을 섭취한 비율이 전체 96%로 나타나 심각한 부족상태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철의 섭취량은 남녀 모두 100%가 평균필요량의 125%를 초과하여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연의 섭취량은 남자 17%,여자 15%가 평균필요량의 75% 미만을 섭취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에너지와 엽산은 모든 노인들에서 평균필요량에 미달되게 섭취한

Ko 정규압밀 이암풍화토의 이방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Anisotropy of Completely Weathered Mudstone under Ko Normally Consolidation)

  • 김영수;김병탁;김종승;박명렬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5-12
    • /
    • 2000
  • 포항 두호동 지역과 인근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이암은 공기 중에 노출되거나 물과 접하게 되며 강도가 급격히 감소되어 많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자연상태의 점성토는 $K_o$ 상태로 존재하며 하중재하시 주응력 방향에 따라 다르게 거동하는 이방적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상태와 동일한 $K_o$ 압밀을 행한 후 각기 다른 방향에서 샘플링한 시료에 대하여 전단재하속도를 달리하며 삼축압축시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시험에서 얻어진 응력 - 변형거동 결과를 Cam-clay 모델에 의한 예측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시험결과에 의하면, 샘플링각도가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증가함에 따라 $K_o$ 값은 감소하였으며, 이암풍화토에서는 변형을 연화거동을 나타내고 있다. 전반적으로 실험결과와 Cam-clay 모델의 거동양상은 비슷하지만, 측차응력에 대한 실험결과가 예측결과보다 훨씬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K_o$ 압밀된 이암풍화토의 응력-변형거동의 예측에 대한 Cam-Clay model의 적응성은 만족스럽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점성토(粘性土)의 응력(應力) - 변형(變形) 추정(推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tress-Strain Prediction of Silty Clay)

  • 조성섭;강예묵;정성규;윤현정
    • 농업과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65-78
    • /
    • 1992
  • 본(本) 연구(硏究)는 당진지방(唐津地方)의 해성(海成)실트질 점성토(粘性土)를 채취하여 물리적(物理的) 실험(實驗) 및 삼축압축시험(三軸壓縮試驗)을 실시하고, 그 시험결과로 쌍곡선식(雙曲線式) 매개상수(媒介常數)를 구한 후, 쌍곡선식(雙曲線式) 모형(模型)에 의한 응력일변형관계(應力一變形關係)를 검토하여 점성토(粘性土)의 응력일변형(應力一變形)을 추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건조밀도(乾燥密度) 및 함수비(含水比)의 증가(增加)에 따른 탄성계수(彈性係數)는 건조밀도(乾燥密度)에 비례하고, 함수비(含水比)는 반비례하였다. 2. 쌍곡선식(雙曲線式) 모형(模型)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적압력(積壓力)과 건조밀도(乾燥密度)이었고, 점착력과 내부마찰각(內部摩擦角)은 이보다 적은 영향(影響)을 타나났다. 3. 통계적(統計的) 방법(方法)의 추정치를 쌍곡선식(雙曲線式)에 의한 추정치와 비교하였으나, 통계적(統計的) 추정치가 쌍곡선식(雙曲線式) 모형(模型)에 의한 추정치보다 낮게 나타났다. 4. 많은 그림과 계산과정(計算過程)을 단순화하여 시간적 노력을 줄이는 실용적(實用的) 전산(電算)프로그램을 작성하였으나, 입력되는 기초정수(基礎定數)의 시험오차(試驗誤差)를 없애는 것이 중요하다.

  • PDF

반복재하(反復載荷)에 의한 점성토(粘性土)의 응력변형특성(應力變形特性) (Stress-Strain Behavior of Clays under Repeated Loading)

  • 조재홍;강예묵;유능환
    • 농업과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329-344
    • /
    • 1987
  • 과압밀비(過壓密比)와 전단속도(剪斷速度) 및 다짐율(率)이 점성토(粘性土)의 응력변형특성(應力變形特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기 위해서 반부극하(反復戟荷)에 의(依)한 삼축압축시험(三軸壓縮試驗)을 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반부재하(反復載荷)를 했을 때 같은 변형(變形)에서 축차응력의 차(差)는 큰 변형(變形)에서 반부재하(反復載荷)했을 때 더욱 크게 나타났고 공극수압(空隙水壓)은 제하시(除荷時)에는 감소(減少)하다가 다시 증가(增加)하며 재재하(再載荷)되면서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現象)을 나타냈다. 2. 과압밀비(過壓密比)가 클수록 변형(變形)의 증가(增加)에 따라 회복되는 탄성변형률은 감소(減少)하였으며 제일재하계수(除一載荷係數)는 과압밀비가 증가(增加)할수록 감소(減少)하였다. 3. 전단속도(剪斷速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탄성변형율(彈性變形率)은 증가(增加)하였고 변형(變形)의 증가(增加)에 따라 탄성변형율(彈性變形率)은 감소(減少)하였다. 제일재하계수(除一載荷係數)는 변형(變形)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감소(減少)하였고 전단속도(剪斷速度)가 빠른 경우에 큰 값을 나타냈다. 4. 회복되는 탄성변형율(彈性變形率)은 다짐율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크게 나타났고 또 변형(變形)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탄성변형율(彈性變形率)은 약간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냈다. 제일재하계수(除一載荷係數)는 다짐율(率)의 증가(增加)에 따라 뚜렷한 경향(傾向)은 보이지 않았으나 일반적(一般的)으로 변형(變形)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