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rilizer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18초

재사용 플러그 상토의 이화학적 특성 및 재사용 상토가 토마토와 오이의 묘소질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used Plug Media and its Effect on Growth Response of Tomato and Cucumber Seedlings)

  • 변효증;김영식;강호민;김일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07-212
    • /
    • 2012
  • 현재 국내에서 농가에 보급되는 플러그 묘중 가지과 작물의 토마토와 박과작물의 오이, 참외, 수박은 평균 70% 이상이 연작에 의한 토양전염성 병해를 회피할 목적 등으로 접목육묘를 한다. 접목작업 후 대목 또는 접수용으로 사용된 상토의 일부는는 전량 폐기되는데 이를 재사용하려는 시도가 일부 육묘장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목용으로 사용되었던 상토는 병발생 위험성은 물론 물리성과 화학성이 신규상토와 달라 육묘 관리에 많은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판용 상토(NPM)와 과채류 대목용으로 1회 사용한 후에 재사용을 위해 증기 소독된 상토(UPM)의 이화학적 특성과 이들 상토가 과채류 묘소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플러그 상토의 재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토양삼상계를 이용하여 고상용적, 기상용적, 입자밀도, 공극율, 용적밀도 등 상토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화학적 특성은 토양분석기를 이용하여 $NO_3$-N, $P_2O_5$, K, Mg, Ca, $SiO_2$, CEC, 유기물 함량 등을 조사하였다. 상토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UPM이 NPM보다 공극율은 25%, 보수력은 15% 정도 낮았으나, 용적 및 입자밀도는 2배 이상 높아 단위 용적당 상토무게도 2.5배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pH와 EC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양이온치환능력은 재사용 상토가 40% 정도 낮았다. 오이와 토마토 재배 결과 신규 상토에 비해 재사용 상토의 무기이온의 흡수능력과 묘소질이 전반적으로 불량하여 육묘상토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재사용 상토의 물리성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몇 발근환경인자(發根環境因子)가 주목삽수(揷穗) 발근(發根)에 미치는 효과(効果) (Effects of Some Environmental Factors on Japanese Yew (Taxus cuspidata Sieb. et Zucc.))

  • 김창호;남정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0권1호
    • /
    • pp.1-6
    • /
    • 1985
  • 주목(朱木)(Taxus cuspidata Sieb. et Zucc)의 휴안지삽수(休眼枝揷穗)를 1982년(年) 4월(月) 20일(日)에 온실내(温室內)와 포지조건(圃地條件)에서 삽목(揷木), 당년(當年) 10월(月) 31일(日)에 발근개체(發根個體)를 가지고 평균발근율(平均發根率)을 계산(計算)하여 통계분석(統計分析)하였다. 본(本) 실험(實驗)의 목적(目的)은 원예적(園藝的)으로 가치(價値)를 평가(評價)받고 있음에 착안하여 가장 합리적(合理的)인 삽목조건(揷木條件)을 찾아내는 데 있다.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온실내삽목(温室內揷木)은 포지삽목(圃地揷木)에 비해 평균발근율(平均發根率)이 높았다. 이것은 처리별(處理別)의 차이(差異)에 불구하고 같은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2) IBA처리구(處理區)는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해 더 높은 평균발근율(平均發根率)을 보였다. 온실내삽목(温室內揷木)의 경우 IBA처리구(處理區)는 평균발근율(平均發根率) 86%, 무처리구(無處理區) 23%, 포지삽목(圃地揷木)인 경우 IBA처리구(處理區) 53%, 무처리구(無處理區) 11%이다. 이것은 모두 삽수장(揷穗長) 20cm, 그리고 사토배지(砂土培地)에 삽목(揷木)되었을 경우이다. 3) 삽목배지(揷木培地)로서 사토(砂土), 양토(壤土), 갈색토(褐色土) 중(中) 온실내삽목(温室內揷木)이나 포지삽목(圃地揷木) 공히 사토구(砂土區)가 가장 높은 발근율(發根率)을 보였다. 4) 삽수장(揷穗長)이 발근(發根)에 마치는 영향을 분석(分析)한 바 15~20cm가 발근(發根)에 적당하고 25cm 이상은 발근율(發根率)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고찰(顧察)에 의한 발근양식(發根樣式)은 삽수하단절단면(揷穗下端切斷面)에 켈루스세포괴(細胞塊)가 생기고 그 안에 근기(根基)가 만들어져 근계형성(根系形成)에 관여하는 경우와 삽수(揷穗)의 경부(莖部)에 측근(側根)모양으로 나타나는 불정근(不定根)의 경우이다.

  • PDF

가습기 살균제 성분(PHMG, PGH, CMIT/MIT)의 사람 피부세포 독성 및 제브라피쉬 뇌신경 독성 비교 연구 (Comparison study of dermal cell toxicity and zebrafish brain toxicity by humidifier sterilizer chemicals (PHMG, PGH, CMIT/MIT))

  • 조경현;김재룡
    • 환경생물
    • /
    • 제38권2호
    • /
    • pp.271-277
    • /
    • 2020
  • 가습기 살균제 성분(PHMG, PGH, CMIT/MIT)의 노출에 의한 다양한 장기에 대한 독성들에 대해서 피해사례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세포모델과 동물모델에서의 연구와 보고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심혈관 독성, 간 독성, 배아 독성에 대해서는 최근 알려져 있으나 뇌신경 독성과 피부 독성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적게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세 가지 성분들의 피부 독성과 뇌신경 독성을 사람 피부섬유세포와 제브라피쉬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각각 평가하였다. 사람피부섬유세포에 세 가지의 성분들을 0, 2, 4, 6, 8, 16 mg L-1 (최종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세포 생존율은 PHMG가 33%로 가장 낮았고, PGH가 49%, CMIT/MIT가 40%의 생존율을 보였다. 세포배양액 내의 산화물을 정량해본 결과, PHMG 처리된 세포가 28 nmol MDA로 가장 높았고, PGH가 13 nmol MDA, CMIT가 21 nmol MDA를 보였다. 제브라피쉬 사육수조에 PHMG, PGH, CMIT를 40 mg L-1의 최종농도가 되도록 희석한 후, 제브라피쉬를 30분간 노출시킨 후 중뇌의 광시개영역(optic tectum)을 횡면 미세절단하여 산화물의 생성정도를 비교해본 결과, CMIT/MIT를 처리한 그룹에서 대조군 대비 17배 많은 산화물의 생성이 있었고, PGH를 처리한 그룹에서는 15배, PHMG를 처리한 그룹에서는 11배 많은 산화물이 관찰되어 심각한 뇌신경계 독성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세 가지 종류의 가습기 살균제 성분들에서 모두 심각한 피부세포 독성과 뇌신경계 독성이 나타났는데, 피부 독성은 특히 PHMG가, 뇌신경계 독성은 특히 CMIT/MIT가 가장 심각하였다. 이들 결과들은 가습기 살균제에 노출된 어린이들이 뇌신경계 독성을 통하여 언어장애, 운동장애, 발달장애 등을 겪게 될 수도 있음을 실험적으로 제시한다.

살균시유(殺菌市乳)의 세균오염원(細菌汚染源)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ources of Bacterial Contamination in U. H. T. Processed Milk)

  • 김종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7권2호
    • /
    • pp.103-108
    • /
    • 1980
  • U. H. T. 처리우유(處理牛乳)의 처리공정별(處理工程別) 세균함유수(細菌含有數)를 추적하므로서 살균시유(殺菌市乳)의 세균오염원(細菌汚染源)을 확인(確認)하고 보다 위생적(衛生的)인 시유(市乳)의 생산방법(生産方法)을 검토(檢討)코자 U. H. T. 시유(市乳) 치리장(處理場)에서 각(各) 공정(工程) 처리유(處理乳) 및 용기(容器), 공기(空氣), 처리수등(處理水等)이 함유(含有)하고 있는 중온성균(中溫性菌), 호열성균(好熱性菌), 호냉성균(好冷性菌) 및 대장균등(大腸菌等)의 소장(消長)을 시험(試驗)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U. H. T. 처리중(處理中) 저유(貯乳) tank로부터 예열전(豫熱前) pipe line까지의 우유중(牛乳中)에는 $1.2{\times}10^7{\sim}1.9{\times}10^7/ml$의 중온성균수(中溫性菌數)를 나타내고 있으나 예열(豫熱) 및 균질과정(均質過程)에서 $7.0{\times}10{\sim}3.4{\times}10^2/ml$로 감소(減少)되었고, 균과정(殺菌過程)에서 $1.0{\times}10/ml$ 이하로 격감되었으며 포장과정(包裝過程)에서는 $1.0{\times}10{\sim}1.2{\times}10^2/ml$로 균수(菌數)의 증가(增加)를 나타내었다. 2. 호열성균(好熱性菌)은 저유(貯乳) tank로 부터 예열전(豫熱前) 우유(牛乳)까지 $5.0{\times}10{\sim}1.0{\times}10^2/ml$의 균수(菌數) 나타내었으나 예열(豫熱) 및 균질과정(均質過程)에서는 $3.0{\times}10{\sim}5.0{\times}10/ml$의 균수(菌數)를, 살균기(殺菌機) 및 surge tank에서는 균수(菌數)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포장후(包裝後)에는 $1.0{\times}10{\sim}3.0{\times}10/ml$의 적은 균수(菌數)를 표시(表示)하였다. 3. 호냉성균(好冷性菌)에 있어서는 저유(貯乳) tank로 부터 예열전(豫熱前) 우유(牛乳)까지 $1.0{\times}10^6{\sim}3.7{\times}10^6/ml$의 균수(菌數)를 나타냈으나 예열(豫熱)과 균질과정(均質過程)을 거쳐 $1.0{\times}10{\sim}4.0{\times}10/ml$으로 감소(減少)되었고 살균후(殺菌後)에는 $1.0{\times}10/ml$로 감소(減少)되었다가 포장후(包裝後)에는 $2.0{\times}10{\sim}2.5{\times}10^2$ 까지 증가(增加)되었다. 4. 대장균(大腸園)에 있어서는 예열전(豫熱前)까지 $2.1{\times}10^4{\sim}6.5{\times}10^5/ml$의 균수(菌數)를 나타냈으나 가열처리(加熟處理) 이후(以後)에는 균수(菌數)를 나타내지 않았다. 5. 포장용기(包裝容器), 처리실(處理室) 공기(空氣) 및 처리수(處理水)에 대한 세균(細菌)의 함량조사결과(含量調査結果)에서는 공기(空氣), 처리수(處理水) 및 포장병(包裝甁)에서 $3.0{\times}10{\sim}7.4{\times}10^2$의 중온성균(中溫性菌)을, 공기(空氣)와 세척수(洗滌水)에서 $1.0{\times}10{\sim}3.0{\times}10$의 호열성균(好熱性菌)을, 공기(空氣), 세척수(洗滌水) 및 포장용기등(包裝容器等)에서 $1.0{\times}10{\sim}1.0{\times}10^2$의 호냉성균(好冷性菌)을 발견(發見)할 수 있었고 대장균(大腸菌)은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 PDF

공기 살균 장치 적용 팽이버섯 재배사의 Listeria Innocua 저감 효과 (Efficacy of Listeria Innocua Reduction on Enoki Mushrooms by Utilization of an Air Sterilization Device)

  • 이현동;유병기;서다솜;김세리;이찬중;곽강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0-215
    • /
    • 2021
  • 팽이버섯 재배사의 Listera속 미생물 살균을 위하여 공기 살균 장치가 부착된 파일럿 버섯 재배사를 개발하여 물리적, 화학적 살균처리에 대한 살균 효과 검증실험을 수행하였다. 파일럿 버섯 재배사의 내부 온도는 상부 6.62℃±0.30, 중간 6.46℃±0.24, 하부 6.48℃±0.25, 습도는 79.97%±4.42, 79.43%±4.06, 79.94±4.30%로 설정 온도 6.5℃, 상대습도 75%에 근사하게 제어되었다. 공기 살균 장치 적용에 적합한 팽이버섯 재배단계는 생육단계 조건인 온도 6.5~8.5℃, 습도 70~80% 범위였고 유사 조건에서 이온 클러스터 발생기의 오존 발생농도는 160 ppb 수준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살균처리 후 Listeria innocua의 생존율은 이온클러스터 살균의 경우 0.1~0.9%, UV공기 살균은 9.3~10.6%로 나타났고, 화학적 살균처리인 75% 에탄올과 3% 유기산 수용액 처리구에서는 모두 사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재에 대한 Listeria innocua 생존율은 금속시편의 경우 9.3~10.6%, 플라스틱 권지 9.9~16.2%로 나타났는데, 특히 권지의 거친면에서 생존율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버섯 재배사의 Listeria균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금속 소재로 구성된 재배사 벽면과 재배 선반에 대해서는 이온클러스터 공기 살균처리가 노동력을 절감하면서 살균 가능한 방법이며, 플라스틱 재질의 권지의 경우 화학적 살균처리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