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y point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4초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시점에서의 임상적 특성: 일개 종합병원 종양내과 사망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Clinical Characteristics of Oncologic Patients with DNR Decision at a Tertiary Hospital)

  • 강나영;박정윤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9권1호
    • /
    • pp.26-33
    • /
    • 2016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심폐소생술금지 지시에 동의한 시점에서 말기암환자의 임상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후향적 서술조사 연구이다. 방법: A 종합병원 종양내과에서 2013년 1월부터 12월까지 사망한 환자 중에서 DNR 지시에 동의한 197명을 대상으로 전자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조사 내용은 입원 당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임상적 특성, DNR 지시에 동의한 시점에서의 대상자의 상태를 활력징후, 의식상태, 시행 중인 치료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58.7세였고, 남자가 121명(61.4%)이었고, 소화기계 암환자가 94명(47.7%)으로 가장 많이 포함되었다. 대상자의 평균 재원기간은 19.61일이었고, DNR 지시에 동의서를 작성한 시점은 입원일로부터 평균 12.95일이었으며, 사망까지 이른 시간은 평균 6.66일이었다. DNR 동의시점에서 대상자의 66.0%가 호흡기계부전을 가지고 있었으며, 불안정한 활력징후를 147명(74.6%)에서 보였으며, 의식수준의 변화가 있는 91명(46.2%)에서 있었다. DNR 동의서 작성 당시 대상자의 의식 상태는 명료 53.8% (106명), 기면 20.8% (41명), 혼돈 16.8% (33명), 혼수 8.6% (17명)이었다. 결론: 대부분 DNR 결정과 관련된 설명이나 의사 결정 시기에서 환자의 의식수준, 활력증후, 산소포화도가 불안정한 상태였으며, 대부분 위중한 상태 또는 환자의 판단능력이 상실된 시점에서 이루어지면서 환자의 참여가 제한되었다. 말기암환자의 자율성 향상 및 적절한 치료 중단 시점을 규정하기 위한 제도적인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

당뇨식 잔반 감량을 위한 영양서비스 개선 활동의 효과 (Effects of Nutrition Service Improvement Activities for Reducing Plate Waste of the Diabetic Mellitus Diet in a General Hospital)

  • 손정민;염혜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74-681
    • /
    • 2008
  • Hospital malnutrition could be caused by not completing the food served in the hospital. This has been a big problem since it delays the recovery of the patient and extends the length of hospital sta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duce the plate waste for the DM diet by performing several nutrition service improvement activities. The study was performed in a general hospital with 900 be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taken by 39 DM patients to obtain their aspect of the hospital foodservice systems and the quality of the meals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The amounts of foods served in the hospital kitchen and returned were measured by weights. After the improvement activities, the measurement of the plate waste was performed again for comparison. The average percentage of plate waste for the DM diet was 23.2%. The survey showed no difference by sex, age or duration of admission in plate waste. However, this food wastage percentage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patients having a chance to get information about the diet therapy (12.21%) and not having one (26.06%) (p < 0.05). Using a five-point Likert-type scale, the quality of food by its taste was 2.49 (1: very poor, 5: excellent), the temperature score was 3.56 (1: very poor, 5: excellent), and the amount of food served score was 2.95 (1: very poor, 5: excellent), and the preference score was 3.13 (1: very dislike, 5: very like). Nutritional care improving activities were performed by adjusting seasonings, developing new menus, and standardizing cooking methods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meal quality. The dietitian's inpatients care protocol was adjusted to expand the nutritional counseling chance for the DM patients. After the improvement activities, the average plate waste was reduced to 14.6%, and the satisfaction of food taste and preference increased to 3.21 (p < 0.001), and 3.36 (p < 0.05) correspondingly. The result shows that, for therapeutic diet patients, food intake could be increased by improving the food service satisfaction by controlling the meal quality and clinical nutritional service activities.

한국웹툰의 수출입 시장분석을 통한 발전방안 연구 (The Study Of Development Pla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Import & Export Market In Korean Webtoon)

  • 류유희;이승진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2호
    • /
    • pp.105-123
    • /
    • 2016
  • 세계 만화시장은 디지털시장 중심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꾀하고 있으며 한국만화 시장 역시 발 빠른 모습으로 세계 웹툰시장을 견인하고 있다.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며 발전하고 있는 웹툰시장은 이제는 안정적 정착을 위한 기반이 마련되어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국내 웹툰 시장은 국내 뿐만 아닌 글로벌 시장을 타깃으로 하고 있다. 국내 웹툰 업체들이 글로벌로 영역으로 활발히 확장화고 있는 가운데 출판만화시장 중심인 일본에서는 국내 디지털 시장으로의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수출과 수입의 공존으로 국내시장은 출판만화와 웹툰으로 양질의 작품을 전 연령대가 공유할 수 있게 되었으며 글로벌 웹툰시장에서는 한국웹툰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한국 웹툰의 초기모델을 보여준 라인웹툰은 영어, 중국어, 태국어, 인도네시아어로 번역되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웹에서 모두 이용이 가능하도록 서비스 되고 있다. 하지만 라인웹툰의 선봉적인 역할에도 불구하고 한국웹툰의 수출은 시작점에 불과하다. 디지털 콘텐츠의 취약점인 불법유통과, 문화적 할인율을 최소한 한 작품의 소재 발굴, 완벽한 번역 현지화 서비스가 이루어진다면 세계 최고의 한국 웹툰은 국내 뿐 아닌 국제화 시장에서도 단연 1등의 자리를 지킬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롱런하는 국내 만화시장의 유통구조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웹툰과 출판만화의 공존이 필수적이다. 종이책으로 제작 된 기존의 출판만화 형식에서 휴대성과 경제성의 장점을 지닌 디지털본으로 생산 확대하여 긴수명을 지닌 콘텐츠가 생성되어야 할 것이다. 기존의 인기 있는 수입, 국내출판물과 국내 웹툰이 차별화된 콘텐츠를 개발해 전세계가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국내에 소개 되지 않은 국외 콘텐츠까지 소개함으로써 만화시장의 장기적인 안정화를 이룰 것이다.

자동 스크롤 가능을 이용한 주의력 집중을 위한 웹기반 전자교과서 텍스트 화면 설계전략 (Strategies on Text Screen Design Of The Electronic Textbook For Focused Attention Using Automatic Text Scroll)

  • 권형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134-145
    • /
    • 2002
  • 본 연구는 학습자가 전자교과서에서 문자별로 초점이 다른 텍스트요인을 학습시 내용흐름에 따라 편하게 읽을 수 있게 하기 위한 기능 및 기술적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전자교과서의 텍스트 화면은 학습자가 전자교과서의 텍스트를 접할 때 설정된 값 이상의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되면 마우스나 키보드의 작동 없이 학습자별로 원하는 형태로 자동으로 스크롤되어 쉽게 읽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학습내용이나 개인차에 따라 제시방법이나 속도를 수시로 제어할 수 있다. 자동 텍스트 스크롤은 텍스트 내용구조(특정 및 영역 분류 등), 제시형태(밀도, 사이즈, 폰트 등), 제시방법(스크롤방법, 속도 등), 프로그램 통제유형(램 상주 등)과 화면디자인 적용(가독성 등)등에 따른 데이터 및 화면의 자동 스크롤 방법으로 텍스트 학습에 대한 개인의 능력 및 성향을 반영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기술적 해결책을 환경설정단계, 스크롤지정단계, 복사단계, 데이터분석단계, 스크롤코딩단계, 중앙포커스코딩단계, 좌우포커스코딩단계, 실행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 PDF

그리스 시대의 남성복과 여성복에 표현된 젠더(gender) 특성 분석 (Analysis on Gender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Male and Female Costume During the Ancient Greek Age)

  • 이명희;최윤미
    • 복식
    • /
    • 제63권4호
    • /
    • pp.84-100
    • /
    • 2013
  • Ancient Greece was a patriarchal society that distinguished gender roles between men and women. Although their costumes were composed of simple rectangular fabric without any technical complications in itself, the Greeks did try to express gender differences in their clothing. The final look of the Greek costume was dependent on the way the cloth draped onto its wearer as well as the wearer's identity. Greeks costume could just be seen as a rectangular fabric when it was not draped on a person's bo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gender differences were expressed in the ancient Greek drapery costume, which was made by using a completely different technical process, compared with the modern tailored costume. There are four elements of the costume that give the costume its formative shape, which are the wearer's body, the rectangular fabric (material as the first formative costume), the way the fabric is draped, and the final appearance as the second formative costum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arer's body and the costume) and this study analyzes these elements individually. It is intended to analyze the gender characteristics and how each element appears in a different way from the perspective of Structuralism, an analytical method that considers a phenomenon as a total sum of the elements.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and representative sculpture, painting and pottery, were used between the Archaic Period (B.C. 800~500) and the Classical Period (B.C. 500~323). The results show that the gender differences appear in each formative element of costume: First, the body was distinguished by the ancient Greek custom. The man's nudity was accepted while the woman's body was concealed. Second, in regards to the first formative costume, which was the rectangular fabric, men's were made with thick high quality wool because their involvement in outdoor activities meant that they needed clothes to stay warm, while the women wore clothes made of thin wool or hemp cloth, because their most of their activities were at home. Third, the way to drape the fabric shows the gender differences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clothing and its design ; men's short khiton was practical for big movement and at the same time the clothing exposed the man's body. The woman's doric khiton diversified its decoration by the size of the apotigma and by using the belt. Finally the second formative costume reflected the Greeks' social distinction between a man's body and a woman's body. The man's costume naturally exposed the man's body. On the other hand, the woman's long costume has a variety of shapes on the ground, that concealed her lower body, while the ornamental function was more accentuated than the man's costume. The gender differences expressed in Greek costume fundamentally reflected the point of view of the male and female body and their social roles in society.

Selection and optimization of nutritional risk screening tools for esophageal cancer patients in China

  • Dong, Wen;Liu, Xiguang;Zhu, Shunfang;Lu, Di;Cai, Kaican;Cai, Ruijun;Li, Qing;Zeng, Jingjing;Li, Mei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4권1호
    • /
    • pp.20-24
    • /
    • 2020
  • BACKGROUND/OBJECTIVES: Malnutrition has multiple impacts on surgical succes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duration of hospital stay, and costs, particularly for cancer patients. There are various nutrition risk screening tools available for clinical use. Herein, we aim to determine the most appropriate nutritional risk screening system for esophageal cancer (EC) patients in China. SUBJECTS/METHODS: In total, 138 EC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nd evaluated by experienced nurses using three different nutritional screening tools, the Nutrition Risk Screening 2002 tool (NRS2002), the Patient-generated Subjective Globe Assessment (PG-SGA), and the Nutrition Risk Index (NRI).We compared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and negative likelihood ratios, and Youden index generated by each of the three screening tools. Finally, cut-off points for all three tools were re-defined to optimize and validate the best nutritional risk screening tool for assessing EC patients. RESULTS: Our data suggested that all three screening tools were 100% sensitive for EC patients, while the specificities were 44.4%, 2.96%, and 59.26% for NRS 2002, PG-SGA, and NRI, respectively. NRI had a higher positive likelihood ratio as well as a higher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compared to those of NRS 2002 and PG-SGA; although, all three tools had null negative likelihood ratios. After adjusting the cut-off points, the specificity and accuracy for all tool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however, the NRI remained the most appropriate nutritional risk screening system for EC patients. CONCLUSIONS: The NRI is the most suitable (highest sensitivity and accuracy) nutritional risk screening tool for EC patients. The performance of the NRI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if the cut-off point is modified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using MedCalc software.

미숙아로 출생한 유아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정도와 영향요인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arly Childhood of Premature Children)

  • 임은희;주현옥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37-45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미숙아로 태어난 유아와 정상아로 태어난 유아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비교하고, 미숙아로 태어난 유아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이들의 유아기 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방법 연구 방법은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인터넷 카페에서 미숙아로 출생한 유아의 부모 80명과 정상아 부모 83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TNO-AZL에서 개발한 TAPQOL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미숙아로 태어난 유아의 삶의 질 점수는 100점 만점에 80.6점(${\pm}9.9$)이었으며, 정상아로 태어난 유아의 삶의 질 점수는 85.0점(${\pm}8.3$)으로, 미숙아 집단이 정상아 집단에 비해 삶의 질 점수가 4.4점(${\pm}1.4$) 낮았다. 미숙아 집단이 정상아 집단에 비해 삶의 질 점수가 낮은 영역으로는 운동기능, 불안, 긍정적 기분, 활기참 및 의사소통 등이었다. 두 집단간 삶의 질 점수 차이가 가장 큰 영역은 운동기능과 의사소통이었다. 미숙아로 태어난 유아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신생아실 입원기간(7일 이상)'과 '출생체중(1,000 g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두 변수의 설명력은 17%였다. 즉, 신생아실 입원기간이 7일 미만이고, 출생 시 체중이 1,000 g 이상인 아동이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건강 관련 삶의 질 점수가 높았다. 결론 미숙아로 태어난 아동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은 이들의 출생 시 체중 및 신생아실 입원기간 등이 영향을 미치므로 미숙아 추후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출생체중, 재태기간 및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기간 등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파종기와 예취관리가 돼지감자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ing Data and Cutting Management on Jerusalem Artichoke ( Herianthus tuberosus L. ))

  • 임근발;이호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47-151
    • /
    • 1983
  • 돼지감자를 알코홀 및 靑刈飼料生産用(청예사료생산용)으로 재배(栽培)하기 위하여 괴경파종시기(塊莖播種時期) 및 예취관리(刈取管理)가 돼지감자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았다. 1. 봄철 괴경(塊莖)의 재식시기(栽植時期)를 4월 7일에서 20일간격으로 6월 27일까지 파종(播種)하였을 때 5월말(末)까지는 괴경(塊莖)의 파종(播種)을 완료(完了)하여야 정상적인 생육(生育)을 나타낼 수 있었고 따라서 괴경수량(塊莖收量)과 지상부수량(地上部收量)이 감소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보다 늦을 경우 종묘용(種苗用) 괴경(塊莖)의 보관에 불리(不利)하였다. 2. 돼지감자 괴경(塊莖)의 파종(播種)은 최초(最初) 1년차(年次) 만으로 충분(充分)하여 괴경(塊莖)수확후 그 이듬해 잔존하는 소형괴경(小型塊莖)들이 발생(發生)하여 충분(充分)한 군락(群落)이 확보될 수 있었으나 과밀상태(過密狀態)가 되어 도복(倒伏)의 위험성이 컸으므로 솎음작업을 통하여 적정밀도(適定密度)를 유지시킬 필요(必要)가 있었다. 3. 지상부(地上部)를 청예용(靑刈用)으로 예취(刈取)하는 것은 괴경수량(塊莖收量)을 감소시켜 청예사료생산(靑刈飼料生産)과 괴경생산(塊莖生産) 겸용으로 관리(管理)하는 것은 적당치 못하였다. 4. 6월초순(初旬)에서 1회(回)내지 2회(回) 적심(摘芯)하여 주는 것이 도복방지(倒伏防止)를 위한 초장(草長)의 단간화(短幹化)에 유효하였으며 괴경수량(塊莖收量)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화서 이항로의 학문관과 시세계 (Hwaseo Lee Hang-ro's View of Scholarship and the World of his Poetry)

  • 이훈
    • 동양고전연구
    • /
    • 제69호
    • /
    • pp.259-296
    • /
    • 2017
  • 본고는 화서 이항로가 학문 문로를 통해 정립한 학문관의 실체를 고찰하고, 시세계에 나타난 작법상의 특징을 구명한 것이다. 화서의 시가 그의 학문과 표리를 이룬다는 측면에 집중하여, "화서집"을 통해 화서의 학문관이 정립되는 과정을 추적하고 그의 학문관으로 특정화할 수 있는 개념어를 도출하였으며, 화서의 학문과 사상이 투영된 시를 위주로 하여 작법상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화서는 오서(五書) 오경(五經) 역사서 주자서 "송자대전"을 아우르는 학문 문로를 통해 '지경치신(持敬致愼)'을 근본으로 하는 학문관을 정립하고, '치지(致知)'와 '역행(力行)'을 병행하는 실천적 학문을 추구하였다. 화서의 시는 작법상에서 용사의 구사, 그리고 서사와 의론의 교직(交織)이 두드러진다. 용사에 있어서는 차용과 변용에 머물지 않고 어휘가 갖는 일반적인 함의를 넘어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였으며, 더 나아가 조어(造語)를 창출해 내는 경지에 도달하였다. 화서는 역사적 사건과 인물의 행적에 따라 압축적으로 서사를 서술하고 의론을 개진하면서 정서를 표출하였다. 특히 맹자의 '일치일란(一治一亂)'의 역사관에 입각하여 서사와 의론의 교직으로 서술한 시는 화서의 학문과 사상이 집약된 것이자 화서의 문학성을 대표하는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탈북민의 남한 정착과정에서 행복의 의미와 통일교육의 과제 (Meaning of Happiness and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Settlement Process of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 김종두;조광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419-430
    • /
    • 2019
  • 이 연구는 남한에서 탈북민으로 살아가는 대학생과 성인여성들에 대한 면담을 통하여 실질적인 사회 생활에서의 적응과정을 알아보고, 우리 모두의 삶이 행복하기 위해서는 교육측면에서 어떻게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반구조화된 면담으로 이루어졌다. 면담기간은 4개월이었다. 면담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에서 갈등보다는 협력강화, 같은 민족이라는 동질성 회복을 위한 방향설정을 확고히 할 필요가 있다. 6.25동란과 같은 동족상잔의 전쟁으로 인해 갈등의 골이 깊어진 상황에서 쉽지 않은 현실적 어려움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65년이 지난 현시점에서 국가가 과거에만 머물 수는 없다. 둘째, 탈북민에 대한 경제적 지원을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인식도 성인들에게서 일부 존재한다는 점이다. 셋째, 남한 사람들의 통일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이는 통일비용에 대한 증가로 인해 사회복지와 경제성장의 기반이 약회된다는 주장에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학교교육에서 지식중심의 교육과 함께 문화예술과 같은 실생활에서 살아가는 내용도 동일 비중으로 다루어야 한다. 이를 통해 탈북자들도 남한 국민들과 동일한 행복을 누릴 수 있는 환경이 이루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