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f Development Pla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Import & Export Market In Korean Webtoon

한국웹툰의 수출입 시장분석을 통한 발전방안 연구

  • Received : 2016.02.01
  • Accepted : 2016.03.03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The webtoon market has been consisently developing in the digital market.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Korea webtoon market is rapidly growing and leading of them. This is the time to prepare the base of a stable environment for the webtoon market which shows a swift rise. The Korean webtoon is surely aiming at the global market as well as the domestic one. As the Korean webtoon companies spread out to the world briskly, The leading publication cartoon market, Japan tries to break into the Korean digital market. The domestic market that has the good-quality cartoons through exportation and importation to make people of all ages enjoy them. and also the Korean webtoon is in the center of the global webtoon markert. The early model of Korean webtoon, line-webtoon is translated in English, Chinese, Thai language and Indonesian language to use on the mobile applications and web. Nevertheless, It is just the stating point. With Eradicating of the Achilles heel of the digital contents, illegal distribution and finding materials for cultural discount rate minimized cartoon, The Korean webtoon can become the highest in the global market and hold it. Moreover, not only webtoon but also published cartoons are existing together to have a long run. Beyond the existing cartoon books printed on paper, we should reach toward the digital books with porta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to make the contents stay out longer.

세계 만화시장은 디지털시장 중심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꾀하고 있으며 한국만화 시장 역시 발 빠른 모습으로 세계 웹툰시장을 견인하고 있다.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며 발전하고 있는 웹툰시장은 이제는 안정적 정착을 위한 기반이 마련되어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국내 웹툰 시장은 국내 뿐만 아닌 글로벌 시장을 타깃으로 하고 있다. 국내 웹툰 업체들이 글로벌로 영역으로 활발히 확장화고 있는 가운데 출판만화시장 중심인 일본에서는 국내 디지털 시장으로의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수출과 수입의 공존으로 국내시장은 출판만화와 웹툰으로 양질의 작품을 전 연령대가 공유할 수 있게 되었으며 글로벌 웹툰시장에서는 한국웹툰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한국 웹툰의 초기모델을 보여준 라인웹툰은 영어, 중국어, 태국어, 인도네시아어로 번역되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웹에서 모두 이용이 가능하도록 서비스 되고 있다. 하지만 라인웹툰의 선봉적인 역할에도 불구하고 한국웹툰의 수출은 시작점에 불과하다. 디지털 콘텐츠의 취약점인 불법유통과, 문화적 할인율을 최소한 한 작품의 소재 발굴, 완벽한 번역 현지화 서비스가 이루어진다면 세계 최고의 한국 웹툰은 국내 뿐 아닌 국제화 시장에서도 단연 1등의 자리를 지킬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롱런하는 국내 만화시장의 유통구조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웹툰과 출판만화의 공존이 필수적이다. 종이책으로 제작 된 기존의 출판만화 형식에서 휴대성과 경제성의 장점을 지닌 디지털본으로 생산 확대하여 긴수명을 지닌 콘텐츠가 생성되어야 할 것이다. 기존의 인기 있는 수입, 국내출판물과 국내 웹툰이 차별화된 콘텐츠를 개발해 전세계가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국내에 소개 되지 않은 국외 콘텐츠까지 소개함으로써 만화시장의 장기적인 안정화를 이룰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석규(2006), <멀티플랫폼에서의 디지털 콘텐츠 저작권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2. 한국콘텐츠진흥원(2014). <웹툰산업 형황 및 실태조사 연구용역>
  3. 한국콘텐츠진흥원(2015), 세계 만화시장 규모 및 전망(2009-2018) http://blog.naver.com/enterani/220565016305
  4. 한국콘텐츠진흥원(2014), 2014만화산업백서
  5. 박돈규(2014. 4. 10). 런던도서전이 주목한 태호 "그는 가장 획기적인 웹툰 작가" 조선일보 문화면
  6. 윤기헌,정규하,최인수,최해솔(2015), 웹툰 통계 분석을 통한 한국 웹툰의 특징,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38호
  7. 중앙선데이(2015.1.18), <글로벌화 원년, 한국 웹툰 제2전성기>
  8. MK뉴스(2015.6.14), <中도 알았다... 한국 웹툰의 매력>
  9. 한국콘텐츠진흥원(2014), 북미 디지털 만화시장의 현황과 전망
  10. 월스트리트저널(2015.4.3.), <"스타트업부터 네이버까지" 한국 웹툰, 영미 시장 진출 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