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rch fractions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7초

Bifidus Fermentation Increases Hypolipidemic and Hypoglycemic Effects of Red Ginseng

  • Trinh, Hien-Trung;Han, Sang-Jun;Kim, Sang-Wook;Lee, Young-Chul;Kim, Dong-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7호
    • /
    • pp.1127-1133
    • /
    • 2007
  • Antihyperlipidemic and antihyperglycemic effects of Red Ginseng (RG, steamed and dried root of Panax ginseng C.A.Meyer, family Araliaceae), major component of which is ginsenoside Rg3, and Bifidodoterium-fermented RG (FRG), major component of which is ginsenoside Rh2, were investigated. Orally administered RG and FRG potently reduced the serum triglyceride levels in com-oil-induced hypertriglycemidemic mice as well as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in Triton WR-1339-induced hyperlipidemic mice. Of the saponin and polysaccharide fractions of RG and FRG, the polysaccharide fraction inhibited postprandial blood glucose elevation of maltose- or starch-loaded mice and reduced the blood triglyceride levels in com-oil-induced hypertriglycemidemic mice. The saponin fraction and its ginsenosides Rg3 and Rh2 reduced blood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in Triton WR1339-induced hyperlipidemic mice. The inhibitory effect of FRG and its main constituents against hyperlipidemia and hyperglycemia in mice were more potent than those of R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ypolipidemic and hypoglycemic effects of RG can be enforced by Bifidus fermentation and FRG may improve hyperlipidemia and hyperglycemia.

두류 전분의 분자구조적 특성 (Molecular Structural Properties of Legume Starches)

  • 권미라;안승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64-269
    • /
    • 1993
  •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의 고유점도와 중합도는 강남콩이 다른 시료에 비해 작았다.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자량 분포의 연구에서는 전분의 경우 강남콩이 대체로 작은 분자들이 많음을 보여주었다. 아밀로오스의 분자량 분포는 특히 강남콩 아밀로오스가 분자량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부와 녹두는 강남콩이나 팥보다 컸고, 팥은 중간이었다. 아울러 아밀로펙틴의 경우 pullulanase로 분해시켰을 때 잘라지는 가지 부분들이 강남콩은 약간 짧았고 동부나 녹두는 강남콩보다는 길었으며 서로 비슷했다. 또한 동부나 녹두는 긴 사슬(DP 40 부근)에 비해 짧은 사슬(DP 15 부근)의 비율이 더 크게 나타났다.

  • PDF

보리겨 $\beta$-glucan의 추출 및 이화학적 특성 (Extrac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Barley Bran $\beta$-glucan)

  • 김선영;유정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16-623
    • /
    • 2003
  • Bran(1∼5번)의 총 평균 $\beta$-glucan 함량은 5.52%로서 가장 높은 회수율 (48.5%)을 보인 추출 조건은 pH 10 및 45$^{\circ}C$, 다음은 pH 7 및 45$^{\circ}C$로 나타났다. 보리겨의 gum 물질은 배유 부분의 gum 물질과는 달리 상당량의 전분, 단백질이 혼입되어 있었고 정제된 $\beta$-glucan 도 단백질 및 전분 함량이 감소되긴 하였으나 호분층 안쪽의 bran 1,2,3,4에서도 $\beta$-glucan 함량이 78.2∼85.8%를 나타내어 세포벽의 peptide, arabinoxylan 등과 강하게 결합됨을 알 수 있었다. $\beta$-glucan을 이루는 구성당은 glucose가 주종이며, 그 외 arabinose, xylose, mannose, galactose였으며, 분자량은 보리겨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bran 1∼3의 경우 4.09 x $10^{5}$ 에서 4.41 x $10^{5}$ 정도의 분자량이 9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다당 고유의 특성인 분자량의 분산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beta$-glucan의 구조 역시 보리겨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beta$-(1\$\longrightarrow$3) 결합, $\beta$-(1\$\longrightarrow$4) 결합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beta$-glucan용액의 유동특성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동지수는 감소하여 의가소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동충하초균으로 발효한 인삼잎에서 분리한 중성다당의 면역활성 및 구조적 특성 (Immunostimulatory activity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neutral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ginseng leaves fermented by Cordyceps sinensis)

  • 차하영;박혜령;신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570-577
    • /
    • 2021
  • 동충하초균으로 발효한 인삼잎의 면역활성과 구조를 규명하기 위하여 조다당(GLF)를 분리하고 구성당과 당쇄 결합양식을 확인한 결과 C. sinensis 유래의 glucan이 주를 이루며 소량의 인삼잎 유래 pectic substances가 혼재되어 있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해 GLF로부터 중성다당체(GLF1)를 분리하였으며, 이를 lyticase, β-glucosidase 및 α-glucoamylase 효소를 처리한 결과, GLF1은 α-glucoamylase에 의해 가수분해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주로 α-glucan을 함유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대식세포 분비능을 측정한 결과, 동충하초균으로 인삼잎을 발효하여 얻은 조다당 GLF가 단순 열수추출 조다당인 GLW보다 더 우수한 활성(Data not shown)과 수율을 보여주었으며, GLF와 GLF1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면역활성이 증가하는 경향과 동일 농도에서 유사한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한편 GLF1의 전체구조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isoamylase 및 α-amylase 효소를 처리한 결과, isoamylase 처리 획분인 PHI가 72.8%의 glucose로 구성되며 iodine-starch 반응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반면, PHI의 αamylase 처리 후 분리한 PHIA1, PHIA2 및 PHIA3 획분에서는 iodine-starch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들의 대식세포 분비능을 확인한 결과 세 가지 획분 모두 어떠한 활성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동충하초 발효 인삼잎유래 중성다당은 α-(1→4)-glucan을 주쇄로 존재하며 C(O)-6 위치에서 측쇄가 연결되어 존재하는 α-glucan의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이들의 면역활성은 α-glucan 전체 구조에서 기인하는 것임을 최종 확인하였다.

Anti-diabetic Effects of CCCA, CMESS, and Cordycepin from Cordyceps militaris and the Immune Respons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 Yun, Yun-Ha;Han, Shin-Ha;Lee, Seung-Jeong;Ko, Sung-Kwon;Lee, Chong-Kil;Ha, Nam-Joo;Kim, Kyung-Jae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9권4호
    • /
    • pp.291-298
    • /
    • 2003
  • Anti-diabetic effect of various fractions of Cordyceps militaris (CM), CCCA (crude cordycepin containing adenosine), CMESS (ethanol soluble supernatant), and cordycepin were evaluated in streptozotocin (STZ) induced diabetic mice, CMESS showed potent inhibitory activity of 34.7% in starch-loaded mice (2 g/kg) while acarbose as a positive standard exhibited 37.8% of inhibition rate. After 3 days administration (50 mg/kg), cordycepin (0.2 mg/kg), and acarbose (10 mg/kg) dramatically reduced blood glucose level (inhibition ratio: 46.9%, 48.4% and 37.5% respectively). CCCA that has high contents of cordycepin (0.656 mg/4 mg) did not influence on reducing blood glucose level. The proliferation of splenocytes and peritoneal macrophages derived from STZ-induced diabetic mice administered samples were evaluated out by addition of mitogens to see the stability of the usage of these herbal medicines. Proliferation of T-lymphocyt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NO production was increased more than two fold to STZ control in the cordycepin-administered group. Changes of serum enzyme levels of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GPT) were also evaluated. Cordycepin administered group was appeared to acarbose. We conclude that CMESS and cordycepin may be useful tools in the control of blood glucose level in diabetes and promising new drug as an anti-hyperglycemic agent without defects of immune responses and other side effects.

점미, 백미, 흑미 세포벽의 비전분성 다당류의 성분분석 (Non-Starch Polysaccharides of Cell Walls in Glutinous Rice, Rice and Black Rice)

  • 장정옥;류화정;;이온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91-102
    • /
    • 2001
  • 본 연구는 기능성 식품으로 흑미의 성분조성 연구를 위하여 식이섬유부분에 중점을 두고 백미, 점미와 흑미의 세포벅을 구성하고 있는 다당류의 분석을 행했다. 분석은 수가용성, 열수가용성, ammonium oxalate 가용성, sodium hyroxide 가용성, potassium hydroxide 가용성, alkali 불용성 획분으로 구분하여서 정제와 분석을 행하였다. 총식이섬유 함유량은 점미 5.4%, 백미 4.2%, 흑미 7.5%로 흑미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쌀의 종류에 상관없이 sodium hydroxide 가용성분이 높게 나타났고 그중에서 특별히 흑미는 4.01%로서 섬유소의 50%이상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성분은 식이섬유소를 총중량으로 점미가 80%, 백미가 66%, 흑미 86%를 나타냈다. 백미의 도정으로 수가용성분의 함량이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Pectic substances 는 수가용성분, 열수가용성분, ammonium oxalate 가용성분으로서 점미가 2.40%로 백미 1.59%, 흑미 1.12%보다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Alkali 가용분은 hemicellulose 부분으로서 흑미가 5.80%로서 점미 2.58, 백미 2.22%보다 2배이상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흑미의 식이섬유소의 77% 가량이 hemicellulose로서 흑미의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효능은 이 부분에 중점을 두고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로서 흑미의 세포벽이 견고함으로 사료되어서 흑미의 수화나 조리시 전분이 쉽게 용출되기 어려운 점으로 미루어 조리특성에 대한 연구도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알칼리 불용분은 cellulose로서 쌀의 종류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각 추출획분에서 uronic acid를 분리동정하였을 때 점미는 0.90%, 백미는 0.66%, 흑미는 1.8%로서 흑미에서 uronic acid 함량이 두 배 이상으로 나타났다. 흑미의 uronic acid 함량이 가장 많이 용출된 분획은 sodium hydroxide 부분으로서 hemicellulose구조가 polyuronic acid의 형태인 것으로 사료된다. 추출획분의 구성단당은 여러 곡물연구의 보고와 유사하게 glucose, arabinose, xylose 함량이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점미가 수가용성분에서 goucose대비 용출함량이 고르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고 흑미는 알칼리가용분에서 glucose가 상당량(0.68%) 포함되고 있음을 보여주었고 arabinose(0.68%), xylose(0.05%)도 다른 종류에 비해서 다량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흑미는 총식이섬유 함량이 높고 pectic substances, hemicellulose, uronic acid 함량이 높아서 콜레스테롤 저하 등의 효과가 기대되며 고섬유식품으로서 조리 특성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조릿대잎 추출문의 탄수화물 소화효소활성 저해 및 식후혈당강하효과 (Inhibitory Effects of Sasa borealis Leaves Extracts on Carbohydrate Digestive Enzymes and Postprandial Hyperglycemia)

  • 황지영;한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989-99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조릿대잎 추출물의 탄수화물 소화효소의 저해와 혈당강하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탄수화물 소화효소인 ${\alpha}-glucosidase$${\alpha}-amylase$의 저해활성과 STZ 유발 당뇨생쥐를 이용한 혈당강하효과를 측정하였다. 조릿대잎 메탄올 추출물은 0.5 mg/mL 농도에서 yeast ${\alpha}-glucosidase$ 활성을 18.61% 저해하였으며, 메탄올 추출물의 ethylacetate층은 48.46%, buthanol층은 41.91%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40.31%의 저해활성을 보인 acarbose보다 ${\alpha}-glucosidase$ 저해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냈다. 또한 메탄올 추출물은 0.5 mg/mL 농도에서 ${\alpha}-amylase$ 활성을 22.16% 저해하였으며, ethylacetate층은 56.31%, buthanol층은 43.66%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41.14%를 나타낸 acarbose보다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조릿대잎 추출물 중 ethylacetate층과 buthanol층은 탄수화물 소화효소인 ${\alpha}-glucosidase$${\alpha}-amylase$ 저해활성에서 제2형 당뇨병환자의 혈당 강하제로 처방되고 있는 acarbose보다 높은 저해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STZ으로 당뇨를 유발한 생쥐와 정상생쥐에게 시료의 수율 및 탄수화물 소화효소의 저해활성이 높은 buthanol층을 전분과 함께 경구 투여한 후 혈당 증가를 측정한 결과, 전분과 함께 조릿대 잎 추출물의 buthanol층을 경구 투여한 경우가 전분만 투여한 경우에 비해 투여 후 30, 60, 120분에 혈당 증가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l), 식후혈당증가 곡선의 면적에서도 대조군보다 유의적(p<0.0l) 으로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조릿대잎 추출물중 ethylacetate층과 buthanol층은 acarbose보다 높은 ${\alpha}-glucosidase$, ${\alpha}-amyl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buthanol층은 STZ 유발 당뇨생쥐를 통해 식후 혈당증가를 저하시키는 효과까지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삼의 추출조건에 따르는 Extract의 당류 및 질소화합물의 변화 (Changes of Sugars and Nitrogeneous Compounds in Ginseng Extracts by Extracting Conditions)

  • 우상규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80-93
    • /
    • 1986
  • 백미삼을 원료로 엑기스를 조제할 때 추출조건으로 추출용매와 농도, 추출온도와 추출시간 등이 엑기스의 당류와 유리당 그리고 질소화합물 조성에 미치는 환경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당류로서 전당, 환원당 및 전당은 추출용매 ethanol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감소되었고 온도 상승에 따라서는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나 상대적으로 유리당은 증가되었으며, 추출시간에서는 0% 및 70% ethanol구 모두 초기 용출이 컸으나 회수별 당류간의 구성비율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3~4회 추출로 가용성 당류의 94.14~99.95%가 용출되었다.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로 구성되어 있으며 sucrose가 90% 이상 대부분을 차지하는 특징적 구성을 가지고 있다. Ethanol 농도 증가에 따라 단당류는 감소되는 반면 이당류는 증가되었다. 용출온도 상승에 따라서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4회 추출로 가용성 유리당의 98% 이상이 용출되어 당류및 유리당의 용출율로만본다면 3~4회 추출이 적합하였다. 질소화합물을 전당류, 수용성비단백태질소, 불용성단백태질소, 수용성단백태질소로 분별하여 조사한 결과 질소화합물 총량의 84% 이상을 수용성비단백태질소가 점유하는 특징적인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추출용매 ethanol의 농도가 증가될수록 전질소와 수용성비단백태질소의 용출은 감소되었고, 특히 90%구에서 현저하였으며 추출온도 상승에 따라서는 커다란 차이가 없었으나 $100^{\circ}C$구에서 수용성단백태질소가 현저하게 증가되었고 3회 추출로 가용성질소화합물의 80% 이상이 용출되었다.

  • PDF

Effects of Protein Supply from Soyhulls and Wheat Bran on Ruminal Metabolism, Nutrient Digestion and Ruminal and Omasal Concentrations of Soluble Non-ammonia Nitrogen of Steers

  • Kim, Jeong-Hoon;Oh, Young-Kyoon;Kim, Kyoung-Hoon;Choi, Chang-Won;Hong, Seong-Koo;Seol, Yong-Joo;Kim, Do-Hyung;Ahn, Gyu-Chul;Song, Man-Kang;Park, Keun-Ky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9호
    • /
    • pp.1267-1278
    • /
    • 2009
  • Three beef steers fitted with permanent cannulae in the rumen and duodenum were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rotein supply from soyhulls (SH) and wheat bran (WB) on ruminal metabolism, blood metabolites, nitrogen metabolism, nutrient digestion and concentrations of soluble non-ammonia nitrogen (SNAN) in ruminal (RD) and omasal digesta (OD). In a 3${\times}$3 Latin square design, steers were offered rice straw and concentrates formulated either without (control) or with two brans to increase crude protein (CP) level (9 vs. 11% dietary DM for control and bran-based diets, respectively). The brans used were SH and WB that had similar CP contents but different ruminal CP degradability (52 vs. 80% CP for SH and WB, respectively) for evaluating the effects of protein degradability. Ruminal ammonia concentrations were higher for bran diets (p<0.01) than for the control, and for WB (p<0.001) compared to the SH diet. Similarly, microbial nitrogen and blood urea nitroge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by bran and WB diets, respectively. Retained nitrogen tended (p<0.082) to be increased by SH compared with the WB diet. Intestinal and total tract CP digestion was enhanced by bran diets. In addition, bran diets tended (p<0.085) to increase intestinal starch digestion. Concentrations of SNAN fractions in RD and OD were higher (p<0.05) for bran diets than for the control, and for WB than for the SH diet. More rumendegraded protein supply resulting from a higher level and degradability of CP released from SH and WB enhanced ruminal microbial nitrogen synthesis and ruminal protein degradation. Thus, free amino acids, peptides and soluble proteins from microbial cells as well as degraded dietary protein may have contributed to increased SNAN concentrations in the rumen and, consequently, the omasu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otein supply from SH and WB, having a low level of protein (13 and 16%, respectively), could affect ruminal metabolism and nutrient digestion if inclusion level is relatively high (>20%).

거대배 돌연변이 계통벼 쌀 배유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Some Physical Properties of Starch Granules from Giant Embryonic Rice Endosperm)

  • 강미영;이연리;고희종;남석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2호
    • /
    • pp.117-122
    • /
    • 2003
  • 화청찰벼, 화청벼, 그리고 이들의 거대배아미 품종인 화청찰거대배아미, 화청거대배아미 등 4품종의 쌀로부터 전분을 분리하여 몇몇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거대배아 품종으로 유기되면서 아밀로오스의 함량은 감소하고 있었으며, 아밀로오스 분획의 포도당 사슬의 길이도 짧아지고 있었다. 아밀로펙틴의 미세구조는 거대배아 품종으로 유기됨에 따라 B chain의 사슬길이가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A chain의 양은 감소하고 있었으며, 아밀로펙틴을 구성하는 포도당의 평균 사슬길이는 약간씩 증가하고 있었다. X선 회절도상에서는 4품종 모두 전형적인 A type이었으며, glucoamylase에 의한 가수분해도는 찰품종의 경우에는 거대배아미로 유기되면서 가수분해도가 낮아지는데 비해서 메품종의 경우에는 반대의 결과를 얻었다. 호화종료온도는 거대배아미 품종으로 유기됨에 따라 낮아지고 있었고, 호화 엔탈피는 거대배아미 품종으로 유기됨에 따라 증가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