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by mode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42초

대기전력저감을 위한 플라이백컨버터 (A Novel Flyback Converter for Low Standby Power Consumption)

  • 정봉근;장상호;김은수;최문기;계문호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99-306
    • /
    • 2009
  • 최근 대기전력저감기능을 갖는 PWM IC를 적용한 플라이백 컨버터는 대기전력 모드 시 Burst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전력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지만 경 부하 및 대기전력모드 시 변압기를 통해 흐르는 큰 자화전류에 의해 여전히 낮은 효율특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경 부하 및 대기전력모드 동작 시 자화전류를 최 소화함으로 효율을 개선한 회로를 제안하였으며 50인치 PDP TV PSU (Power Supply Unit)에 있어서 대기전력 및 보조전원으로 사용된 70W 플라이백 컨버터에 적용 실험하여 보았다.

Development of Digital DC-ARC Welding Machine

  • 김학경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18-23
    • /
    • 2006
  • This paper introduces the results of the development of a new mobile digital DC-arc welding machine (DDWM). A simple PI controller is applied to the DDWM to control the output welding current that is tracking the constant setting current. Furthermore, a hot-start function, an anti-stuck function, a standby mode and an intelligential circuit breaker (ICB) are included in the DDWM. The DDWM increases welding quality and saves more power energy than a conventional welding machine. The DDWM is changed from ready mode into the standby mode, automatically, after 2-minute intervals from this unload start. Then, the DDWM is changed into ready mode, automatically, since it is reused for welding. Moreover, the DDWM increases welding quality, productivity and reduces costs of welding. So, the DDWM can make a considerable contribution to the mobile welding industries. The effectiveness of the DDWM was proven by the experimental results.

디지털 DC-ARC 용접기의 개발 (DEVELOPMENT OF DIGITAL DC-ARC WELDING MACHINE)

  • 박바다;;김상봉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06년도 전기학술대회논문집
    • /
    • pp.71-72
    • /
    • 2006
  • This paper introduces the results of the development of a new mobile Digital DC-arc Welding Machine (DDWM). A simple PI controller is applied to the DDWM to control the output welding current tracking the constant setting current. Furthermore, a hot-start function, an anti-stuck function, a standby mode and an intelligential circuit breaker (ICB) are included in the DDWM. The DDWM increases welding quality and saves more power energy than a conventional welding machine. Because the DDWM is changed from ready mode into the standby mode automatically after 2 minutes interval from this unload start. Then the DDWM is changed into ready mode automatically since it is reused to weld. Mover, the DDWM increases welding qualify, productivity and reduces costs of welding. So, the DDWM can have a great of contribution to the mobile welding industries. The effectiveness of the DDWM was proven by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durable test.

  • PDF

다출력 컨버터의 대기전력 저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duction of Standby Power Consumption for Multiple Output Converters)

  • 정지훈;최종문;권중기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433-440
    • /
    • 2007
  • 에너지 절약과 환경 문제가 이슈화되면서 대표적인 전원공급장치인 SMPS의 대기모드 효율이 중요시되고 있다. 특히 많은 SMPS들이 다출력 구조로 설계됨에 따라 대기모드에서 전력손실을 줄이기가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SSPR(Secondary Side Post Regulator)을 개발하여 단일 컨버터에서 Cross Regulation과 대기전력을 함께 해결하였다. 그리고, 다중 컨버터의 대기전력 감소를 위하여 전류모드 제어와 Power Sequence 제어기술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술은 이론적 해석과 더불어 120[W], 270[W]급 SMPS에 적용하여 그 타당성 및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비디오 에스노그래피를 이용한 서비스 로봇의 대기상태 행동패턴 연구 (The Behavioral Patterns of Neutral Affective State for Service Robot Using Video Ethnography)

  • 송현수;김민중;정상훈;석현정;권동수;김명석
    • 감성과학
    • /
    • 제11권4호
    • /
    • pp.629-636
    • /
    • 2008
  • 현재 진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로봇 연구는 특정한 목적을 수행함에 있어서 기능적으로 안정적이고 원활한 움직임을 보이는 것과 더불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적절하게 전달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로봇의 작업수행 상태가 아닌 외부로부터 입력 값이 없는 대기상태의 행동패턴을 제시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인간-로봇 상호작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로봇의 대기상태 행동패턴을 디자인함에 있어서 비디오 판독 방법을 선택하였고, 실제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10명의 사람들을 비디오로 녹화하여 사람들과 상호작용이 없는 대기상태의 반복적인 행동패턴을 관찰하였다. 각각의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총 21개의 반복적 행동을 기록하였고, 비슷한 항목들을 통합하여 최종적으로 11개의 행동패턴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패턴들 가운데 6개의 대표적인 행동들을 EEEX라는 로봇에 적합하도록 인코딩 작업을 하였고, 이것들이 사람들에게 올바르게 인식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검증실험을 수행하였다. 사람들은 대부분의 로봇 행동패턴을 실험에서 의도한 바와 같이 인식하였으나 로봇의 하드웨어 특성상 몸과 팔의 움직임에서 약간의 혼동 요소가 있었다. 추후 실험을 통해 EEEX를 대형 마트의 입구에 실제로 배치하여 대기 중에 중립행동을 보일 때와 보이지 않을 때의 손님의 관심도 차이를 조사해보고자 한다.

  • PDF

고속 네트워크 시스템의 이중화 회로 구현 (Implementation of High Speed Router's Redundancy Architecture)

  • 강덕기;이상우;이준철;이형섭;이영천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1)
    • /
    • pp.267-270
    • /
    • 2000
  •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simple redundant structures with the function of hardware based active/standby control. The system includes two switch modules. The switch module is connected to a data bus, but only the active switch module has control of the data bus. The standby unit takes over the function of the active unit when the active unit failure or mode command are asserted. And this paper illustrate the high-speed router system and the overall redundant system architecture. The proposed redundant architecture for 80G Router system is verified and implemented with experiment.

  • PDF

Analysis of a 2-Unit Standby Redundant System of Reparable 3-State Devices

  • Park, Young Taek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3-15
    • /
    • 1982
  • A device is said to have three states if it has one good state and two mutually exclusive failure modes ; e. g., in one failure mode, it operates when it should not, in the other it doesn't operate when it Should. Some examples of such device include a fluid flow valve, an automatic machine, and an explosive. A Markov model is developed to obtain the availability Function of a 2-unit standby redundant system of such devices.

  • PDF

사용자 인식 기반 멀티-스마트 플러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cognition-Based user Multi-Smart Plug System)

  • 오진석;이헌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2976-2983
    • /
    • 2013
  • 전력부족현상으로 대기전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전자기기는 본래의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대기상태로 존재하며, 대기상태 중에서도 많은 전력을 소비한다. 이러한 대기상태로 인한 전력소비를 방지하기 위해 많은 나라에서 스마트 플러그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 플러그의 경우, 기능의 특성상 고가의 경우가 많으며, 사용자의 수동제어 또는 동작감지 센서 및 사용자 패턴에 의해 대기전력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은 동작감지 센서의 오작동, 사용자 패턴의 다양화에 따라 장점을 가지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기능과 연동하는 멀티플러그 타입의 스마트 플러그를 개발하였다.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판단을 하고, 사용자 위치에 따라 능동적으로 스마트 플러그에서 각 전자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함으로 전자기기들의 대기전력으로부터 소비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외부 입력기기 사용 정보 기반 셋톱박스 대기모드 전환 기술 (A Standby Mode Transition Scheme for Set-top Box Power Saving by the Use Information of External Device)

  • 김용호;최윤범;오남걸;김훈
    • 정보통신설비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24-130
    • /
    • 2010
  • This paper considers a power saving technique of set-top box (STB) that turns the signal into content which is then displayed on the television (TV) screen. A traditional power saving scheme, Auto Power Down (APD), was devised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STB. APD checks whether the user is watching TV over a period of time and enforces STB into stand-by mode when the check result reveals the user is not watching TV. This paper proposes an enhanced power saving scheme that transits STB operation mode to 'stand-by' immediately when STB recognizes the change of TV's external input signal. The proposed scheme does not require the monitoring time to check the users' watching TV, and transits to standby mode faster than the conventional APD, which results in better performance in power saving. The simulation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scheme achieves 2 to 11% improvement in power consumptio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PD.

  • PDF

리모컨을 사용하는 가전제품에서의 대기전력 차단회로 (The Circuit of Blocking Stand-by Power from Electronic Product using Remote-controller)

  • 배영철;김주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1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52-455
    • /
    • 2001
  • 리모컨을 사용하는 TV, 오디오 기기에서 사용하지 않는 대기 시간에 버려지는 대기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회로를 개발하여 가전기기 및 산업용 기기의 대기 상태를 간단한 회로 변경으로, 원가 부담없이 대기 전력을 완전하게 차단하는 회로를 개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