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Search Result 63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물류시설 및 기기의 KS 표준규격 (KS Standard for Logistics Facilities and Equipments)

  • 최성운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49-456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system of physical distribution module, and classification of logistics equipments. This study also introduces equipment standards of logistics facilities, and environmental rules for distribution center. Moreover, this paper shows safety standard and marking for logistics equipments and tools.

  • PDF

소재도서관 분류체계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Material Library)

  • 정옥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97-31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소재도서관의 분류체계를 비교 분석하여 다양한 산업 및 공예 소재를 일관되고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분류체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먼저 국내외 소재도서관의 운영사례와 분류체계를 조사한 후 일반분류표인 KDC와 DDC의 소재관련 분류항목을 비교 분석하여 소재자료를 일관되고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소재도서관의 분류체계는 주제 중심으로 분류하지 않고 소재명과 형태로 분류하거나, 또는 일반분류표처럼 아라비아숫자를 사용하여 주제 중심으로 분류한 경우도 있었다. 대부분의 소재도서관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분류체계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소재정보의 접근 및 공유가 어렵다. 그러므로 소재도서관에 소장된 소재정보의 공유를 위한 소재도서관용 표준분류체계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 표준 간호행위 분류 (The Classification of Standard Nursing Activities in Korea)

  • 박정호;성영희;송미숙;조정숙;심원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411-1426
    • /
    • 2000
  • A nursing activity classification for hospitalized patients was performed based on an article review regarding nursing definition and nursing activity classification system.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1) Taxonomy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 team through the Delphi process and review article. The taxonomy consists of four nursing processes, (assessment, diagnosis, intervention and evaluation) and twelve nursing activity domains space (resperation, nutrition, elimination, exercise/alignment maintenance, comfort, hygiene, safety, spiritual support, counseling/ education, medication, communication, patient and information management). 2) First, nursing activities of the intervention process were listed and then classified by the nursing process of assessment, diagnosis, intervention and evaluation. The list consists of twelve nursing activity domains and 136 nursing activities. 3) A pilot study was conducted in two hospitals to verify validity and appropriateness of nursing activities. 4) The content validity index, which was calculated by 6 clinical practice experts, was 0.95. Also, a nursing activity classification system should also be developed in the department of community nursing and home health care nursing.

  • PDF

AI 학습모델 및 AI모델 서빙 서버 개발을 통한 생활안전 예방 서비스 신고 이미지 자동분류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Automatic Classification System for Life Safety Prevention Service Reporting Imag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AI Learning Model and AI Model Serving Server)

  • 정영식;김용운;임정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432-438
    • /
    • 2023
  • 연구목적: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앱에서 신고되는 이미지를 AI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위험 카테고리를 자동으로 분류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한 위험신고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인터넷으로 상호연결되는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플랫폼,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앱, AI 모델 서빙 서버와 sftp 서버로 구성되는 시스템을 통하여 신고된 생활안전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자동분류하며, 이때 사용되는 AI모델 생성을 위한 AI 학습 알고리즘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AI 처리하여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게 되어, 신고자가 생활안전 관련 사항을 보다 편리하게 신고할 수 있게 되었다. 결론: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AI 이미지 자동분류 시스템은 90% 이상의 분류 정확도로 신고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자동분류하여 신고자가 간편하게 생활안전 관련 이미지를 신고할 수 있게 되었으며 향후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앱의 사용자의 증가에 따라 더욱 빠르고 정확한 AI 모델 개발 및 시스템 처리용량 향상이 필요하다.

온라인 과학기술정보자원의 분류체계에 대한 실천적 구성방안 (A Practical Scheme for the Classification of On-line Information Resources on Science and Technology)

  • 김유일;최성배;구영덕
    • 정보관리연구
    • /
    • 제37권4호
    • /
    • pp.125-139
    • /
    • 2006
  • 인터넷의 등장은 과학기술정보의 생산과 유통에 많은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기존 과학기술정보들은 주로 문헌위주로 생산되었다. 그러나,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온라인 과학기술정보들이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그 활용이나 중요도 또한 과학기술분야의 문헌에 뒤지지 않고 있다. 온라인 과학기술정보의 양적 질적 성장으로 인해, 정보서비스기관들은 이들 정보들의 체계적인 관리와 효율적인 서비스를 고민하고 있으며, 다양한 정보관리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효율적인 정보 관리를 위한 방법 중의 하나인 분류체계는 주요한 이슈이며, 지금까지는 문헌정보 중심의 분류체계나 일반 웹사이트의 분류체계를 벤치마킹하여 온라인 과학기술정보를 위해 도입되는 경우가 많았다. 본고에서는 국가 차원의 표준분류를 이용하여, 온라인 과학기술정보를 위한 분류체계 구성방안을 실천적으로 제시하여 보았다.

ISO 15926 국제 표준을 이용한 원자력 플랜트 기자재 분류체계 (Development of the ISO 15926-based Classification Structure for Nuclear Plant Equipment)

  • 윤진현;문두환;한순흥;조광종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191-199
    • /
    • 2007
  • In order to construct a data warehouse of process plant equipment, a classification structure should be defined first, identifying not only the equipment categories but also attributes of an each equipment to represent the specifications of equipment. ISO 15926 Process Plants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dealing with the life-cycle data of process plant facilities. From the viewpoints of defining classification structure, Part 2 data model and Reference Data Library (RDL) of ISO 15926 are seen to respectively provide standard syntactic structure and semantic vocabulary, facilitating the exchange and sharing of plant equipment's life-cycle data. Therefore, the equipment data warehouse with an ISO 15926-based classification structure has the advantage of easy integration among different engineering systems. This paper introduces ISO 15926 and then discusses how to define a classification structure with ISO 15926 Part 2 data model and RDL. Finally, we describe the development result of an ISO 15926-based classification structure for a variety of equipment consisting in the reactor coolant system (RCS) of APR 1400 nuclear plant.

객체지향의 도로분야 BIM 표준객체분류체계 개발방안 (Object-oriented Road Field BIM Standard Object Classification System Suggest Development Plan)

  • 남정용;김민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19-129
    • /
    • 2018
  • 국토교통부는 '제6차 건설기술진흥 기본계획'에서 2020년까지 500억 원 이상의 도로사업에 BIM 설계 의무화를 공표하였다. 이에 따라 주요 공공 발주자들은 각 기관의 실정에 맞는 BIM을 시행하기 위해 다각적인 시도를 꾀하고 있다. 그러나 BIM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술지침과 표준분류체계 제시가 미흡하여 실무자들이 제대로 된 BIM 설계와 건설이 어렵고, 발주기관의 BIM 정보축적도 곤란해지게 된 상황이다. 도로의 특성은 선형을 따라 끊임없이 변화가 이루어지는 토공과 같은 비정형 대상과 교량, 터널등과 같이 초대형 구조물 대상 그리고 표지판, 방음벽 등과 같은 도로시설물들이 산재해 있어 방대한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다각적인 표준체계가 개발되고 보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실무적으로 사용가능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국제표준에 부합되고 다차원의 정보체계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도로분야의 BIM 표준객체분류체계를 개발하여, 실무자들이 손쉽게 활용할 수 있고 보다 효과적인 BIM 표준정보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글로벌 조화에 부합하는 국내 의약품 분류체계 개선방안 (New drug classific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global harmonization)

  • 손성호;유봉규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60-267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rug classification system in Korea and other developed countries. Laws and regulations of Korea regarding the system were retrieved from sources posted i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We also reviewed previous research reports performed as part of government's effort to reform the system The system in the foreign countries was retrieved from the official homepage operated by each country's government. There have been two research funded by Korean government, which strongly suggested that the system should be reformed. However, we found that the system was never reformed and still effective. Drug classification system in US and most western countries consists of two categories, i.e., prescription drugs and non-prescription drugs except UK, which classifies into three categories: Prescription Only Medicines, Pharmacy Medicines, and General Sales List Medicines. Interestingly, in Japan, non-prescription drugs are further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Group 1, 2, and 3. Recentl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in Korea proposed a plan to reclassify all the approved drugs according to purportedly rational and scientific criteria. However, the plan does not include reform of the existing laws and regulations, which appears that it is just one-time action rather than a sustainable administration backed up by law.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Korean MOHW take appropriate action on laws and regulations with regard to the system to meet global harmonization standard.

성인 여성복의 KS 치수 표준 개정을 위한 제안 연구 (A Study on the Suggestion for the Revision of Standard Sizing System for Female Adult's Garments)

  • 남윤자;이정임;정재은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76-784
    • /
    • 2014
  • KS K 0051(2009) was established in 1990 and revised in 1994, 1999, 2004 and 2009. Recently the structure of apparel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re changing like as small quantity batch production, increase of importing abroad apparel and increase of on-line shopping mall. Based on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examine the potential for use of KS K 0051(2009) standard sizing system for female adult's garments are needed. Through which, it was intended to suggestion for the revision of standard sizing system for female adult's garments which can facilitate communication among consumer, producer and sellers. The improvement point was discussed through review of the current KS K 0051 (2009) and abroad standard sizing system for female adult's garments, ISO 3637(1977), ISO 4416(1981), BS EN 13402-2(2002), BS EN 13402-3(2004), JIS L 4005(2001) and GB/T 1335.2(2008). Also, the revision of standard sizing system for female adult's garments was suggested using data of 6th Size Korea.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the revision, formal wear, casual wear, training wear and under wear were separated to simplify the classification and the classification of body type were excluded. Also, it is possible that size designation was simplified through optional notation and letter code based on bust girth could be marked together in casual wear.

국내 주요 도시의 비오톱유형 분류체계 비교 (Comparisons of Classification System of Biotope Type in Major Korean Cities)

  • 최진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8-86
    • /
    • 2010
  • 국내 주요 도시에서 수행된 비오톱유형 분류는 생물서식처 관점보다는 토지이용 개념에 한정되어 분류되었고, 생태적 가치에 따라 상세하게 분류되지 못하였다. 비오톱유형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생물서식처 관점에 따라 분류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비오톱유형 분류에 사용되는 분류위계, 분류항목, 분류요인, 분류지표, 분류기준, 분류key 등 분류인자의 개념적 틀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사례도시의 비오톱유형 분류결과에 적용하여 문제점을 고찰하고 비오톱유형 분류체계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비오톱유형 분류체계는 위계별로 분류의 기본 수준과 기준을 마련하여 일관된 분류 특성을 가져야 한다. 분류지표는 생물적 요인, 무생물적 요인, 인간행태적 요인을 고려하여 적용되어야 한다. 비오톱유형은 일반인들과 계획가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분류지표와 분류key의 표준화와 더불어 지역 비오톱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분류key와 분류기준의 특성화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