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ort event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32초

Promoting Word-of-Mouth communication: The moderating role of leisure sport social media

  • KIM, Min-Soo;Kim, Miok;HUR, Seung-Eun;SEO, Myung-Seok;SEO, Won-Jae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61-72
    • /
    • 2020
  • Purpose: Usage of leisure-sport social media would lengthen and strengthen the effects of positive event experiences on WOM behavior.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leisure sport social media use has the moderating potential to enhance the direc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event emotions and event WOM behavior.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 running event located in a major metropolitan area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was selected. Participants of the running events completed the survey. Descriptive analysis and correlations between primary variables of interest were conducted. To examine interactions within the context of moderated regression,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Results: The results confirmed direct effects of a sense of achievement and event satisfaction on event WOM intention, supporting H 1 and H2. In specific, result revealed that the amount of time spending on social media for running content moderated the effect of a sense of achievement on event WOM intention, supporting H3, however, H4 was rejected. Conclusions: There are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particularly which pertain to how organizers may be able to use perceived benefits (i.e., a sense of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and social media to increase positive WOM intention.

군단위 농촌지역의 스포츠이벤트에서 서비스품질 만족이 지역 이미지와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tisfaction with Service Quality of County Level Local Sport Event on Local Image and Re-Visit Intention)

  • 김현상;박덕병;김성록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4권2호
    • /
    • pp.117-125
    • /
    • 2017
  • The service quality and image are a central factor in understanding tourists destination choice. Existing literature suggests that sport event and destination image could interact to influence tourism behaviou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 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local image and re-visit intention in the 68th Chungcheongnam-do Provincial Sport Event held in Yesan c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with the sports event composed of 17 items, three factors were categorized, which were 'event management', 'event facility' and 'supporting facilities'. Second, satisfaction with local event had a positive effect on local image. Especially, satisfaction with event management had greater effect on local image than event facilities and supporting facilities. Third, as satisfaction with local event had positive effect on re-visitation intention, satisfaction with sports event had positive effect on the success of the sport event itself and re-visitation intention for the region. Fourth, as local image had a positive effect on re-visitation intention, strategic approaches to linking factors of tourism are required to attract visitors in addition to sports events.

복합종목 국제스포츠이벤트 생애주기에 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Study of International Sports Event Life Cycle)

  • 권기성;오태연
    • Journal of Sport and Applied Science
    • /
    • 제3권1호
    • /
    • pp.1-14
    • /
    • 2019
  • Numerous types of sporting events have been hosted in Korea during the last decades. Sport events produce various types of data, and there is a clear necessity of storing and utilizing this information. From this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complex sports categories from international sport events life cycles in order to categorize standards of knowledges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utilized qualitative methods: expert groups discussion for overall life cycle steps and in-depth interviews for detail life cycle step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several life cycle steps: bidding, preparation, operation, evaluation, post management steps. To be more specific, for the bidding step, there are check, plan, implementing detail phase; and the preparation step is based on event preparation Basis Build, event preparation implementation, test and supplementation phases. For the operation step, event operation system switch, event operation during the period, finish operation phases are deducted. Evaluation and post management step do not have detail phases. Efforts to store and utilize knowledge can be one of the starting points to make the operation of sport events efficiently.

스포츠이벤트 프로세스 관리시스템 표준 프레임워크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Standard Framework of Sports Event Process Management System)

  • 김주학;조선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815-824
    • /
    • 2019
  • 스포츠이벤트의 운영 환경은 크기, 종류, 지역에 따라 다양하고, 단위업무별 업무가 독립적이지 않고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이루고 있으며, 복잡한 이해관계자가 매트릭스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일반화된 운영 모델을 구축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포츠이벤트 관리의 개념 및 프로세스의 지침을 제공하는 '표준'을 제안한다. 표준개발을 위해 산업분야 및 활동의 품질경영을 위한 국제 표준 규격인 ISO 9001:2015에서 제시하는 프레임을 따라 표준화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표준의 구성은 적용범위, 인용표준, 용어와 정의, 조직의 상황, 리더십, 계획수립, 지원, 운용, 성과평가, 개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스포츠이벤트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 표준은 스포츠이벤트의 형태 또는 규모에 관계없이 스포츠이벤트를 유치하고, 준비하여, 운영하고자 하는 모든 조직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스포츠이벤트의 생애주기 단계별 프로세스 관리에 초점을 맞춘 접근방법을 시도하여, 프로세스와 프로세스 간 상호 관련성과 의존성을 관리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가 한국인이미지, 제품이미지, 구매의도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Global Sport Event on the Korean image, product image, purchase intention and revisit intention)

  • 이완;김기탁;김홍설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25-431
    • /
    • 2009
  • 본 연구는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가 한국인이미지, 제품이미지, 구매의도,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모집단은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표본은 편의표본 추출방법을 통해 표집하였다.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 전 후의 한국인이미지, 제품이미지, 구매의도, 방문의도에 차이가 있다. 둘째,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 전 후의 한국인이미지, 제품이미지, 구매의도, 방문의도의 차이는 이벤트에 대한 관여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 PDF

스포츠 이벤트 개최로 인한 사회문화적 영향분석 - 2005 제천 산악마라톤대회를 중심으로 - (Residents' Perceptions of Social and Cultural Impacts of the Sport Event - Focus on the Kumsu Mountains Marathon Race 2005 in Jecheon -)

  • 최상수;이관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161-169
    • /
    • 2006
  • 본 논문은 스포츠 이벤트(2005 제천 산악마라톤 대회) 개최로 인한 사회문화적 영향요인분석을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요인분석결과 긍정적 영향에 대한 19개의 질문 항목이 5개의 요인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영향에 대한 9개의 질문 항목이 2개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20\sim30$대의 젊은 연령층과 서비스산업종사자들은 긍정적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포츠 이벤트의 긍정적 영향 요인이 나이와 직업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스포츠 이벤트에 대한 사회 문화적 특징은 지역사회 구성원에게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PDF

A Trend Analysis on E-sports using Social Big Data

  • Kyoung Ah YEO;Min Soo KIM
    • Journal of Sport and Applied Science
    • /
    • 제8권1호
    • /
    • pp.11-17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a trend of esports in terms of gamers' and fans' perceptions toward esports using social big data.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In this study, researchers first selected keywords related to esports. Then a total of 10,138 buzz data created at twitter, Facebook, news media, blogs, café and community between November 10, 2022 and November 19, 2023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Textom', a big data solu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news data's main articles were about competitions hosted by local governments and policies to revitalize the gaming industry. Secondly, As a result of esports analysis using Textom, there was a lot of interest in the adoption of the Hangzhou Asian Games as an official event and various esports competitions. As a result of the sentiment analysis, the positive content was related to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the esports industry, and the negative content was a discussion about the fundamental problem of whether esports is truly a sport. Thirdly, As a result of analyzing social big data on esports and the Olympics, there was hope that it would be adopted as an official event in the Olympics due to its adoption as an official event in the Hangzhou Asian Games. Conclusions: There was a positive opinion that the adoption of esports as an official Olympic event had positive content that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the game, and a negative opinion that games with actions that violate the Olympic spirit, such as murder and assault, should not be adopted as an official Olympic event. Further implications were discussed.

해양스포츠이벤트의 지속가능성(TBL) 분석 (Analyses of Sustainability(TBL) of Marine Sport Events)

  • 조우정;강신범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91-10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해양스포츠이벤트 유형별 지속가능성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경제, 사회 그리고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해양스포츠이벤트 개발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해양스포츠이벤트 방문객 2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Oh(2003), Park(2009) 그리고 Song and Lee(2005)등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의 상황에 맞게 요인 및 항목을 수정 보완하였으며 전문가에 의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조사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일원변량분석(ANOVA)와 사후검증(Scheffe)을 통해 이벤트 유형별 지속가능성을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해양스포츠이벤트의 긍정적 지속가능성은 해양공간정비(M=3.82)가 가장 높았으며 고용창출(M=3.46)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부정적 지속가능성은 교통정체(M=3.16)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참가자와 주민 갈등(M=2.73) 항목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해양스포츠이벤트 유형별 긍정적 지속가능성은 축제형 해양스포츠이벤트가 경제적(M=3.79), 사회적(M=3.84) 그리고 환경적(M=3.80) 지속가능성 요인 모두에서 긍정적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해양스포츠이벤트 유형별 부정적 지속가능성은 통계적 유의도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비지니스형이 경제적(M=3.22), 사회적(M=3.26) 그리고 환경적(M=3.25) 지속가능성 요인 모두에서 부정적 효과가 타 해양스포츠이벤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경제, 사회 및 환경적으로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해양스포츠이벤트 유형을 제시해 주고 있으며 해양스포츠이벤트의 지속가능한 개발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Urban Innovation through Mega Sport Events: Evidence from the City of Seoul

  • Ahn, Yongjin;Kim, Minkyung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0권1호
    • /
    • pp.132-154
    • /
    • 2021
  • A mega sport event as the globalization phenomenon is not only the symbol of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but also the vehicle to upgrade global power and hold a dominant position in the world competition under the post-industrial era. This study notifies the role of mega sport events as a strategy for urban innovation in the context of global and local. Comparing the different roles of mega sport events between developing countries and developed countries, we intend to answer two questions: 1) what explains the nature and role of mega sport event, and 2) what are the major evidences of the transition in the globalization era. The conceptual framework, based on the temporal and spatial perspective, provides the mechanism through which the strategy for urban innovation has been changed from 'motivation for modernization' to 'rethinking of localization.' Focusing on the case of Seoul, we also compare major issues between two phases: role of agent, urban form, and urban development. Finally,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concept of 'glocalization' which means the convergence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and suggests the roles of (local) agent for hosting mega sport events.

성공적인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 참여가 한국인이미지, 제품이미지, 구매의도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uccessful Participation in Global Sport Events on the Korean Image, Product Image, Purchase Intention and Revisit Intention)

  • 김기탁;이완;김홍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449-456
    • /
    • 2011
  • 본 연구는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에 참여하여 얻은 성공적인 결과가 외국인이 인지하는 한국인이미지, 제품이미지, 구매의도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모집단은 국내 대학에 재학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표본은 목적표집법을 통해 표집하였다.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기술분석(descriptive analysis)을, AMOS 7.0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된 결과 및 논의를 종합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글로벌 스포츠이벤트에 참여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었을 경우 외국인들이 인지하는 한국인이미지, 제품이미지, 구매의도 및 재방문 의도는 이벤트 개최 전에 비해 개최 후가 더 높다. 둘째,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에 참여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었을 경우 피겨스케이팅에 대한 관여도가 외국인들이 인지하는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 전 후의 한국인이미지, 제품이미지, 구매의도 및 재방문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