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ice extract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9초

생강의 약물대사효소 CYP3A4 저해 성분 (The Inhibitory Constituents from the Ginger on a Drug Metabolizing Enzyme CYP3A4)

  • 차배천;이은희;권준택
    • 약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266-271
    • /
    • 2004
  •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is widely used as a common condiment for a variety of foods and beverages. In addition to its extensive utilization as a spice, the fresh or the processed rhizome is a useful crude drug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t is considered to possess stomachic, carminative, stimulant, diuretic and antiemetic properties. Chemical studies on the pungent principles of ginger have been carried out by a number of investigators, and 6-gingerol and 6-shogaol as a major pungent substance have been isolated. In this study, the constituents inhibiting a drug metabolizing enzyme CYP3A4 from ginger were investigated. CYP3A4 is responsible for drug metabolism as heme-containing monooxygenases. As a result of experiment, 10-gingerol (lC$_{50}$ 5.75$\mu$M) isolated from EtOAc extract of ginger showed remarkable inhibitory activity compared to 6-gingerol ($IC_{50}$/ 14.56 $\mu$M) and zingerone ($IC_{50}$/ 379.63 $\mu$M). This paper describes the isolation, structure elucidation, and CYP3A4 inhibitory activity of these compounds. The structure of the compounds were identified by instrumental analysis such as LC-mass spectrometer and NMR.R.

고수를 첨가한 고추장의 품질 및 관능적 특성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ochujang added with Coriander(Coriandrum sativum L.))

  • 최기철;최수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73-85
    • /
    • 2009
  • 본 연구는 서구권 국가에서도 영양학적 우수성을 인정하고 소비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기능성이 있는 천연 향신료 중 독특한 향과 항산화, 항암효과를 갖고 중국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고수(Coriandrum sativum L.)를 고추장에 첨가하여 기능성이 향상된 고수 고추장 개발을 통해 중국 시장에 고추장의 활용성과 소비를 확대를 높이고자 하였다. 고수 고추장의 고수는 파우더와 원액 넣어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CP7의 색(4.04), 고수의 향(3.72), 고수의 맛(3.92), 부드러운 정도(4.36)가 강하게 평가되었고, CJ4는 윤기(3.42), 고수의 향(3.04), 고수의 맛(4.29)이 강하게 평가되었다. 이는 고수의 첨가량이 증가할 수록 고추장의 향과 고추장의 맛은 약하게 평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Aqueous extract of Laurus nobilis leaf accelerates the alcohol metabolism and prevents liver damage in single-ethanol binge rats

  • Jae In Jung;Yean-Jung Choi;Jinhak Kim;Kwang-Soo Baek;Eun Ji Kim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7권6호
    • /
    • pp.1113-1127
    • /
    • 2023
  • BACKGROUND/OBJECTIVES: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has harmful health effects, including alcohol hangovers and alcohol-related liver disease. Therefore, methods to accelerate the alcohol metabolism are needed. Laurus nobilis is a spice, flavoring agent, and traditional herbal medicine against various disease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standardized aqueous extract of L. nobilis leaves (LN) accelerates the alcohol metabolism and protects against liver damage in single-ethanol binge Sprague-Dawley (SD) rats. MATERIALS/METHODS: LN was administered orally to SD rats 1 h before ethanol administration (3 g/kg body weight [BW]) at 100 and 300 mg/kg BW.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0.5, 1, 2, and 4 h after ethanol administration. The livers were excised 1 h after ethanol administration to determine the hepatic enzyme activity. The alcohol dehydrogenase (ADH), aldehyde dehydrogenase (ALDH),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glutathione peroxidase (GPx) activities in the liver tissue were measured. RESULTS: LN decreased the serum ethanol and acetaldehyde levels in ethanol-administered rats. LN increased the hepatic ADH and ALDH activities but decreased the alanine aminotransferas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gamma-glutamyl transferase activities in the ethanol-administered rats. In addition, LN inhibited lipid peroxidation and increased the activities of SOD and GPx. CONCLUSIONS: LN modulates the mediators of various etiological effects of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and enhances the alcohol metabolism and antioxidant activity, making it a potential candidate for hangover treatments.

향신료 재배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국내 미기록 야생효모들의 균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Characteristics of Unrecorded Wild Yeasts Obtained from the Soil of Spices Plant Fields and its Physiological Functionality)

  • 한상민;김지윤;김창무;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75-81
    • /
    • 2019
  • 생리기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먼저 충남 금산의 양파와 도라지, 마늘과 생강 등의 재배지 토양시료에서 분리, 동정한 야생효모 중 마늘 재배지에서 분리한 Piskurozyma taiwanensis R4-1 (NIBRFGC000502619), Nadsonia starkeyi-henriciiR6-2 (NIBRFGC000502618), Canadida friedrichiiM12-6 (NIBRFGC000502615) 균주와 생강에서 분리한 Vishniacozyma peneaus I2-9 (NIBRFGC000502617)와 Cryptococcus aspenensisI21-1 (NIBRFGC000502616) 균주의 야생효모를 국내 미기록 효모 균주로 최종 선별하여 이들의 형태학적, 배양학적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미기록 균주들은 구형~타원형으로 PiskurozymataiwanensisR4-1, Nadsoniastarkeyi-henriciiR6-2들은 자낭포자를 형성하였다. Vishniacozyma peneausI2-9, Cryptococcus aspenensisI21-1, Piskurozyma taiwanensis R4-1, Nadsonia starkeyi-henricii R6-2는 yeast extract-peptone-dextrose (YPD) 배지와 yeast extract-malt extracts (YM) 배지, 비타민을 첨가하지 않은 YPD 배지에서도 모두 생육하였으며 Vishniacozyma peneausI2-9 외 4균주 모두 10% NaCl을 함유한 YPD 배지에서 생육하는 호염성 효모였다.

카레분 및 향신료 추출물의 항 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 Effects of Extracts of Curry Powder and Its Individual Spice)

  • 정승현;정명수;이진선;박기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52-357
    • /
    • 2002
  • 카레분 및 카레 원료로 사용되는 주요 향신료들의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보기 위하여 카레분 및 원료 향신료 14종의 추출물에 대한 돌연변이원성 및 항 돌연변이원성 실험을 하였다. 카레분 및 향신료 14종의 추출물에 대해 돌연변이원성 유무를 확인한 결과 돌연변이 원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항 돌연변이원성 실험에서 직접 변이원 2-NF 처리 시Saimonella typhimurium TA 98에 대하여 향신료 추출물 중cinnamon(42%) 및 fenugreek(38%), fennel(32%), ginger(28%), clove(24%)는 p<0.00I 유의수준에서, 그리고 turmeric (23%) 및 celery seed(20%), coriander(16%)는 p<0.01 수준에서 항 돌연변이율을 나타냈다. 그리고 garlic(17%)이 항 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냈으며 그 밖의 향신료 및 카레분 추출물은 항 돌연변이 효과가 없었다. 간접변이원 2-AT처리 시 돌연변이 수는 115.0$\pm$46.4에서 clove추출물 첨가에 의해 13.2$\pm$8.1로 감소하여 향신료 추출물 중 clove가 116%로 가장 높은 항 돌연변이율을 보였으며, celery seed(103%) 및 cardamon(100%) 역시 강한 항 돌연변이율을 나타냈다(p<0.01). 그밖에 red pepper, cinnamon, cumin, ginger, fennel, coriander, nutmeg, turmeric에서도 항 돌연변이 활성이 존재하였다(p<0.05). 간접변이원 2-AF에서는 clove추출물이 120%의 가장 높은 항 돌연변이율을 보였으며, cinnamon(113%) 역시 강한 항 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냈다(p<0.001). 그리고 cardamon(93%) 및 celery seed (80%), ginger(58%), fennel(44%) 역시 항 돌연변이 활성을 보였다(p<0.05). 그밖에 coriander, black pepper는 항 돌연변이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카레분 추출물의 경우, 간접변이원인 2-AT와 2-AF에서 6~23%의 항 돌연변이 율을 나타냈으나 유의성이 없었으며 직접변이원인 2-NF 에서는 항 돌연변이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즉, 동일한 추출물이라도 변이원에 따라 항 돌연변이율이 다르게 확인되었으며, 카레분 및 원료 향신료의 추출물에서 항 돌연변이율은 직접변이원보다는 간접변이원에서 높게 나타났다.

향신료 재배 토양과 주변 산림 토양으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Unrecorded Wild Yeasts Obtained from Soils of Spice Fields and Mountains)

  • 김지윤;한상민;박선정;장지은;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51-160
    • /
    • 2020
  • 향신료 재배 토양 내에서 분리한 효모 중 이들의 분포와 국내 미기록 야생효모들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의 향신료 재배토양에서 35종 58균주의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Trichosporon moniliiforme균이 우점균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대둔산 일대 산림토양에서 46균주의 야생효모들을 분리하였고 이들 향신료 토양들과 산림 토양 등에서 분리한 야생효모들 중 아직까지 국내에 보고되지 않은 Debaryomyces vindobonensis GHY31-3, Pseudozyma alboarmeniaca CD23-5, Filobasidium stepposum SFG1-4, Aureobasidium caulivorum HD17-5, Metschnikowia noctiluminum HD29-2, Papiliotrema anemochoreius NK2-12, Hannaella surugaensis DCH25-5, Microbotryozyma collariae DCH1-4, Rhodosporidiobolus lusitaniae DCH30-2, Wickerhamiella azyma DCH46-3등 10균주의 국내 미기록 효모들을 선별하였다. 이들 미기록 균주들은 구형-타원형으로 출아, 분열법으로 영양 증식하였다. Filobasidium stepposum SFG1-4균주를 포함하는 5균주들은 포자를 형성하였고 Pseudozyma alboarmeniaca CD 23-5등 3 균주들은 비타민을 첨가하지 않은 YPD 배지에서도 모두 생육하였다. Wickerhamiella azyma DCH 46-3는 20% 포도당을함유한 YPD 배지에서, Debaryomyces vindobonensis GHY31-3 균주는 5% NaCl을함유한 YPD 배지에서 잘 자라는 특성을 보였다. 또한, 이들의 무세포추출물들의 항산화 활성은 거의 없거나 10% 미만이었지만, 항통풍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Filobasidium magnum SFG1-3가 28.6%로 높게 나타났으며, 미백성 tyrosinase 저해활성은 Rhodotorula mucilaginosa GHP40-2 균주의 무세포추출물이 2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생마 신선편이 제조를 위한 천연 향신료의 항균,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 평가 (Evaluation for the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thrombosis Activity of Natural Spices for Fresh-cut yam.)

  • 류희영;배경화;금은주;박상조;이봉호;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52-657
    • /
    • 2007
  • 천연 향신료를 이용한 기능성 생마 신선편이 제조를 위해, 국내외에서 사용되는 향신료들을 대상으로 물 추출물 및 메탄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향신료의 추출효율은 향신료에 따라, 추출용매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추출물들의 성분 분석 결과 향신료의 우수한 영양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먼저 물 추출물들의 항균,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을 검토한 결과, 물 추출물들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페퍼민트 추출물에서 트롬빈 타임이 26배 이상 연장되어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DPPH 소거능 평가결과 계피 및 로즈마리 추출물에서 각각 $61.3{\mu}g/ml$$84.3{\mu}g/ml$$IC_{50}$를 확인하였다. 한편 메탄을 추출물들에서는 타임, 생강, 및 계피 추출물이 생마 저온부패균에 대해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로즈마리 추출물은 생마 저온부패균에 대한 항균력은 없었으나, 강력한 항충치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계피 및 산초 추출물에서 우수한 항혈전 활성을, 타임 및 계피 추출물에서 강력한 DPPH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이 동시에 우수한 페퍼민트 및 계피 물 추출물들을 이용하여 기능성 생마 신선편이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신선편이는 $4^{\circ}C$에서 24시간 보관 후에도 페퍼민트 및 계피 유래의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을 유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천연 향신료를 이용하여, 저장성이 우수하면서, 기능성, 관능성이 강화된 신선편이 제조가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생강 추출물의 pancreatic lipase 저해 및 항산화 활성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Zingiber officinale Extracts)

  • 배종섭;김태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90-396
    • /
    • 2011
  • 신선한 생강을 80% EtOH로 침지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CHCl_3$, EtOAc, n-BuOH로 순차 용매 분획하였고,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을 평가하였다.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EtOAc층의 15.6 ${\mu}g$/mL의 실험 농도에서 에서 대조군인 orlistat보다 강한 $98.0{\pm}0.7%$ 저해능을 확인하였으며, 생강의 주성분으로 잘 알려져 있는 6-gingerol의 경우 같은 농도에서 $16.2{\pm}0.5%$의 상대적으로 낮은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DPPH 라칼 소거능은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EtOAc층의 125 ${\mu}g$/mL의 농도에서 $56.5{\pm}1.4%$, 62.5 ${\mu}g$/mL의 농도에서 $40.5{\pm}1.2%$의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고, 이는 생강의 항산화 활성은 생강 추출물에 존재하는 6-gingerol 등과 같은 페놀성 화합물이 관여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총페놀성 함량이 g당 $82.0{\pm}0.3$ mg으로 나타난 $CHCl_3$층에 대해서도 $ABTS^+$ 라디칼 소거 활성물질의 존재가 시사되었으며, pancreatic lipase,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물질의 동정을 진행 중에 있으며, 향후 이들 활성물질의 활성 기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보다 우수한 pancreatic lipase 저해능을 가지는 새로운 선도화합물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에 자생하는 생강의 식물 화학적 성분에 대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hemical Composition of Selected Forages and Spices and the Effect of These Spices on In vitro Rumen Degradability of Some Forages

  • Khan, Mohammad Mehedi Hasan;Chaudhry, Abdul Shakoo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7호
    • /
    • pp.889-900
    • /
    • 2010
  • Spices can be used as novel supplements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low quality forages (LQF) and reduce nutrient wastage by ruminant animals. However, it is essential to characterize these spices alongside LQF before testing their potential use as supplements in ruminant diets. This study characterized four spices (cinnamon, cumin, clove and turmeric) alongside three forages (rice straw, wheat straw and hay) for their chemical components before evaluating their effect at four different doses (0, 10, 30 and 90 mg/g forage DM) on the in vitro rumen degradability of dry matter (DM) (IVD) and organic matter (OM) (IVOMD) of these forages at various incubation times. It appeared that some spices could provide complementary nutrients which could improve the utilization of LQF where hay had better chemical composition than the other two forages. Cumin contained more crude protein (CP), ether extract and mineral contents whereas turmeric contained more soluble sugars than the other spices. Cinnamon was least acceptable as a ruminant supplement due to its higher condensed tannin and saponin and lower CP and mineral contents. The IVD and IVOMD were highest for hay and lowest for wheat straw with all spices at all incubation times (p<0.001). Due to relatively better nutrient profiles, cumin and turmeric had greater effect on IVD and IVOMD of the forages. In contrast, cinnamon had negative effects on IVD and IVOMD. IVD and IVOMD were greater at 10 mg/g than at other levels of most spices suggesting that using certain amounts of spices can increase forage degradability. However, the choice of a spice will depend upon the forage type being offered to ruminants. Further studies will examine the effect of these spices on fermentation profile, methane production and nitrogenous loss by ruminants.

전조 뿌리의 유리 아미노산과 정유 성분 조성 (Composition of Free Amino Acids and Essential Oils in Root of Anthriscus sylvestylis)

  • 김상국;권태용;민기군;이승필;최부술;이상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21-525
    • /
    • 1996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전조의 근에 대한 조성분, 유리 아미노산, 향기성분 등의 분석을 통하여 향료작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는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조 뿌리의 조성분가운데 조단백질은 7.69%, 조지방 1.74%, 조섬유 2.44%, 그리고 조회분은 3.76% 였으며 엑스 함량은 27.68%로 나타났다. 2. 유리 아미노산 조성 및 함량에서 종류는 총 16종이었으며 아미노산의 함량에 따른 순위는 phenylalanine>tyrosine>arginine>alanine>glutamic acid>aspartic acid>lysine>isoleucine>proline>glycine>histidine>thereonine>leucine>methionine>valine, serine이었고 유리 아미노산 함량 중 가장 높은 아미노산은 phenylalanlne으로 6.38 mg이었다. 3. 전조의 뿌리에 대한 향기성분은 $\alpha$-pinene, d-1imonene 등의 mono terpene류가 11종이었고 methyl eugenol 등의 phenyl propanoid류가 3종, 기타 8종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식물정유의 수율은 0.58%였다. 4. 종합적으로 볼 때, 한국산 전조에 대한 향료작물로서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금후 향기성분의 수율을 높이기 위한 재배법 연구의 일환으로 차광, 재배거리, 시비량 등의 시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