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es succession

검색결과 480건 처리시간 0.03초

Effect of Bacillus mesonae H20-5 Treatment on Rhizospheric Bacterial Community of Tomato Plants under Salinity Stress

  • Lee, Shin Ae;Kim, Hyeon Su;Sang, Mee Kyung;Song, Jaekyeong;Weon, Hang-Ye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7권6호
    • /
    • pp.662-672
    • /
    • 2021
  • Plant growth-promoting bacteria improve plant growth under abiotic stress conditions. However, their effects on microbial succession in the rhizosphere are poorly understood. In this study, the inoculants of Bacillus mesonae strain H20-5 were administered to tomato plants grown in soils with different salinity levels (EC of 2, 4, and 6 dS/m). The bacterial communities in the bulk and rhizosphere soils were examined 14 days after H20-5 treatment using Illumina MiSeq sequencing of the bacterial 16S rRNA gene. Although the abundance of H20-5 rapidly decreased in the bulk and rhizosphere soils, a shift in the bacterial community was observed following H20-5 treatment. The variation in bacterial communities due to H20-5 treatment was higher in the rhizosphere than in the bulk soils. Additionally, the bacterial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were greater in the H20-5 treated rhizosphere than in the control.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bacterial communities varied with soil salinity levels, and those in the H20-5 treated rhizosphere soil were clustered. The members of Actinobacteria genera, including Kineosporia, Virgisporangium, Actinoplanes, Gaiella, Blastococcus, and Solirubrobacter, were enriched in the H20-5 treated rhizosphere soils. The microbial co-occurrence network of the bacterial community in the H20-5 treated rhizosphere soils had more modules and keystone taxa compared to the control. These findings revealed that the strain H20-5 induced systemic tolerance in tomato plants and influenced the diversity, composition, structure, and network of bacterial communities. The bacterial community in the H20-5 treated rhizosphere soils also appeared to be relatively stable to soil salinity changes.

상수원 호소인 가창호의 수질과 수생태계의 계절적 변화 (Water Quality and Structure of Aquatic Ecosystem in Water Source, Lake Gachang)

  • 박연정;이혜진;서정관;탁보미;정현기;이재관
    • 환경생물
    • /
    • 제29권4호
    • /
    • pp.296-304
    • /
    • 2011
  • 2010년 2월부터 12월까지 상수원 호소인 가창호에 대한 수질 및 생물상을 조사하였다. 가창호 유역내 총 BOD 발생부하량은 생활계가 53%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으며 토지계(27%), 축산계(16%) 순으로 나타났다. 가창호 유역내 총 TN, TP 발생부하량은 토지계가 각각 59%, 42%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다. 가창호 유역내 총 BOD 배출부하량은 토지계가 61%의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고 생활계(24%), 산업계(11%) 순으로 나타났다. TN, TP 배출 부하량은 모두 차지하는 비율이 75 이상으로 토지계가 높게 나타났다. 가창호 수질의 경우, 유기물 오염도는 COD의 연간평균값이 3.5 mg $L^{-1}$로 호소환경기준으로 약간 좋음(II)을 나타내었으며, 부영양화도 지수로는 연평균 중영양 상태를 보여주었다. 조류발생정도는 3월과 9월에 다른 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호소환경기준으로 좋음(Ib)을 나타내었다. 식물플랑크톤은 연중 규조류가 대부분 우점하였으나, 4월과 7월에 기타 편모조류가 우점하여 출현하였다. 그리고 8월에서부터 11월까지는 $Cyclotella$ 속이 우점하여 출현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의 경우에는 소형 윤충류의 출현 종수가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2월에는 윤충류인 $Conochilus$ sp., 3월~7월에는 윤충류인 $Keratella$ $cochlearis$가 모두 우점하였고 특히 4월에는 윤충류가 49.8%의 높은 상대풍부도를 나타내었다. 11월에 요각류인 $Cyclops$ sp.가 우점한 것을 제외하면 9월~12월 동안 윤충류인 $Polyarthra$ $vulgaris$가 우점하였고 8월에는 요각류인 Nauplii가 우점하였다. 수생식물은 가창호 수변을 따라 다양한 군락이 나타났다. 주로 선버들군락과 물억새군락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도로 인접지역은 칡 피복이 심하고 북쪽 다리 상류 쪽에는 달뿌리풀군락과 왕버들, 갈풀, 여뀌군락이 소규모로 분포하였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섭식기능군 (FFG)을 조사한 결과, 조사지점 전체에서 GC (Gathering-Collector)와 SH(Shredder)가 조사되었으며, GC 분류군이 가장 높은 종 및 개체수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류는 총 7종이 출현하였으며 잉어과 어류가 5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다. 참갈겨니, 꺽지와 같이 물이 맑고 바위와 자갈이 많은 하천 중 상류에 서식하는 어종이 일부 채집되었는데 가창호의 경우 하천의 상류지점에 위치하고 낮은 수온을 유지하여 이들 어류가 서식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서울시 남산 신갈나무림 생태계 특성과 변화 연구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y in Namsan (Mt.), Seoul)

  • 한봉호;박석철;김종엽;곽정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41-63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남산 신갈나무림을 대상으로 과거 조사자료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생태적 특성을 밝히고, 현황 진단 및 생태계 변화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를 축적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지는 2006년 7월 서울시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된 '남산 북사면 신갈나무림'이다. 연구내용은 토양환경 변화(1986~2016) 분석, 현존식생 변화(1978~2016) 분석, 식물군집구조 변화(1994~2016) 분석이다. 식물군집구조 고정조사구는 1994년과 2000년에 설정한 총 8개 고정조사구(400~1,200m2)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항목은 상대우점치, 종수 및 개체수, Shannon의 종다양도이다. 남산 토양환경은 산성 토양(pH 4.40)으로 치환성양이온 용량이 낮아 수목 생육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었다. 남산의 신갈나무림은 주로 북사면 일대에 분포하며, 현존식생 면적은 49.4%(1978년) → 80.7%(1986년) → 82.4%(2000년) → 88.3%(2005년) → 70.3%(2016년)로 변화하였으며, 2016년에는 2005년과 비교해 세력이 18% 감소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교목층 신갈나무의 생장에 의해 세력이 증가하였다가 2012년 참나무시들음병 확산에 따른 벌채 및 훈증 관리로 그 세력이 크게 감소되었기 때문이다. 식물군집구조 변화 내용은 대부분 참나무시들음병으로 교목층 신갈나무가 훼손되었고, 차대를 형성할 수 있는 잠재식생이 나타나고 있지 않았다. 아교목층은 도시환경 적응 수종인 때죽나무, 팥배나무 등의 세력이 유지 또는 증가하였다. 관목층은 개방된 상층 수관에 의해 종수 및 개체수가 크게 증가하여 군집별 Shannon의 종다양도도 증가하였다. 남산 신갈나무림은 대기오염 및 산성비 등 도시환경의 영향, 참나무시들음병에 의한 신갈나무 단순림의 한계, 외래종의 유입 등 다양한 생태계 변화가 나타나고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관리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산화적지에서 지상부 식생구조와 표토에 분포하는 세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Aboveground Vegetation Structure and Fine Roots of the Topsoil in the Burnt Forest Areas, Korea)

  • 이규송;박상덕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3호
    • /
    • pp.149-156
    • /
    • 2005
  • 산불 피해지에서 지상부 식생 구조와 표토층(< 15 cm)에 분포하는 세근의 관계를 분석하여 지상부 식생 구조를 이용한 표토층 세근의 예측 모형을 구하였다. 산불 피해지의 산불 초기에 지상부 식생과 마찬가지로 표토층에 분포하는 세근량(FRT)도 공간정 이질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산불 후 초기 3년차 이내의 표토층에 분포하는 2 mm 이하의 세근량은 $3\sim166$ g $DM/m^2$을 나타내었다. 산불 피해 후 자연 복원지와 벌목 조림지 모두에서 FRT는 지상부 식생 구조를 나타내는 식생치(특히 Ivc)와 매우 밀접한 관련성을 보여주었다. 산불피해 후 녹화사방한 지소의 FRT는 녹화 사방한 해로부터의 경과 년 수와 매우 밀접한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녹화 사방지의 FRT는 자연 복원지나 벌목 조림지에 비해 훨씬 많았는데, 그 이유는 뿌리의 발달이 왕성한 협엽성 초본의 왕성한 생장 때문이었다. 자연 복원지에서 지상부식생지수(Ivc)의 증가에 따른 FRT의 변화는 Ivc의 증가에 따라 포물선의 형태로 증가하는 2차 함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산불피해지에서 지상부 식생 지수(Ivc)는 시간 경과에 따라 로그 함수적으로 증가하지만, FRT는 산불 피해 후 초기 15년차까지는 증가하지만 그 이후에는 다소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지상부 식생구조가 발달한 산불 피해지의 천이 후기 단계에서 FRT의 감소는 식생지수(Ivc)에 대한 목본종의 기여도가 뿌리의 발달에 기여도가 큰 초본의 기여도보다 커지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산불 피해지에서 FRT의 예측에 지상부 식생치(Ivc)를 이용할 수 있다.

산화적지(山火跡地)의 생태학적(生態學的) 연구(硏究) -산화후(山火後) 임지(林地)의 생산구조(生産構造)에 대(對)하여- (Ecological Studies on the Burned Forest -On the Productivity System of the Burned Forest-)

  • 김옥경;정현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5-54
    • /
    • 1971
  • 산화(山火)가 삼림식생(森林植生)에 및이는 영향(影響)을 연구(硏究)코저 본인(本人)은 1967년(年)부터 강원도(江原道) 춘성군(春城郡) 서면덕두원(西面德斗院)에 소재(所在)한 삼악유(三岳由)에 약(約) 5ha의 면적(面積)이 산화(山火)로 인(因)하여 불탄 장소(場所)를 택(擇)하여 산화후(山火後)의 생산구조(生産構造)와 Succession을 다음과 같이 조사연구(調査硏究)하였다. 1. 생산구조(生産構造)에 있어서 현존량(現存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보면 개체수(個體數)에 있어서는 초본류(草本類)에서 산겨울, 억새 등(等)이 다수(多數)이어서 목본류(木本類)보다 상위(上位)에 속(屬)하며 목본류(木本類)는 상수리, 떡갈나무 순위(順位)로 되어 있으며 S.D.R.도 역시 초본류중(草本類中)에서도 화본과(禾本科)가 으뜸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수있다(표(表) 1). 그리고 비교구(比較區)보다 산화구(山火區)에서 개체수(個體數)가 약(約) 4배(倍)나 증가되어 있음을 알수있다(그림 2, 3, 표(表) 3.). 2. 비화입지(非火入地)에서도 우점도(優點度)의 순위로 5종(種)을 선정하여 S.D.R.를 비교(比較)하여 본 결과(結果) 목본(木本) : 초본(草本)은 4.43:11.52로서 초본(草本)이 상위치(上位置)에 속(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표(表)4. 그림 4.). 3. 현존량(現存量)에 있어서 지하부(地下部)를 비교(比較)한 결과 비교구(比較區)보다 시험구(試驗區)가 552.45g이나 더 많은 것을 알수 있었으며 지하부(地下部)에 있어서도 1470.53g이나 더 많은 것은 고온처리(高溫處理)가 일부종자(一部種子) 발아(發芽)에 촉진(促進)을 시킨것과 다년생식물(多年生植物)에 있어서는 생장(生長)에 촉진(促進)을 시켜준 것으로 생각된다(표(表) 6, 7.). 4. 종별(種別)로도 현존량(現存量)은 Miscanthus 속(屬), Carex속순위(屬順位)로 증가됨을 알수있었고 목본류(木本類)에서는 Lespedeza속(屬)이 증가되어 있음을 알수있었다. 5. 높이의 총합(總合)에서도 비교구(比較區)보다 시험구(試驗區)가 약(約) 6000cm나 더 높은 것을 알수있었다. 6. 결과적(結果的)으로 화입(火入)은 교목(喬木)과 관목(灌木)에 있어서는 소사(燒死) 또는 종자(種子)의 소각(燒却) 등(等)으로서 큰 손실(損失)을 보았으나 2차년도(次年度)의 천이(遷移)는 화입지(火入地)의 다년생초본(多年生草本)에 있어서 생장(生長)에 촉진(促進)을 시켜주었고 종류(種類)에 따라서 발아능력(發芽能力)을 촉진(促進)시켜준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easonal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Dynam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Coast of Mara-do and U-do, Jeju Island, Korea

  • Affan, Abu;Lee, Joon-Baek
    • ALGAE
    • /
    • 제19권3호
    • /
    • pp.235-245
    • /
    • 2004
  • A study on seasonal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dynam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was carried out at four stations including Mara-do and U-do located in the western and eastern coast of Jeju Island in southern Korea from April 2003 to March 2004. Out of 101 phytoplankton species identified, 84 belong to Bacillariophyceae, 9 Dinophyceae, 6 phytoflagellates and 2 coccolithophorids, and the highest value of species diversity was observed in April. Phytoplankton was more abundant at the western coast than at the eastern coast from March to September and its highest abundance was 49.24 ${\times}$ 10$^3$ cells L$^{-1}$ at Mara-do in July. The pennate diatoms were more abundant at the western coast than at the eastern coast with the highest abundance of 38.75 ${\times}$ 10$^3$ cells L$^{-1}$ at Mara-do in July, and during this period Nitzschia longissima contributed 68.5% of the total phytoplankton abundance. Naviculaceae was more abundant at Gosan (western coast) in November when Stauroneis membranacea represented 80.1% of the abundance. Leptocylindrus dances contributed 49.4% of the abundance at U-do in November. Dinophyceae was more abundant at U-do in August. Water temperature and pH fluctuated from 11.7${^{\circ}C}$ to 27.1${^{\circ}C}$ and from 7.31 to 8.70, respectively. Water temperature of Mara-do was about 1-2${^{\circ}C}$ higher than the other stations. Salinity varied from 30.4 to 35.0 psu with the minimum in rainy season and the maximum at the end of winter. The concentration of NH$_4$-N, NO$_3$-N, NO$_2$-N, PO$_4$-P and SiO$_2$-Si ranged 0.07-6.79, 1.0-62.0, 1.0-8.0, 1.0-7.0 and 7.0-191.0 $\mu$g-at L$^{-1}$, respectively.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varied from 0.10 to 1.17 $\mu$g L$^{-1}$. NH$_4$-N concentrations were high at U-do from May to December, and at Mara-do from January to February. The high concentrations of NO$_3$-N were found at Mara-do from June to September and at U-do from January to May. The effects of various physicochemical parameters on the seasonal distribution and succession of phytoplankton population suggest that there is a classical pattern of phytoplankton dynamics in Jeju coastal waters.

무등산국립공원 옛길 2구간의 식생구조분석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on the 2nd Old Trail in Mudeungsan National Park)

  • 유승봉;이상철;강현미;김영선;신해선;장정은;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4-234
    • /
    • 2020
  • 본 연구는 무등산국립공원 옛길 제2구간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총 60개의 조사구를 설치 및 조사하여 TWINSPAN과 DCA를 통해 군락을 분류한 결과 총 5개의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군락I은 낙엽활엽수군락, II는 소나무-졸참나무군락, III은 졸참나무군락, IV는 비목나무군락, V는 신갈나무군락으로 최종 분류되었다. 분류된 군락들은 해발고에 따른 우점종의 분포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군락 IV를 제외한 4개의 군락은 교목층의 수종이 우점하는 가운데 아교목층에서 때죽나무가 우점하는 현재의 군락의 형태가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군락 II~IV의 관목층에 발달한 조릿대는 일시개화 및 고사 이후 하부식생 천연갱신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다. 군락 II의 소나무-졸참나무간의 경쟁관계는 장기적인 측면에서 소나무군락의 세력 감소에 대한 관찰이 요구된다. 옛길 2구간은 해발고별 식생의 변화가 뚜렷하고 무등산국립공원의 깃대종인 털조장나무가 자생하는 등 생태적으로 가치가 높은 탐방로로써, 지속가능한 이용을 통해 우수한 산림생태계를 보전하여야 한다.

인천시 징매이고개의 도로에 설치한 생태통로의 생태 현황과 개선 방안 (Ecological Status and Improvement Suggestion of a Wildlife Road-Crossing Structure at the Jingmaei-Pass in Incheon, Korea)

  • 김진경;조형진;조강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3호
    • /
    • pp.169-176
    • /
    • 2016
  • 도로가 서식지 파편화를 초래하는 주요인이라고 널리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도로에서 야생동물 이동통로는 격리된 서식지 사이의 연결성을 제공하는 가장 일반적인 해결방안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시 징매이고개의 도로에 설치된 야생동물 생태통로에서 보전 가치와 생태적 효율성을 평가하고 적응관리를 위한 대책을 제안하기 위하여, 생태통로에서 소음 교란도, 식생 구조 및 야생동물의 이동과 서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지인 징매이고개 생태통로에서는 도로 차량으로부터의 소음 교란이 적절하게 차단되지 않고 있었다. 생태통로 식생에서는 단풍잎돼지풀, 개망초, 칡, 찔레꽃 등과 같은 천이초기종이 번성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식생 천이를 촉진하고 동물 서식지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효과적인 식생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생태통로에서 족적과 폐쇄회로 티비로 야생동물을 조사한 결과, 등줄쥐, 너구리, 두더지, 청솔모 등의 제한된 포유류가 이동통로로 이용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징매이고개 생태통로는 현재 소음 간섭과 교란 식생의 번성으로 생물 이동통로로서의 적적한 기능을 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야생동물 이동통로로서 기능을 향상하기 위하여 동물 서식과 이동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적절한 대책이 요구된다.

비탈면 녹화에서 임목폐기물의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Fresh Root-chips in Slope Revegetation Works)

  • 김남춘;이정호;이태옥;허영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19-128
    • /
    • 2008
  •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seek out the ways to recycle fresh root-chips in the slope revegetation works by breaking tree root wastes occurring during the construction works, also to review the applicability of fresh root-chips as the soil media in slope revegetation works. For this purpose, we organized test units in order to investigate on-site applicability of fresh root-chips (broken chips). In order to examine the desirable ration of combining fresh root-chips with the hydroseeding soil media on the cutting slopes, we organized test units depending on the amount of combination. The following is the main experimental results. 1. At first, we analyzed properties of hrdro-seeding soil media and soil of the experimental sites. The overall results demonstrate that all the test units show proper range for vegetation. 2. We believe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of soils in the earlier phase of restoration works on the sloped sites are not greatly affected by the fact whether broken chips exist or not. However, as time elapses, broken chips needs to be investigated further on what kind of impact they have on the soil condition. 3. More species are found in the test unit combining broken chips and we believe that it will contribute to blossoming of green plants and ecological succession of neighboring plants. 4. We performed experiment on possibility for fresh root-chips as substitutes for the hydro-seeding soil-media. In the test unit that combines fresh root-chips, its mixture ratio tends to exceed that of the test unit that does not combine fresh root-chips by 5 %. In case of the Thick-Layer-Soil-Media Hydroseeding works, the mixture ratio of the test unit that combines fresh root-chips after 16 weeks exceeds that of the test unit that does not combine fresh root-chips by 75%. 5. From the result of our experiment, it is obvious that the ratio of mixture and the number of emerging species are higher for the test unit combining fresh root-chips than the test unit that does not combine them. In other words, we can replace the hydro-seeding-soil-media with some Fresh root-chips without affecting the physical property of soil.

훼손비탈면 복원을 위한 콩과목본류로서 참싸리 및 낭아초의 적정파종량에 관한 연구 (The Optimal Seeding Quantity of Lespedeza cyrtobotrya Miquel and Indigofera pseudo-tinctoria MATSUMURA as Leguminous Woody Plants for the Cut-slope Revegetation)

  • 유병득;심상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1-71
    • /
    • 2016
  •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dentify the optimal seeding quantity of Lespedeza cyrtobotrya and Indigofera pseudo-tinctoria as leguminous woody plants for the cut-slope revegetation. To investigate the coverage ratio and appearance frequency, we divided Lespedeza cyrtobotrya and Indigofera pseudo-tinctoria into five treatment groups with various quantities of $0.0g/m^2$, $1.0g/m^2$, $2.4g/m^2$, $3.8g/m^2$, and $5.2g/m^2$. For each treatment group, we mixed the identical quantities of herbaceous flowers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Dianthus sinensis, Aster yomena and Pennisetum alopecuroides) seeds and cool-season turfgrasses (Festuca arundinacea and Poa pratensis) seeds. In this result, as the seeding quantity of Lespedeza cyrtobotrya and Indigofera pseudo-tinctoria increased in the spray, the coverage ratio for leguminous woody plants appeared to increase whereas the coverage ratio decreased in herbaceous flowers and cool-season turfgrasses. However, when the seeding quantity of Lespedeza cyrtobotrya and Indigofera pseudo-tinctoria exceeded $3.8g/m^2$ in the spray, the coverage ratio of leguminous woody plants rather decreased compared to four treatment groups less than $3.8g/m^2$ seeding ratio. Based on the longitudinal data of coverage ratio in five treatment groups, we observed the gradual process of a short-term succession in which the dominant species shifted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cool-season turfgrasses; Second, herbaceous flowers; Third, leguminous woody plants. Comparing the appearance frequency of Lespedeza cyrtobotrya and Indigofera pseudo-tinctoria, Lespedeza cyrtobotrya appeared more frequent in 2014 whereas Indigofera pseudo-tinctoria appeared to be relatively more frequent in 2015. As a result, Indigofera pseudo-tinctoria was discovered to be a dominant species among woody plants. In this study, we observed that the optimal seeding quantity of Lespedeza cyrtobotrya and Indigofera pseudo-tinctoria was $2.4g/m^2{\sim}3.8g/m^2$. Moreover, the coverage ratio of 29.1%~35.4% and appearance frequency of 4.6plants~5.8plants were found in the condition of optimal seeding quant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