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es richness

검색결과 681건 처리시간 0.024초

Influences of Forest Type and Fragmentation by a Road on Beetle Communities in the Gwangneung Forest, South Korea

  • Kwon, Tae-Sung;Jung, Jong-Kook;Park, Young-Seuk
    • 생태와환경
    • /
    • 제54권1호
    • /
    • pp.61-70
    • /
    • 2021
  • The effects of forest type and fragmentation of forests by a road on the beetle community were investigated in the Gwangneung Forest, South Korea. Beetles were collected monthly using pitfall traps and by sweeping at 16 sites (eight in coniferous forests and eight in deciduous forests) for one year from April 1993 to April 1994, excluding winter. A total of 17,616 beetles belonging to 271 species from 39 families were collected. Among them, Synuchus cycloderus was the dominant species, with 14,060 individuals accounting for 80% of the total population. The influence of forest type (coniferous and deciduous) or sampling region (fragmented by a road) on species richness(number of species) was observed. We found that species richness was substantial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ampling method and taxa used. Beetles collected using pitfall traps responded more sensitively to habitat types than those collected by sweeping. Four dominant families differently responded to forest fragmentation and forest types. Carabidae was influenced by forest fragmentation, whereas Staphylinidae and Curculionidae were influenced by forest types. Chrysomelidae was not influenced.

Changes in nocturnal insect communities in forest-dominated landscape relevant to artificial light intensity

  • Lee, Hakbong;Cho, Yong-Chan;Jung, Sang-Woo;Kim, Yoon-Ho;Lee, Seung-Gyu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5권4호
    • /
    • pp.218-227
    • /
    • 2021
  • Background: Artificial light at night has recently been identified as a major factor adversely affecting global insect diversity. Here, we compared the insect diversity in Gwangneung Forest Biosphere Reserve, specifically in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with no artificial light at night), with that of three nearby urban sites with a gradient of artificial light at night (five locations at each site).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e artificial night lighting index, mean annual temperature, and field light intensity (lux) at night on the insect community structure. Results: The urban sites generally exhibited higher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as well as clear indicator species compared with the control site. The size distribution of the collected insects markedly differed between the control and the three urban sites. The abundance of herbivorous and omnivorous insects increased and decreased, respectively, with the increase in light intensity. Species richness of herbivorous and omnivorous insects was likely correlated with the field light intensity at night and artificial night lighting index, respectively.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association between nighttime environment and marked changes in insect community structure and revealed consequent transition of ecosystem services by changes in trophic group composition.

수서곤충 EPT-group을 이용한 무심천의 조사지점별 특성 (Characteristics of Musim Stream by Surveyed Sites Based on EPT-group of Aquatic Insects1a)

  • 신현선;오사무 미타무라;김숙정;최준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20-426
    • /
    • 2008
  • 본 연구는 무심천의 상류부터 하류까지 총 9개 지점을 선정하여 수서곤충의 EPT-group을 이용하여 EPT-비율, EPT 풍부도, EPT 종수와 개체수를 지점별로 비교분석하였고 수서곤충의 종 조성에 따른 UPGMA분석으로 조사지점간의 유사도를 비교하였으며 수서곤충의 섭식기능군은 하천차수에 의해 비교분석하였다. 조사결과에 의하면 무심천의 수서곤충은 총 8목 36과 71종으로 조사되었고 EPT 비율과 EPT 풍부도는 지점 3에서 각각 0.72, 3.89로 다른 지점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이와 반대로 지점 9에서는 0.03, 0.09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또한 EPT 종수 및 개체수는 지점 9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UPGMA분석 결과 무심천의 각 지점은 A1(st. 1, 7, 8), A2(st. 2, 3, 4, 5, 6), B(st. 9)로 3개의 그룹으로 나뉘었으며 섭식기능군은 지점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중류역에서는 써는무리와 긁어먹는 무리가 다른 지점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난 반면 하류에서는 걸러먹는무리와 줍는무리가 우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의하면 조사지점에 따라 수서곤충의 EPT-richness, EPT-ratio, EPT 수 뿐만 아니라 섭식기능군의 조성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화호 남측 초지지역의 조류 군집 특성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in Sihwa South Grassland, Korea)

  • 박치영;김호준;백인환;유재평;백운기;이준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16-524
    • /
    • 2015
  • 시화호 남측 초지지역의 조류군집 특성에 대한 연구는 2009년부터 2010년까지 매월 1회 구분된 3개 지역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관찰된 참새목 및 매목 조류는 총 49종 2,258개체가 관찰되었다. 종다양도지수는 2.21, 종풍부도지수는 6.22 이었다. 지역별 종수는 남측간척지에서 38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개체수는 공룡알화석지에서 1,083개체로 가장 많았다. 생태지수를 통한 계절별 지역 간 비교는 평균 종다양도와 종풍부도를 이용하였다. 대부분 공룡알화석지와 남측간척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시화호상류는 낮게 나타났다. 전체 지역, 계절 및 연도별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역별로는 모두 차이를 나타냈으며, 지역 간 비교에서는 시화호상류 지역만 집단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별로는 종수와 종풍부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개체수와 종다양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도별로는 종수와 개체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종다양도와 풍부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지역별 조류군집 특성은 서로 다른 양상을 나타냈지만 수공간을 포함한 공룡알화석지와 남측간척지는 유사한 군집양상을 보였으며 조류다양성이 높게 나타났다. 계절별로는 텃새가 연중 이용하고 있어 일정한 군집양상을 보였으나 시기에 따라 군집을 이루어 도래하는 철새의 군집양상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연도별로는 관찰되는 종이 매년 유사한 패턴의 군집 양상을 나타냈다. 시화호 남측은 국내 유일의 초지생태계로서 보전 가치가 높다. 향후, 서식지 조성 및 환경저감 계획 시 참새목조류 및 매목조류의 군집 생물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봄 출현 나방의 지역별 종 다양성 양상과 출현에 미치는 기후영향 연구 (Regional Diversity Pattern of Spring Moths and Climatic Effects on Moth Catches)

  • 노동호;김성수;최세웅
    • 환경생물
    • /
    • 제34권1호
    • /
    • pp.30-36
    • /
    • 2016
  • 이 연구는 한국 중부지방 용인과 남부지방 무안에서 봄 출현 나방의 다양성 양상과 나방 종 및 개체수에 영향을 주는 기후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나방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4월 한 달 동안 일주일 간격으로 자외선등 트랩을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기후요인은 $8^{\circ}C$를 기본으로 한 적산온도 (GDD8), 평균온도, 강우량, 일조시간, 풍속, 신적설 등이다. 나방 종 수 및 개체수에 영향을 주는 기후요인은 단기 (채집주부터 3주전까지)와 장기 (채집 4~12주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봄 출현 나방은 과 구성에서 유사한 양상을 띠었지만 지역별로 우점한 과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자나방과는 중부지방에서 우점한 반면 밤나방과는 남부지방에서 우점하였다. 밤나방과의 우점종은 4월 초에 나타난 반면 자나방과의 우점종은 4월 말에 나타나 시간적인 차이도 나타내었다. GDD8, 일조시간, 채집 일주일 전 강우량 등 3개의 단기 기후요인은 나방 종 수 및 개체수에 영향을 준 요인으로 나타난 반면 채집 4주전 평균기온만 장기 기후요인으로 나방 종 수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봄 출현 나방으로 자나방과와 밤나방과 종이 우점하며 이들은 4월 중 우점도와 비행시기에 차이가 있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봄 출현 나방은 따뜻함과 강우량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기후변화는 봄 출현 나방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이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인간의 영향에 따른 도시지역 식물종의 분포 패턴 및 특성 (Distribution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Plant Species by Human Impact in Urban Areas1a - Case Study of Cheon-ju -)

  • 최일기;이은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05-513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간섭 및 영향에 따른 도시지역에서의 식물종의 분포패턴 및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전주시에서 자생적으로 이입된 모든 유관속 식물종에 대한 포괄적 자료습득을 위하여 각 1헥타 크기의 106개 표본 조사구가 분석되었다. 이러한 표본조사구는 전주시의 전형적인 토지이용유형을 대표하고 도심지역으로부터 다양한 이격거리를 갖도록 선정되었다. 종풍부성, 생활형의 패턴 그리고 외래종의 비율이 표본조사구의 헤메로비 정도와의 관계에 대해서 분석되었다. 식물종의 수는 적당히 영향을 받는 부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적당한 교란은 종풍부성 증가를 유도한다는 중간 교란 가설에 상응하는 결과이다. 인간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부지의 식물상은 일년생 식물과 외래종의 비율이 가장 높은 특징을 보였다. 그리고 일부 식물종들은 토지이용유형과 도시구역에 상응하는 유사한 분포를 갖는 세 가지 그룹인 도시지역 기피종(땅비싸리, 졸참나무, 개옻나무 등), 도시지역 및 외곽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종(닭의장풀, 개망초, 박주가리 등)과 도시지역 선호종(애기땅빈대, 개쑥갓, 서양민들레 등)으로 구분되었다.

조류 서식지로서 지뢰지대 삼림습지의 경관생태학적 평가 (Landscape Ecological Evaluation for Avian Fauna Habitats at the Forest Swamp Minefields of Civilian Control Zone(CCZ) Close to the Demilitarized Zone(DMZ) of Korea)

  • 유승화;이기섭;박종화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47-256
    • /
    • 2012
  • 본 연구는 선택되어진 지뢰지역과 습지조각의 산림성조류의 군집에 대하여 경관생태학적 가치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각각 면적이 다른 세 곳(8.5ha, 17.4ha, 40.6ha)의 지뢰지역과 산지지역의 세 개 비교지역의 조류상분석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평균 산림성조류의 종수, 개체수, 종다양성, 종풍부도와 종균등도를 조각의 크기와 습지의 존재와 연결성과 같은 환경적 특성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군집 유사도지수는 실험군과 대조군 조사구사이를 비교하였다. 조류군집은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첫째, 63종의 조류가 조사되었으며, 최대개체수 합계는 828개체였다. 종다양성지수는 3.8이었으며, 종풍부도는 9.2, 종균등도는 93.3 이었다. 둘째, 작고 숲과 고립된 숲은 낮은 평균 종의 수와 개체수를 가졌지만, 소하천을 가진 작은 숲 조각은 개활수면이 없는 숲 조각에 비하여 높은 조류 밀도를 보였다. 셋째, 갈대습지를 가진 숲 조각은 단위면적당 조류 종의 수(/10ha), 단위면적당 개체수, 종다양도지수, 종풍부도와 종균등도에서 낮은 가치를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군집 유사도지수는 소하천을 가진 작은 숲 조각은 다른 숲과 연결되어 있는 큰 산지 숲과 유사성이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저지대 숲 조각은 작은 면적에도 불구하고 다른 서식지와 연결되고 서식지가 넓은 산지의 숲 조각과 군집유사도가 비슷하였다. 따라서, 하천숲의 복원은 산림성조류의 군집에서 생물다양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제안한다.

Preliminary Survey on Spider Fauna of DMZ Areas in Korea

  • Im, Moon Soon;Lee, Sue Yeon;Kim, Young Jin;Jung, Myung Pyo;Kim, Seung Ta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3호
    • /
    • pp.262-274
    • /
    • 2018
  • Spider fauna of Demilitarized Zone (DMZ) and adjacent areas in Korea was surveyed in 2001-2003, 2013-2015, and 2017. Total of 34 surveyed areas across 10 provinces were divided into four main regions (east coast, mid-east mountain, midland, and west coast areas) in accordance with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topography. Total of 273 species of 145 genera in 32 families were identified from 10,886 collected spiders. In conclusion, the spider fauna in the DMZ is 281 species of 147 genera in 32 families with 162 species of 99 genera in 23 families in the previous reports. This corresponds to about 37.6% of the Korean spiders as of 2015. The species richness among surveyed localities was ranged 45 species to 92 species. The species richness of each taxon is high in Araneidae, Salticidae, Linyphiidae and Theridiidae. Habitat generalists were 22 species and habitat specialists were 69 species. The 143 species were web builders and 130 species were wanderers by the outlined life style. In DMZ spiders, only 7 species, Thymoites ulleungensis, Arcuphantes pennatus, Lycosa coreana, Allagelena koreana, Cybaeus mosanensis and Cybaeus triangulus, Kishidaia coreana, were recognized as Korean endemic. Five species, Scytodes thoracica, T. ulleungensis, Lycosa labialis, Takeoa nishimurai, and Phrynarachne katoi, are rare species with a trend of decreasing density in recent years. Araneus rotundicornis has been discovered for the first time since its first report. This study may be useful in the conservative management and will contribute to knowledge of the distribution and biogeography of DMZ areas in the future.

전남 두륜산 일대에 서식하는 대형나방종의 다양성 및 종 구성 변화 (Diversity and Faunal Changes of the Macrolepidoptera in Mt. Duryunsan and Its Neighboring Area, Jeonnam, Korea)

  • 최세웅;나상덕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2호
    • /
    • pp.79-83
    • /
    • 2005
  • 한반도 서남해안 상록활엽수림이 우점하고 있는 산림의 대형나방(명나방 포함) 종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조사지역은 해남군 두륜산 일대로 2001년 3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약 4년간 자외선 등을 이용한 야간채집을 통하여 나방 종을 분류,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채집된 나방은 총 18과 489종이었으며, 미소나방과 주간활동성인 나비를 합한다면 이 지역에 분포하는 나비목곤충은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채집된 종 중 밤나방과가 181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자나방과(129종), 명나방과(72종) 순이었으며, 개체수로는 자나방과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밤나방과, 명나방과, 갈고리나방과의 순이었다. 채집된 종의 51%가 2개체 미만의 희귀종을 차지하였다. 월별 종수와 개체수의 변화를 살펴보았고, 이들 수치를 이용한 이질성도와 균등도를 산출하여 계절별 변화를 살펴보았다. 산림생태계 보전 및 이용에 특정 나방 종 및 종 그룹을 이용하는 것에 대하여 간략히 논의하였다.

잔디(Zoysia japonica Steud)군락에서의 세포성 점균의 출현 (Occurrence of Cellular Slime Molds in Turfgrass Communities)

  • 장남기;박미아;이정은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7권2_3호
    • /
    • pp.113-120
    • /
    • 1993
  • Dictyostelid cellular slime molds were quantitatibly isolated from Korean lawngrass turf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by the 'Clonal Isolation Technique(Cavender and Raper, 1965a)'. Total six species were found. These are Dictyostelium sphaerocephalum. D. purpuream. D. flavidam, D. crassica ale, Polysphondilium pallidum. P. violaceum. D. sphaerocephalum was the dominant species and P. violaceum, D. flaviidum, D. crassicaule were rare. Compared with other region, species diversity and species richness of Korean lawngrass turf appeared to he low. The dominant species, however, is not very common in other plant communities, so it cnay he characteristic of Korean lawngrass turf.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