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conception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19초

포스트모던시대 조형예술의 장소성과 환경 (Site-Specificity and Environment of Visual Art in the Postmodern Era)

  • 이봉순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13권1호
    • /
    • pp.39-60
    • /
    • 2008
  • Nature/Landscape is surrounding space in which we make living. It is considerably comprehensive tenn. but on the other hand, the site can be existence, experience, and certain circumstance with boundaries. Based on these places, through contemporary art criticism, this study is to contemplate how art since 1960s, especially, site-specific art in three-dimensional space intervene in the environment. Artists of today put more value on the process and act of art making founded on the external, and they tend to create the characteristic of site or to indicate linguistic documentation. Moreover, a large-scale tendency of contemporary sculpture and 'occupation of specific site' seems to accede spatial conception from architecture. The core that recognizes these artworks is with body, that is to say, the space in which Self becomes the subject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work while moving around it. In particular, 'Site-specific Art (in situ)' sometimes determines the form inward or outward It also relates directly on viewer's five senses by looking, hearing, and feeling, touching, and interacting. For example, in Richard Serra's , the viewer who moves around the work has the role to manipulate the movement of the work by perception. Works of In situ and works that planned for specific site suggest 'occupation of site' as of the function of the work These sites are ideal and special as well as being independent. Ultimately, it seems that the creative process of contemporary artists is to carry those intended form on the structure of perception. Furthermore, law of nature such as entropy, and acceptance of contingency helped organic structure of artwork become more abundant. For Robert Smithson, entropy suggests of reaching to a state of equilibriumin which everything is the same. This means that any core is justifiable and any rank is possible. Because the world without a core is a labyrinth of boundless exploration.

  • PDF

N-3계 지방산 적절 함량 식이의 docosahexaenoic acid 첨가가 기억력 관련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eatment with Docosahexaenoic Acid into N-3 Fatty Acid Adequate Diet on Learning Related Brain Function in Rat)

  • 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7호
    • /
    • pp.917-922
    • /
    • 2009
  • SD계 흰쥐를 사용하여 motor activity 실험에서 동물들의 자발적인 운동성을 측정한 결과, 주어진 시간 내 움직인 시간과 움직인 거리에는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군 (Adq group)과 DHA가 첨가된 식이군(Adq+DHA group)간에 유의적 차이를 관찰할 수가 없었다. 학습효과 실험에서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군 (Adq group)의 경우 목적 플랫트폼까지 걸리는 시간이 DHA 첨가 식이군(Adq+DHA group)에 비하여 다소 길었으나 유의적 차이는 관찰할 수가 없었다. 수영 속도(swimming speed)에서 DHA 첨가 식이군(Adq+DHA group)의 경우,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군 (Adq group)에 비해 유의적으로 빨랐으나 수영 풀에서 움직인 거리 (swimming distance)에는 두 식이군 간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두 식이군의 흰쥐들이 수영한 시간(swimming time)과 쉬고 있는 시간(resting time)의 경우, 쉬는 시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수영 시간 또한 n-3 지방산이 적절이 함유된 식이(Adq group)로 사육된 쥐가 DHA가 첨가된 식이로 사육된 쥐(Adq+DHA group)보다 수영한 시간이 길었으나 여기서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기억력 테스트에서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군(Adq group) 및 DHA가 첨가된 식이군(Adq+DHA group) 모두는 목적 플랫트폼이 있었던 A 지역에 대한 기억이 우수하여 다른 지역들인 B, C, D를 지나가는 횟수보다 유의적으로 많았음을 관찰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임신에서부터 성인이 될 때까지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로 사육된 쥐와 비교할 때 DHA가 첨가된 식이로 사육된 흰쥐가 Morris water maze를 이용한 공간기억력 실험에서 다소 우수한 기억 학습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음을 관찰 할 수가 있었다.

정보공유공간이 이용자 유동패턴과 도서관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Commons on User Traffic Patterns and Perceptions of the Library)

  • 박지홍;박진희;남은경;이서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93-110
    • /
    • 2013
  • 정보에 대한 접근을 증가시키는 기술의 사용은 지난 십 년 동안 대학도서관 서비스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정보공유공간의 등장은 이러한 변화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대부분의 이전 연구는 이의 개념이나 역할에 치중하였다. 반면, 정보공유공간을 공간서비스로 파악하고 있는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공유공간이 이용자 유동패턴과 도서관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데 있다. 정보공유공간이 도서관의 주요 공간과 시설로 자리매김하였고 이에 따라 이들이 이용자의 행위와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두 가지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관찰법을 사용하여 이용자들의 유동 패턴 및 행위를 관찰하였고, 둘째, 정보공유공간에 대한 이용과 인식에 관한 인터뷰를 20명의 학부학생과 12명의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학부학생과 대학원생은 서로 차별화 되는 유동패턴을 보였고, 시설의 위치와 구조는 이용자들의 움직임과 행위에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정보공유공간에 대한 인식은 도서관 전반에 대한 인식으로 해석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이용자 요구를 고려한 도서관 공간 설계 및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한국에서 추진하는 기업도치의 성격 : 전경련의 구상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y Town Project in Korea : The FKI's Conception)

  • 장영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81-394
    • /
    • 2005
  •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기업도시 건설을 제안한 이후 기업도시개발특별법이 통과된 지금까지도 국내에서 추진되고 있는 기업도시의 성격에 대해서는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도시에 대한 기존 연구 성과를 고찰하고 기업도시 건설을 제안한 전경련의 기업도시에 대한 관점의 변화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국내에서 추진되고 있는 기업도시의 성격을 규명함으로써 바람직한 기업도시 건설을 위한 함의를 얻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고에서는 전경련이 기업도시를 제안한 이후 전경련의 견해를 대변하고 전경련에게 이론적 배정을 제공해온 보고서들을 중심으로 기입도시의 정의와 사례 및 기대효과 등 세 부문에 걸친 논의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검토하였다. 전경련의 기업도시는 제안 초기부터 서구의 전형적인 기업도시를 기초로 하여 기업이 개발하는 도시라는 관점을 지속적으로 관철시키면서 벤치마킹을 통해 일본형 기업도시를 추구하고 동시에 성공적인 클러스터를 준거로 채택하였다. 이들은 시대적 배경과 형성과정 및 경쟁력 창출 메커니즘이 상이하여 전경련이 추진하는 기업도시의 성공적인 실현 가능성은 의문시되고 있다. 따라서 기업도시가 현행법규의 틀 내에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구체화되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지나치게 대규모로 개발하는 것을 지양하고 다양한 경제주체들의 공간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다수의 관련기업 및 공공기관의 참여가 가능한 방식으로 추진하며 혼란스럽게 중첩되고 있는 최근 신도시 개발계획들의 상호 관련성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것을 주장한다.

  • PDF

토지이용계획에 있어 GSIS를 이용한 적지분석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and Suitability Analysis System using GSIS in the Landuse Planning)

  • 임승현;조기성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43-61
    • /
    • 1995
  • 전국토를 대상으로 하는 국토이용계획이나 도시 또는 도시의 일부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도시계획은 현재뿐만 아니라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이들 계획속에 포함된 토지이용계획의 중요성은 아주 크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시기본계획의 근간이 되는 토지이용계획의 용도지역적지분식 및 배정에 관한 GSIS활용 방안을 검토해 보고, 이런 검토과정에서 정리된 여러 기본이론을 바탕으로 대상지역에 적용하며, 구체적인 구현시스템인 토지이용적지분석시스템 개발을 시도해 보았다. 시스템개발에 사용한 언어는 ARC/INFO의 AML이였고,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크게 4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첫째, 토지이용적지분석시스템을 개발하여 복잡한 분석과정을 단순화 자동화할 수 있었고 추후에 이 시스템은 토지이용적합성 분석을 실시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계획지역 밖의 주변환경인자를 분석에 고려하므로서 분석범위를 확대하였으며 이를 통해 더욱 포괄적인 분석을 수행할 수 있었다. 셋째, 도시특성 및 도시공간구조론에 근거한 우선순위의 개념 및 법적인 제한요소를 적용하여 용도지역의 배정방법에 대한 전산적인 방법을 개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다각적인 방향에서 용도지역을 배정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분석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앞으로 용도지역별 적지기준과 자료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후속연구들이 절실히 요망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낙선제(樂善齊) 일곽(一廓) 건축(建築)의 조영(造營)에 관한 복원적(復元的) 고찰(考察) (A Study on the Original State of the Buildings in NakSunJae Area)

  • 노진하;이상해
    • 건축역사연구
    • /
    • 제4권1호
    • /
    • pp.43-70
    • /
    • 1995
  •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architectural purpose of the buildings in NakSunJae area to the original state. Through the investigation, the clarified facts are as follows. 1. The relation with the buildings for the Crown Prince in the ChangDok Palace By constructing buildings in the NakSunJae area, the spatial conception of the Royal Palace was changed, that is, buildings for the Crown Prince in the ChangDok Palace disappeared and they became to belong to the ChangGyeong Palace. Moreover, by constructing the NakSunJae and its attached buildings, the area for the Crown Prince shifted to use as a private area for the king. 2. The date and the purpose of the construction The NakSunJae area is consisted of three compounds of building: NakSunJae, SukBokHun and SooKangJae. The NakSunJae was constructed for the king HunChong's private occupancy in 1847 and the SukBokHun for a residence of a royal concubine Kim, in 1847. The SooKangJae was originally built in 1785 in the SooKang Palace where the ex-king took up as his residence after abdicate the throne. Later on, it was repaired as the residence of the Queen SoonWon, king HunChong's grandmother, in commemoration for the 60th anniversary of her birth in 1848. 3. Architectural features of the NakSunJae area at the time of construction First, as the NakSunJae area is surrounded by quite high hills in northeast and by low hills in southwest, it is naturally distinguished from its surroundings and gives a cosy feeling. Second, the NakSunJae area shows very untrammeled style of arrangement in general, because it was constructed as a private occupancy for the king. other buildings are arranged in the latticing orderly, nonetheless, they are free by themselves from a strict form and make themselves an area full of variety. Third, the buildings in the NakSunJae area have a characteristic of naivety of common people's houses, because they were not an official but private place for the king, his concubine and his grandmother. Forth, the ornaments in the NakSunJae area are variously, elegantly and harmoniously patterned with the meaning of good luck. Fifth, back garden in the NakSunJae area was made by taking advantage of sloping hills. The back garden is beautifully configurated by arranging various constituent elements of pavilions, tiered flower beds, chimneys, decorated walls, small doors between walls, stoneworks and trees.

  • PDF

배달의민족과 모빌리티 서비스 브랜드의 오리지네이션 (Originating Mobility Service Brand Baedal Minjok)

  • 홍동표;이재열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41-656
    • /
    • 2022
  • 본 연구는 브랜드와 브랜딩에 초점을 맞춰 국내 최대 음식배달 서비스 플랫폼 배달의민족(배민)의 성장과 시장지배 과정을 '오리지네이션' 관점에서 분석한다. 배민은 플랫폼화된 모빌리티 서비스의 한 가지 사례로, '오리지네이션'은 그러한 서비스 브랜드에 적합한 개념적, 이론적 탐구 프레임으로 간주된다. 여러 가지 한계를 표출한 신고전적 접근과는 달리, 오리지네이션은 오늘날의 플랫폼화된 모빌리티 서비스에서 나타나는 불완전경쟁, 불완전정보, 독과점적 '브랜드 지대'의 현안을 다루는 대안적 프레임으로서 유용하기 때문이다. 배민 브랜드의 오리지네이션 분석은 다양한 텍스트 자료에 근거해 이루어졌고, 분석에서는 배민의 사회·공간적 일대기에 결부된 담론적, 상징적 측면에 특히 주목했다. 이를 통해, '민족성'에 기초한 국가적 오리지네이션이 배민 브랜드와 브랜딩의 중요한 축임을 확인했다. 다른 한편으로, 브랜드 소유주로서 배민이 촉진하고 소비자가 동참하는 장소기반의 오리지네이션 형태도 파악했다. 그러나 이러한 지리적 결합과 오리지네이션은 온전하게 정착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초국적기업에 합병되고 금융화 과정에 노출되면서, 기존의 오리지네이션은 심각한 도전적 상황에 놓이게 되었고 브랜드 반달리즘(vandalism)이나 반브랜드 운동에 대한 취약성도 높아졌다. 이러한 오리지네이션의 위기적 상황은 오늘날 '플랫폼 자본주의'가 조성한 모순과 연관되는 것으로 보인다.

필수 지방산 조성이 다른 식이의 docosahexaenoic acid 투여가 흰쥐 뇌 및 간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eatment with Docosahexaenoic Acid into N-3 Fatty Acid Deficient and Adequate Diets on Rat Brain and Liver Fatty Acid Composition)

  • 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417-1423
    • /
    • 2009
  • 선행된 연구에서 나타난 n-3 지방산 결핍 식이에 DHA 첨가는 뇌 기능 개선효과가 나타났으나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에 DHA 첨가는 유의적 뇌 기능 향상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본 연구에서는 필수 지방산 함량이 다른 식이, 즉 n-3 지방산 결핍 및 적절군에 각각 DHA를 첨가하여 뇌 및 간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N-3 지방산이 결핍된 식이군(Def)의 체중 및 뇌의 무게는 DHA를 첨가한 식이군(Def+DHA)이나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군(Adq) 및 DHA 첨가군(Adq+DHA)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뇌의 지방산 조성 결과에서 n-6계 지방산들 중 특히 22:5n-6의 함량이 n-3 지방산 결핍군(Def)에서 현저히 높았으며 20:4n-6 및 22:4n-6의 함량도 이 식이군(Def)에서 높았으나 18:2n-6 및 20:3n-6의 함량은 낮았다(p<0.05). 총 n-3계 지방산 및 22:6n-3의 함량은 예상했듯이 n-3 지방산 결핍군(Def)에서 가장 낮았으며 다른 식이군들과 비교했을 때 약 64% 감소됨을 살펴볼 수가 있었다. 또한 n-6/n-3의 비도 n-3 지방산 결핍군(Def)에서 3.35로 식이군들 중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흥미로운 것은 n-3 지방산 결핍에 DHA를 첨가한 식이군(Def+DHA)의 경우, 뇌의 22:6n-3 함량이 13.1%로 n-3 지방산 적절군(Adq) 및 DHA 첨가군(Adq+DHA)과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간의 지방산 조성 결과에서 뇌의 지방산 조성과 유사하게 n-6 지방산들 중 특히 22:5n-6의 함량이 n-3 지방산 결핍군(Def)에서 현저히 높았으며(p<0.05), n-3 적절군(Adq)의 경우, DHA 첨가군(Adq+DHA)과 비교했을 때 대부분의 n-6계 지방산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N-3 결핍군에 DHA의 첨가군(Def+DHA)은 총 n-3계 지방산 및 22:6n-3의 함량이 n-3 결핍군(Def)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p<0.05). 특히 이 식이군(Def)의 22:6n-6의 함량은 n-3 적절군(Adq) 및 DHA 첨가군(Adq+DHA)보다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n-3 지방산이 결핍된 동물(Def)의 간에서 18:3n-3의 함량을 거의 찾을 수가 없었으나 DHA 첨가군(Def+DHA)의 경우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n-3 지방산 결핍군(Def)의 경우 거의 모든 18:3n-3가 생체 내에서 고도로 불포화된 지방산으로 전환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n-3 지방산이 결핍된 군의 경우 DHA 첨가로 인하여 뇌 DHA 함량 증가와 더불어 뇌 기능이 개선되었음을 살펴 볼수가 있었다. 반면 이미 뇌의 DHA가 포화상태인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의 경우 DHA의 부가적인 첨가는 뇌기능 향상면에서는 유의적 효과가 나타내지 않았음을 뇌의 지방산 조성으로 확인 할 수가 있었다.

재래시장 환경개선 지원정책 개발에서의 지역 장소적 기능 도입 (Introduction of region-based site functions into the traditional market environmental support funding policy development)

  • 정대용;이세호
    • 한국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383-405
    • /
    • 2005
  • 재래시장은 지역의 중심지적인 특성과 문화적인 특성이 고스란히 반영된 지역 거점지이며 인근 지역주민의 상거래라는 1차적 장소적 기능과 사회문화적 측면의 상호 정보문화교류, 커뮤니티 공간 형성으로 유통의 집객시설과 집적시설로서 중요한 역할과 기능을 하고 있다. 5인 이하 가족 단위의 생계형으로 취급상품, 구입방범, 판매방식 등이 전근대적인 경영기법을 통해 한국의 대표적 소매업태로서의 역할을 해오고 있다. 1990년대 이후 신유통업태와 대형할인점 진출로 인해 재래시장은 급격한 경쟁력 상실과 소비자들의 생활수준의 향상, 구매패턴의 변화, 인터넷의 급속한 확산 등 외부적인 유통 환경변화에서 경쟁력을 상실하고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정부의 지역경제 활성화와 국민경제의 발전 측면에서 고령화된 재래시장에 대한 대책 중 정부의 예산지원 정책으로 환경개선사업, 연구용역, 경영현대화중심의 국고지원 사업은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총 3,853억원의 국고가 지원되었으나 활성화 사업의 실효성에는 아직 정확히 나타나고 있지 않은 상황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지원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시장상인리더들의 전문성결여로 종합적인 추진전략과 중장기적 계획수립 및 자발적인 상인들의 합의점 유도 반감으로 지속적인 사업추진방향에 한계점을 나타냈다. 재래시장이 단순히 물건을 사고파는 물리적인 장소적 의미에서 벗어나 새로운 지역 장소적 생활공간으로 커뮤니티적 접근을 통한 장소적 창조전략이 필요하다. 이에 시대적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새로운 사업 방향 전환을 통해 재래시장의 장소적 기능 도입을 동해 문화적 경제적 의미를 지닌 공간으로 재조명을 동해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재래시장은 지역 기반으로 한 지역생활자들과 자연스럽게 커뮤니티를 상호 형성하고 정보와 지식 공유를 통해 부 창출 공간으로 재생되어야 할 것이다 재래시장이 부 창출 공간으로 재생하려면 시대적 장소적 환경에 맞는 시설과 교류활동을 통찬 상호신뢰구축 활동 속에서 고객이 원하는 방향으로 영업환경도 변화하여야 하며, 지역단위 중심 영국의 TCM, 미국의 BID, 일본의 TMO 등 해외 벤치마킹을 통한 단위 시장상가 점포단위의 점(點)정책에서 선(線)단위의 상가로 환경사업과 거시적인 지역단위중심인 면(面) 정책적 접근을 통한 커뮤니티적인 발상 전환이 필요하다. 국내외 사례비교 분석을 통해 사회적 정책수요 발굴과 기존의 추진방법에 대한 선진사례 연구를 통한 NPO, NGO 등의 시민기업가와 이를 수행키 위한 혁신성과 전문성조정능력을 갖춘 리더자 양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지역자원 활용 소스 중심의 문화관린 산업의 seeds 발굴과 향토상품의 상품화와 네트워크 조직망 구축을 위한 지역중심의 복합 생활문화 공간이 필요할 것이며, 이를 촉진키 위한 mentor academy시스템 접근을 통해 점점 고령화되어 가고 있는 재래시장에 대해 차별적 특성이 반영된 종합적이고 체계적 접근 방법연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