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mosaic virus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초

우리나라 콩 생육초기 바이러스병 발생 양상 (Occurrence of Viral Diseases in the Early Growth Stage of Soybean in Korea)

  • 박상민;권민아;강동현;이홍규;윤영남;백인열;이영규;문제선;이수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7권4호
    • /
    • pp.253-264
    • /
    • 2022
  • 본 연구는 콩 바이러스병 관리대책 수립을 위하여 생육 초기에 발생하는 바이러스병의 감염실태를 조사하였다. 국립식량과학원 육종포장에서 파종 후 약 3-4주 된 콩 이상증상 시료 83점을 채집하였다. 채집한 시료의 감염 바이러스 진단은 12종 바이러스의 RT-PCR 진단과 전체 시료에 대한 메타전사체 분석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1. 포장에서 바이러스병 발병율은 전체적으로 1% 미만으로 조사되었으며 일부 품종 및 라인에서는 최대 50%까지 나타내었다. 2. RT-PCR 진단과 메타전사체 분석 결과 SYMMV, SMV, SYCMV, PSV, SGVA가 검출되었다. 3. 검출된 바이러스 중에서 SYMMV와 SMV는 각각 검출율이 53.7%, 42.6%로 나타내어 콩 생육초기에 발생하는 주요 바이러스로 확인되었다. 4. SYMMV에 감염된 콩은 전형적인 모자이크 증상을 나타내었으며, SMV에 감염된 콩은 모자이크, 얼룩, 위축, 퇴록반점과 같이 다양한 증상을 나타내었다. 5. 바이러스 전염 특성을 고려할 때 SMV는 주로 종자전염을 통하여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며, SYMMV는 종자전염과 함께 충매전염 및 토양전염의 가능성이 복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6. SGVA는 본 연구를 통하여 콩 생육초기 포장에서 검출되었으며, 생육초기 이후 발생실태 및 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신속히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Complete Genome Sequences of the Genomic RNA of Soybean mosaic virus Strains G7B and G5

  • Kim, Kook-Hyung;Lim, Won-Seok;Kim, Yul-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9권3호
    • /
    • pp.171-176
    • /
    • 2003
  • The complet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genomic RNAs of Soybean mosaic virus strains GS (SMV-G5) and G7H (SMV-G7H)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with sequences of other SMV strains. Each viral RNA was determined to be 9588 nucleotides in length excluding the poly (A) tail and contained an open reading frame to encode a polyprotein subsequently processed into up to ten proteins by proteolytic cleavage. Com-parison of the amino acid sequences with those of other SMV strains showed high percentage of amino acid sequence homology with the same genome organization. The nucleotide and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between SMV-G5 and SMV-G7H were greater than 99% identity. When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SMV strains in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nucleotide and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they formed a distinct virus clade showing over 97% amino acid identity, but were more distantly related to the other potyvirus (44.1-69.6% identity). Interestingly, SMV G7H strain caused a severe mosaic or necrosis symptom in soybean cultivars including Jinpum-1, Jinpum-2, and Sodam, whereas, no symptom was observed in SMV-G5 inoculation. Complete nucleotide sequences of these strains will give clues for determining symptom determinant(s) in future research.

대두위축병원 바이러스에 관한 연구 (An infectious virus isolated from soybeans)

  • 이순형;이민효;회원비여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75-179
    • /
    • 1980
  • 수원근교의 대두포장에서 채집한 자연발병된 이병주로부터 대두위축병원바이러스가 되었다. 이 바이러스에 이병된 대두의 병징은 Crinkling, 약한 Mottling 및 품종에 따라서 심한 위축증상을 나타내었다. 분리된 대두위축병원바이러스를 지표식물에 즙액접종한 결과 명아주(Chenopodium amaranticolor), 명아주(C. quinoa), 동부(Vigna sinensis)에서는 국부병반이 나타났고 담배(Bright yellow), 담배(KY-57)에서는 모자익병징이 나타났다. 이 바이러스의 물리적 성질은 내열성이 60C, 내희석성이 $10^3$으로 나타났으며 내보존성은 3일이었다. 충매전염시험결과 복숭아혹진딧물은 이 바이러스를 비교적 쉽게 전염시켰다. 또한 이 바이러스는 혈청학적으로 오이모자익바이러스와 밀접한 관계를 가졌으며 전자현미경에서 바이러스의 검경결과 오이모자익바이러스와 같은 형태의 입자가 관찰되었다.

  • PDF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와 대두 Glycinin 유전자의 5' Leader Sequence를 이용한 외래 유전자의 전이효율 증진 (Translational Enhancement by the 5' Leader of Tobacco Mosaic Virus and Soybean Glycinin Gene in Transgenic Tobacco Plants)

  • 강홍구;박지원;김정호;임재윤;최양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3호
    • /
    • pp.224-231
    • /
    • 1995
  • 형질전환 식물체에서 외래 단백질의 발현을 높이기 위하여, 외래 단백질 유전자를 TMV RNA 또는 Gy2 5'-untranslated leader 부위와 재조합시킨 plasmid들을 제조하였다. pGA643에서 유래된 이들 plasmid에는 cauliflower mosaic virus의 35S promoter와 Gy2 terminator를 포함하고 있고, 외래 유전자로는 옥수수의 10kDa zein (10kZ) 유전자를 사용하였다. Gy2 또는 TMV RNA의 leader 부위는 promoter 부위와 단백질 coding sequence 사이에 삽입하였다. Agrobacterium을 매개로 하는 leaf disc 형질전환법을 이용하여 재조합 단백질들을 담배에 도입하였다. Leader를 포함하지 않은 도입 유전자의 전사 효율이 leader를 포함하는 도입 유전자들 보다 높았지만, leader를 포함한 mRNA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전사되었다. 이는 5'-untranslated sequence의 길이와 AUG codon 주위의 context에 의한 영향보다는 이들 leader sequence의 특이적 염기서열에 의한 영향이 큼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형질전환된 담배에서 외래 유전자의 전이효율을 조절하는 데 있어서 Gy2와 TMV의 leader sequence들이 enhancer로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 PDF

한국 대두 바이러스의 분류, 동정에 관한 연구 I. 일종의 대두 바이러스의 분류, 동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Soybean Virus Diseases in Korea I. Preliminary Studies on a Soybean Virus Disease in Korea)

  • 조의규;정봉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1-68
    • /
    • 1976
  • 광교, 동북태, 강림, 육우3호, 은대두등과 같은 대리장려품종이 바이러스에 의하여 심하게 이병되었다. 이 병은 주로 모자익병의 발생이 많은 강원, 경기지방에서 발병이 심하였으나 모자익병이 심하지 않은 전남 등 남부지방에서도 발병되고 있다. 병징으로 보아 tobacco ringspot virus에 의한 대두의 피해와 유사한 것으로 보였으나 지표식물검정과 혈청검정에 의하여 조사한 결과 모두 부정적이었으며 대두품종에 따른 이병정도의 상이, 품종과 접종원에 의한 병징의 변이가 많았다. 이병주에서 분리되는 병징형은 Mottling과 necrosis였으며 지금까지의 연구결과 이 대두병해는 모자익바이러스(SMV)의 계통 내지는 tobacco ringspot virus 이외의 두류바이러스의 복각감염에 의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SMV의 계통에 의한 피해일 가능성이 더욱 유력시되고 있다.

  • PDF

Optimization of a Virus-Induced Gene Silencing System with Soybean yellow common mosaic virus for Gene Function Studies in Soybeans

  • Kim, Kil Hyun;Lim, Seungmo;Kang, Yang Jae;Yoon, Min Young;Nam, Moon;Jun, Tae Hwan;Seo, Min-Jung;Baek, Seong-Bum;Lee, Jeom-Ho;Moon, Jung-Kyung;Lee, Suk-Ha;Lee, Su-Heon;Lim, Hyoun-Sub;Moon, Jae Sun;Park, Chang-Hw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2호
    • /
    • pp.112-122
    • /
    • 2016
  • Virus-induced gene silencing (VIGS) is an effective tool for the study of soybean gene function. Successful VIGS depends on the interaction between virus spread and plant growth, which can be influenced by environmental conditions. Recently, we developed a new VIGS system derived from the Soybean yellow common mosaic virus (SYCMV). Here, we investigated several environmental and developmental factor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a SYCMV-based VIGS system to optimize the functional analysis of the soybean. Following SYCMV: Glycine max-phytoene desaturase (GmPDS) infiltration,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photoperiod, inoculation time, concentration of Agrobacterium inoculm, and growth temperature on VIGS efficiency. In addition, the relative expression of GmPDS between non-silenced and silenced plants was measured by qRT-PCR. We found that gene silencing efficiency was highest at a photoperiod of 16/8 h (light/dark) at a growth temperature of approximately $27^{\circ}C$ following syringe infiltration to unrolled unifoliolate leaves in cotyledon stage with a final SYCMV:GmPDS optimal density $(OD)_{600}$ of 2.0. Using this optimized protocol, we achieved high efficiency of GmPDS-silencing in various soybean germplasms including cultivated and wild soybeans. We also confirmed that VIGS occurred in the entire plant, including the root, stem, leaves, and flowers, and could transmit GmPDS to other soybean germplasms via mechanical inoculation. This optimized protocol using a SYCMV-based VIGS system in the soybean should provide a fast and effective method to elucidate gene functions and for use in large-scale screening experiments.

콩황화모틀모자이크바이러스의 신속검출을 위한 역전사 등온증폭법 (Reverse Transcription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Assay for Rapid Detection of Soybean yellow mottle mosaic virus)

  • 배대현;박충열;김봉섭;이영훈;윤영남;강항원;오종희;이수헌
    • 식물병연구
    • /
    • 제22권3호
    • /
    • pp.178-183
    • /
    • 2016
  • SYMMV는 콩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바이러스이며, 이 바이러스의 발생률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콩에 발생하는 SYMMV를 신속하게 검출하기 위해서 RT-LAMP를 적용하였다. RT-LAMP 방법은 등온에서 단시간에 유전자 증폭이 가능하고, 전기영동 없이도 형광물질을 이용해 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프라이머는 SYMMV coat protein gene의 염기서열을 기반으로 4개의 프라이머를 설계하였다. 실험결과 SYMMV RT-LAMP는 $65^{\circ}C$에서 50분간 증폭시켰을 때 최적의 효율을 보였다. 또한, RT-LAMP와 RT-PCR과의 민감도를 비교한 결과 RT-LAMP 방법이 10-100배 정도 더 우수한 민감도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실험 결과를 토대로 기존의 진단법과 비교하여 높은 민감도와 짧은 소요시간에 이점이 있는 RT-LAMP는 SYMMV의 현장 및 연구실에서의 진단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Identification of Glycine max Genes Expressed in Response to Soybean mosaic virus Infection

  • Jeong, Rae-Dong;Lim, Won-Seok;Kwon, Sang-Wook;Kim, Kook-Hyu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1권1호
    • /
    • pp.47-54
    • /
    • 2005
  • Identification of host genes involved in disease progresses and/or defense responses is one of the most critical steps leading to the elucidation of disease resistance mechanisms in plants. Soybean mosaic virus (SMV) is one of the most prevalent pathogen of soybean (Glycine max). Although the soybeans are placed one of many important crops, rel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defense mechanism. In order to obtain host genes involved in SMV disease progress and host defense especially for virus resistance, two different cloning strategies (DD RT-PCR and Subtractive hybridization) were employed to identify pathogenesis- and defenserelated genes (PRs and DRs) from susceptible (Geumjeong 1) and resistant (Geumjeong 2) cultivars against SMV strain G7H. Using these approaches, we obtained 570 genes that expressed differentially during SMV infection processes. Based upon sequence analyses, differentially expressed host genes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i.e. metabolism, genetic information proces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processing, cellular processes and unclassified group. A total of 11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cluding protein kinase, transcription factor, other potential signaling components and resistant-like gene involved in host defense response were selected to further characterize and determine expression profiles of each selected gene.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these genes will likely facilitate the elucidation of defense signal transduction and biological function in SMV-infected soybean plants.

작부형태가 보리의 토양전염성 Bymovirus 발생과 매개균(Polymyxa graminis)의 밀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opping System on Disease Incidence by Soil-borne Bymovirus in Barley and on Density of the Vector, Polymyxa graminis)

  • 박종철;노태환;김미정;이상복;박철수;강천식;이정준;김태수
    • 식물병연구
    • /
    • 제16권2호
    • /
    • pp.115-120
    • /
    • 2010
  • 보리바이러스 발생 상습 논에서 관행(벼+보리)과 콩+보리의 작부체계가 보리의 바이러스병 발생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5개년간 조사하였고, 윤작과 바이러스 매개균(Polymyxa graminis)의 밀도 변화를 검정하였다. 보리 감염 바이러스 종류를 검정한 결과 Barley yellow mosaic virus(BaYMV)와 Barley mild mosaic virus(BaMMV)가 혼합감염 되어 나타났다. 발병정도는 관행에서는 4년차를 제외하고는 7~9로 조사되었다. 반면 콩+보리 연작이나 3년 동안 휴경한 경우는 발병정도가 7정도로 관행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콩+벼 작부체계 중에서 보리를 1년 또는 2년(1년/2년) 휴경하면서 콩을 재배한 경우 발병정도가 중 정도(5)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작부형태에 따른 BaYMV와 BaMMV의 매개균인 P. graminis의 보리 뿌리와 토양 중 밀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보리를 1년 휴경한 처리에서 보리 뿌리와 토양 중 매개균의 밀도가 가장 낮아졌다. 콩을 재배하면서 보리를 1년 휴경한 처리에서 5년차에는 관행에 비해 초장은 비슷하였으나, 경수는 158개/$m^2$ 많아 생육이 좋은 결과를 보였다. 콩과 보리를 연작하거나 3년간 보리와 콩을 재배하지 않고 휴경한 경우에는 관행에 비해 초장이나 경수 등 생육이 저조한 결과를 보였다. 수확기에 간장 등 수량 구성요소가 관행에 비해 보리+콩의 윤작처리에서 좋은 경향을 보여 콩과의 윤작 처리가 수량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간장은 보리를 1년/2년 휴경한 처리에서 5년차에 관행과 보리+콩 연작 처리에 비해 1.3~2.8 cm 컸고, 수수도 36~90개/$m^2$ 많게 조사되었다. 그러나 콩+보리 연작이나 3년간 휴경한 처리에서는 관행에 비해 낮게 조사되었다. 수량성에서도 보리를 1년/2년 휴경한 처리에서는 3년차, 4년차, 5년차에서 모두 관행에 비해 수량이 많아지는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