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ang river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9초

만경강 수계 농업용수의 시기별 수질변화 (Change in Agricultural Irrigation Water Quality in Mankyeong River)

  • 이경보;이덕배;이상복;김재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7
    • /
    • 1999
  • The water quality at Mankyeong River was surveyed 13 sites of main stream for 6 months from April to September in 1995 and 1997. The monthly average value of $NH_4-N$, $SO_4^{2-}$ and $Cl^-$ showed the highest peak in April while that of $NO_3-N$ showed the highest peak in August. The monthly average value of COD showed the highest peak in September at high temperature season. Concentrations of $NH_4-N$ and $SO_4^{2-}$ in Mankyeong River stream exceeded the standard water quality criteria in many sites. The water quality of Mankyeong River stream was not suitable for the irrigation source excepted the sites such as Hari, Gosan stream and Soyang stream. The floodgate of Mokcheon, Yocheon, Jeonju and Samcheon stream were rapidly polluted by the sewage of city, otherwise the Iksan stream was rapidly polluted by the sewage of swine. The sum of ionic concentrations in Mankyeong River stream was the highest at floodgate of Yocheon by influence of the sewage from city and industry. The order of the major anions and cations concentration in Mankyeong River stream were $SO_4^{2-}$ > $Cl^-$ > $NO_3-N$ > $SO_4^{3-}$ and $Na^+$ > $Ca^{2+}$ > $NH_4^+$ > $Mg^{2+}$ > $K^+$, respectively.

  • PDF

갈수기 경향성 분석을 활용한 상류 유역의 가뭄위험 변동성 분석 (Analysis of Drought Risk in the Upper River Basins based on Trend Analysis Results)

  • 정일원;김동영;박지연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1권1호
    • /
    • pp.21-29
    • /
    • 2019
  • This study analyzed the variability of drought risk based on trend analysis of dry-seasonal dam inflow located in upper river basins. To this, we used areal averaged precipitation and dam inflow of three upper river dams such as Soyang dam, Chungju dam, and Andong dam. We employed Mann-Kendall trend analysis and change point detection method to identify the significant trends and changing point in time series. Our results showed that significant decreasing trends (95% confidence interval) in dry-seasonal runoff rates (= dam inflow/precipitation) in three-dam basins. We investigated potential causes of decreasing runoff rates trends using changes in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PET) and precipitation indices. However, there were no clear relation among changes in runoff rates, PET, and precipitation indices. Runoff rate reduction in the three dams may increase the risk of dam operational management and long-term water resource planning.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perform a multilateral analysis to better understand decreasing runoff rates.

식물플랑크톤의 세포외배출유기물을 고려한 소양호의 1차생산과 유기물 부하 (Organic Matter Sources in a Reservoir (Lake Soyang); Primary Production of Phytoplankton and DOC, and External Loading)

  • 남궁현;황길순;최광순;김철구;김범철
    • 생태와환경
    • /
    • 제34권3호통권95호
    • /
    • pp.166-174
    • /
    • 2001
  • 소양호로 유입되는 유기탄소량을 측정하였으며, 유기탄소 부하량에 대한 유기물 기원의 기여도를 계산하기위해서 내부생성유기탄소와 외부기원유기탄소를 측정하였다. 내부생성유기탄소는 EOC를 고려한 식물플랑크톤의 1차생산력으로부터 계산하였으며, 외부기원유기탄소는 유입수의 유기탄소 농도와 양어장의 유기탄소 배출량으로부터 구하였다. 1차생산력은 가두리 양식장이 설치된 1987견부터 증가하여 1995견가지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가두리가 철거된 1998년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내부생성유기탄소와 외부기원유기탄소의 부하는 여름철에 집중되었으며, 7${\sim}$9월에 연간 부하량의 43.2%와 71.7%가 각각 유입되었다. 1차생산력은 여름철에 $1,000\;mgC\;m^{-2}\;d^{-1}$ 이상으로 증가하였으며 겨울철에 비교적낮았다. 식물플랑크톤의 EOC배출율도 1차생산이 증가하여 수체의 DOC농도가 높은 여름철에 높았다. 전체조사기간동안 내부생성과 외부기원유기물의 평균적인 기여도는 각각 총부하량의 53.6%와 46.4%를 차지하였다. EOC 배출율은 1차생산력의 4.4${\sim}$21.2%를 차지하였으며, 1차생산력 산정에서 식물플랑크톤의 EOC 배출율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만경강의 담수어류 및 외래어종의 분포 (Study of Freshwater Fish Fauna and Distribution of Introduced Species of Mankyeong River, Korea)

  • 이완옥;김경환;김종화;홍관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98-209
    • /
    • 2008
  • 서해로 유입되는 만경강에 대한 어류상과 어류군집을 조사한 결과 총 14과 63종의 담수어류를 채집하였으며, 이중에 우점종은 Zacco platypus (27.7%)이었고, 아우점종은 Zacco koreanus(11.3%)로 나타났다. 한국고유종은 23종(36.5%)이 출현하였고, 멸종위기야생동 식물에 속하는 종은 Pseudopungtungia nigra, Liobagrus obesus 등 2종이었다. 만경강의 지류별 우점종은 전주천은 Zacco koreanus, 고산천 소양천은 Zacco platypus, 삼천천은 Tridentiger brevispinis이었고, 만경강 본류는 Carassius auratus로 안정된 군집구조를 보이고 있었다. 도입된 외래종은 Carassius cuvieri, Micropterus salmoides, Lepomis macrochirus 등 3종이 출현하였다. 이중 강한 육식성인 Micropterus salmoides는 분포지역이 확대되면서 중 하류의 정수지역에 널리 분포함에 따라 이곳에 주로 서식하는 납자루아과 어류와 고유종을 비롯한 소형 어류의 개체수와 분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Derivation of Design Flood Using Multisite Rainfall Simulation Technique and Continuous Rainfall-Runoff Model

  • Kwon, Hyun-Han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540-544
    • /
    • 2009
  • Hydrologic pattern under climate change has been paid attention to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hydrologic science group. Rainfall and runoff is a key element in the Earth's hydrological cycle, and associated with many different aspects such as water supply, flood prevention and river restoration. In this regard, a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design flood using simulation techniques which can consider a full spectrum of uncertainty. Here we utilize a weather state based stochastic multivariate model as conditional probability model for simulating the rainfall field. A major premise of this study is that large scale climatic patterns are a major driver of such persistent year to year changes in rainfall probabilities. Uncertainty analysis in estimating design flood is inevitably needed to examine reliability for the estimated results. With regard to this point, this study applies a Bayesian Markov Chain Monte Carlo scheme to the NWS-PC rainfall-runoff model that has been widely used, and a case study is performed in Soyang Dam watershed in Korea. A comprehensive discussion on design flood under climate change is provided.

  • PDF

의암호의 식물성 Plankton 군집의 구조와 동태 (Structure and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nities in Uiam Lake, Korea)

  • Yim, Yang-Jai;Kyu Song Cho;Chang Nam Si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5권2_3호
    • /
    • pp.132-135
    • /
    • 1982
  •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ies of Uiam lake, Korea, was investigated. In the Uiam lake four dominant species were found Oscillatoria limosa at Chuncheon City side, O. tenuis at Soyang river side, Melosira italica at south-east side and Asterionella gracillima at west side of the lake. By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similarity index and dissimilarity index, the phytoplanktons in this lake were grouped into three communities; i.e. Oscillatoria, Melosira and Asterionella community. And also the same groups obtained by the cluster analysis were recognized by polar ordination technique along polluted degree gradient. It is clear that oscillatoria community occur in polluted site, Asterionella community in unpolluted site and Melosira community in less polluted site.

  • PDF

인공신경망 모델을 이용한 소양강 유역의 GCM 모의결과 상세화 기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ownscaling of GCM output using Artificail Neural Network in Soyang River Basin)

  • 이경주;성경민;김수영;허준행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847-850
    • /
    • 2010
  • 최근 많은 수문학자들은 전지구적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 예방과 저감을 위해 기후변화가 수문학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알기 위해 많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작성하고자 이산화탄소 배출농도를 가정하여 다양한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해 저해상도의 GCM(General Circulation Models) 모형에서 생성되는 모의결과를 유역 규모의 단위로 스케일 상세화 기법(downscaling)을 적용 시켜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7년 IPCC AR4와 함께 제시된 SRES A1B 시나리오를 채택하여 우리나라 기상청이 연구에 참여 제공하고 있는 EHCO-G 모델의 모의결과를 이용하여 소양강 유역에 적용하였다. 상세화 기법으로는 현재와 과거의 입력값들과 이에 대응된 출력값들을 알고 있는 경우에 미래의 새로운 입력값들에 대한 예측값들을 추출하는데 유용하며, 비선형적 비연속적인 특성이 강한 모델에 강점을 가지고 있는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모델을 사용하고자 한다.

  • PDF

神經網理論에 의한 降雨豫測에 관한 硏究 (A Study on Rainfall Prediction by Neural Network)

  • 오남선;선우중호
    • 물과 미래
    • /
    • 제29권4호
    • /
    • pp.109-118
    • /
    • 1996
  • 신경망이론은 분산기억성질과 병렬국소처리를 수행하는 뇌의 활동을 이론화한 수학모형이다. 이러한 신경망이론의 장점은 분류문제, 대규모로 결합된 최적화문제, 비선형 사상문제 등에서 잘 나타나므로, 이 점을 이용하여 복잡한 강우의 예측을 시도하였다. 신경망이론을 적용하기 위해서 연속적인 값으로 표시되는 입력자료와 출력자료를 학습한 후 강우예측을 시행할 수 있는 다층신경망 모형을 구성하였다. 신경망이론에 의한 강우예측은 서울지역과 소양강유역의 1 시간 대위 강우자료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는 대체로 만족할 만하였다. 따라서 신경망이론은 양질의 자료가 충분히 확보될 경우복잡한 강우현상을 잘 예측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人工湖 生産層에서 植物플랑크톤의 질소화합물 동화속도 (In situ Assimilation Rate of Nitrogenous Compounds by Phytoplankton in the Euphotic Layer of Reservoirs)

  • Mitamura,Osamu;Kyu-Song Cho;Sa-Uk Ho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3호
    • /
    • pp.261-273
    • /
    • 1993
  • The nitrogen assimilation rate of nitrogenous nutrients by reservior phytoplankton was masured in the in situ condition in the euphotic layer of Lakes Soyang, Chuncheon and Uiam located on the upper reaches of the North Han River System in August, 1983, Korea. The assimilation rate of ammonia, nitrate and urea nitrogen in surface water was 13, 2 and $13{\mu}g$ at. $N{\cdot}m^{-3}{\cdot}(12:10~18:15)^{-1}$ in Lake Soyang, 325, 27 and $59{\mu}g$ at. $N{\cdot}m^{-3}{\cdot}(12:30~18:30)^{-1}$ in Lake Chuncheon, and 174, 12 and $45{\mu}g$ at. $N{\cdot}m^{-3}{\cdot}(12:30~19:30)^{-1}$ in Lake Uiam. Ammonia and urea were perferntially utilized by reservoir phytoplankton. The dark/light ratios of nitrate assimilation were much lower than those of ammonia and urea assimilation of nitrate showed little contribution. The primary productuin was estimated as 59mg $C{\cdot}m^{-2}{\cdot}day^{-1}$ and 6.9mg $N{\cdot}m^{-2}{\cdot}day^{-1}$ in Lake Spyang, 217mg C{\cdot}m^{-2}{\cdot}day^{-1}$ and 26mg N{\cdot}m^{-2}{\cdot}day^{-1}$ in Lake Chuncheon, and 110mg C{\cdot}m^{-2}{\cdot}day^{-1}$ and 13mg N{\cdot}m^{-2}{\cdot}day^{-1}$ in Lake Uiam, with production ratios of 8.6, 8.4 and 8,4, respectively. The turnover time o ammonia and urea in the upper euphotic layer was 2 to 47 days and 4 to 38 days, respectively. Nitrate required much longer periods. In the euphotic layer of reservoirs, ammonia and urea played signigicant roles in the biogeoKDICical nitrogen metabolism.

  • PDF

GIS를 이용한 사방댐의 토사유실 저감효과 분석 (Efficiency of Soil Erosion to a Debris Barrier using GIS)

  • 이근상;이명진;홍현정;황의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8-16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소양호유역의 탁수 및 토사유실 저감을 위해 수립중인 다양한 대책중 산림청과 지자체를 중심으로 계획중인 사방댐에 대한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2005년 강우와 GIS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소양호유역의 토사유실은 4,819,494 ton으로 평가되었으며, 단위토사유실분석에서는 추곡천, 자운천 그리고 오항천이 다른 유역들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다. 94개의 사방댐 지점을 중심으로 GIS 공간분석을 이용하여 사방댐유역을 추출하였으며, 사방댐유역의 토사유실량과 유사운송비를 이용하여 저감효과를 분석한 결과, 2005년 사방댐의 토사유실저감효과는 6.8%(330,203 ton)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사방댐의 위치를 5,000 ton 이상인 지역으로 이동한 시나리오에서의 사방댐의 토사유실저감효과는 10.5%(506,783 ton)으로 증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