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 proteins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초

Effect of Soy Protein Diet on Mucosa Layer of Murine Small Intestine

  • Lee, Aeri;Lim, Jinkyu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2권1호
    • /
    • pp.34-42
    • /
    • 2014
  • Soy and fermented soy are popular and recognized as a health food among Koreans. Since soy proteins are known to be protease resistant, even to pepsin and pancreatin, it is hypothesized that soy proteins may interact with the intestinal tract and trigger certain physiological reactions. To test this hypothesis, mice were fed diets supplemented with soy, Chunkukjang, or casein.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proteins were analyzed using 2-D gels and identified by peptide mass fingerprinting using mass spectrometry. The majority of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proteins could be functionally grouped into metabolic enzymes and calcium-binding proteins. The differential protein expression by the soy-fed groups was also verified based on a representative protein, tropomyosin, using a Western blotting analysis. In addition, the soy-fed groups exhibited a taller villi structur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soy proteins can be an effective nutrient and physiological stimulant for the intestines.

대두 탈지 처리가 식물조직단백 조직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y defatting on texturization of texturized vegetable proteins)

  • 박찬순;서미숙;정선영;박보람;박신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75-88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탈지대두분말로 제조한 식물조직단백(texturized vegetable protein)과 분리대두단백, 탈지하지 않은 대두분말로 제조한 식물조직단백의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원료의 배합은 대두단백 50%, 글루텐 30%, 옥수수전분 20%를 기본배합으로 하였다. 냉각 다이가 장착된 압출성형기를 이용하여 배럴온도 190℃, 스크루 회전속도 250 rpm으로 하였다. 분리대두단백 대비 경도는 대두분말이 22.4%, 탈지대두분말이 68.8% 수준이며, 검성은 대두분말이 17.6%, 탈지대두분말이 44.3% 수준으로 나타났고, 탈지를 통하여 씹힘성, 절단강도, 탄력성이 증가하였다. 대두분말과 탈지대두분말의 수분함량은 대두분말 처리구가 높았으며, 수분흡수력과 탁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pH는 대두분말 처리구가 탈지대두분말보다 높았으며 색도는 L값과 b값은 대두분말 처리구가, a값은 탈지대두분말 처리구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대두를 탈지하여 사용할 경우 식물조직단백 품질의 개선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분리대두단백과의 품질 차이를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Development of Methods for Protein Extraction from Three Major Korean Fermented Soy Foods for 2-Dimensional Gel and Mass Spectrometric Analyses

  • Lim, Jin-Kyu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3호
    • /
    • pp.88-94
    • /
    • 2008
  • Three different protein extraction methods-phenol extraction, trichloroacetic acid (TCA) precipitation, and desalting/TCA precipitation-were compared to determine the optimal reproducible high resolution 2-dimensional (2-D) electrophoresis for each chungkugjang, doenjang, and kochujang samples. The soluble proteins from Chungkugjang extracted by phenol were separated with high reproducibility and resolution, and gained 1.75- to 3-fold more protein spots on 2-D gel than those from the other methods. On the contrary, the extracted proteins from doenjang and kochujang treated by desalting/TCA precipitation method showed about 1.5- to 3.3-fold more protein spots on 2-D gel. Using the established methods, the changes in the protein profiles of the fermented soy foods were monitored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by 2-DE. One of the major proteins in soy, $\beta$-conglycinin $\alpha$-subuint, and some proteins with unknown functions were localized on 2-D gel as the protease-resistant proteins throughout the fermentation period of doenjang. Changes in the protein profile monitored by the established methods can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unfolding the mechanisms of the generation of biofunctional activity in the fermented soy foods.

유청(乳淸) 및 두유(豆乳) 혼합액에서의 단백질 콜로이드 안정성 (Stability of Protein Colloids in the Mixture of Cheese Whey and Soy Milk)

  • 손동화;이형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1호
    • /
    • pp.83-89
    • /
    • 1986
  • 유청 및 대두단백질의 상호작용을 구명하기 위한 기초실험으로서 유청, 대두 이들로 부터 추출한 유청 및 대두단백질을 가지고 두부의 겔 형성특성, 가열처리 및 염류조성이 콜로이드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열처리가 저장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하였다. 유청과 대두의 혼합물로써 두부를 제조했을 때 유청중에 함유된 칼슘 등 염류는 대두단백질을 침전시킴으로써 두 단백질의 겔 형성을 방해하거나 커드의 조직을 나쁘게 하였다. $60{\sim}100^{\circ}C$의 열안정성시험에서 유청과 증류수에 투석한 유청의 단백질은 $70^{\circ}C$ 상에서 급격히 침전하기 시작하였다. 대두추출물과 그 혼합물의 경우에는 모두 거의 안정하였다. 인산나트륨용액에 투석한 유청, 대두추출물 및 혼합물의 경우에는 같은 열처리에서 모두 안정하여, 대두추출물중 인산염의 존재가 특히 유청단백질을 안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aCl_2\;0.05{\sim}0.07M$ 농도 범위의 칼슘염 첨가에 의하여 증류수에 투석한 유청단백질은 $30{\sim}35%$만 침전되었으나 대두단백질은 쉬 불안정화되어 대두추출물 및 혼합물 중 $70{\sim}85%$의 단백질이 침전되었다. 유청 및 두유혼합물의 $4^{\circ}C$ 저장안정성은 $63^{\circ}C$의 저온에서 열처리했을 경우가 고온에서 처리한 경우보다 향상되었다.

  • PDF

Effects of ${\beta}$-Conglycinin and Glycinin on Thermal Gelation and Gel Properties of Soy Protein

  • Kang, Il-Jun;Lee, Young-Soo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11-15
    • /
    • 2005
  • Dynamic shear moduli of isolated soy protein solutions upon heating were measured to monitor gelation. Onsets of gelation coincide with onset temperatures of denaturation in glycinin and ${\beta}$-conglycinin solutions, whereas in isolated soy proteins, onset of gelation was above denaturation temperature of ${\beta}$-conglycinin with storage modulus increasing in two steps. The first increase in storage modulus of isolated soy proteins occurred at about $78.5^{\circ}C$, while the second increase started at about $93^{\circ}C$. Gel properties of soy protein gels having different proportions of glycinin and ${\beta}$-conglycinin were measured by compression-decompression test. ${\beta}$-conglycinin was responsible for gel elasticity. Glycinin significantly increased hardness, toughness, and fracturability of gels at high heating temperature near $100^{\circ}C$. Results reveal texture of soy protein gels can be controlled by regulating ratio of glycinin to ${\beta}$-conglycinin and heating temperature.

Soybean Peptides Induce Apoptosis in HeLa Cells by Increasing Oxidative Stress

  • Sung, Ho Joong;Jeong, Yu Jin;Kim, Jihyun;Jung, Eunsun;Jun, Jin Hyu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7-83
    • /
    • 2015
  • Soy proteins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because of its multiple health benefits. However, the effects of soy proteins on human cervical cancer cells are still unclear.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oy proteins on HeLa cells and human fibroblasts by using soybean peptides (SPs). SPs selectively increased th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apoptosis in HeLa cells but not in fibroblasts. In addition, SPs suppressed the migration of HeLa cells. Although the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the effects of SPs on human cervical cancer cells need to be investigated further, our findings provide insights on the therapeutic effects of soy protein on cervical cancer.

분리 대두단백의 소화율과 전기영동패턴에 미치는 Phytate의 영향 (Effect of Phytate on the Digestibility and Electrophoretic Pattern of Soy Protein Isolate)

  • 윤재영;조희경;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60-365
    • /
    • 1993
  • Phytate 함량이 다른 두 분리 대두단백(HSPI; high-phytate soy protein isolate, LSPI; low-phytate soy protein isolate)을 제조하여 pH 및 phytate 첨가량이 그들의 용해도와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고 분리 대두단백을 용해도에 따라 분별한 후 그들의 특성을 전기영동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LSPI와 HSPI 모두 분자량이 $13.6{\sim}81.1kDa$에 이르는 단백질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산성 pH에서 $18.0{\sim}35.0kDa$의 단백질은 phytate와 잘 결합하지 않는 특성을 가졌다. LSPI를 용해도에 다라 분별하였을 때 gliadin을 구성하는 단백질은 pH2에서 phytate와 쉽게 결합하지 않았다. 대두 단백질은 pepsin 소화율은 phytate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크게 저하되었다.

  • PDF

인산화와 초산화가 대두단백질의 기능특성과 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osphorylation and Acetylation on Functional Properties and Structure of Soy Protein)

  • 김남수;권대영;남영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25-630
    • /
    • 1988
  • 대두단백질을 인산화 및 초산화처리에 의하여 변형시키고, 변형대두단백질의 기능특성을 검토하였다. 인산화 대두단백질은 비변형 대두단백질보다 높은, 용해도, 거품특성, 수분보유력을 나타냈다. 한편, 초산화에 의해서도 유화력과 거품특성이 현저하게 증진되었다. 대두단백질은 인산화와 초산화에 의하여 등전점이 산성쪽으로 변화였으며 단백질의 집괴화현상도 관찰되었다. 또한, 화학변형된 대두단백질을 디스크 전기영동에 의해 분석시 단백질밴드의 상대이동도가 현저하게 증대되었다.

  • PDF

우유와 대두단백질을 이용한 요구르트의 제조에 관한 연구 (Study on Preparation of Yogurt from Milk and Soy Protein)

  • 김혜정;고영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00-706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우유에 탈지분유 또는 4종의 대두단백질을 2% 첨가하여 커드상의 요구르트를 만들고, 대조군(우유로만 만든 요구르트)과 비교하여 대두단백질의 첨가가 젖산균의 산생성 및 커드상 요구르트의 품질(관능성,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HPLC를 이용하여 커드상 요구르트의 몇 가지 유기산을 분석하였다. 대두단백질의 첨가로 젖산균의 산생성이 탈지분유를 첨가한 경우보다 촉진되었는데, 탈지대두분이나 대두분의 촉진효과가 현저하였다. 접종된 4종의 젖산균 (Lactobacillus 3종, Leuconostoc 1종) 중에서는 Leuc. mesenteroides와 L. bulgaricus의 산생성도가 높았다. HPLC에 의한 유기산 분석에서는 우유나 2% 대두분을 첨가한 우유에 L. bulgaricus를 접종하여 24시간 발효하는 동안 lactic acid와 acetic acid는 젖산균에 의해 생성되어 그 양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우유 중에 들어있는 citric acid는 젖산균에 의해 이용되어 그 양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성된 주요 유기산은 lactic acid였다. 관능검사의 결과를 보면 표준시료에 비하여 대두단백질 첨가 시료의 관능성은 저조하였으며, 대두단백질 중에서는 농축대두단백이나 분리대두단백 첨가 시료가 탈지대두분이나 대두분 첨가 시료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커드상의 요구르트를 2주일간 $5^{\circ}C$ 냉장고에 저장하는 동안 산생성과 pH, 생균수에 거의 차이가 없어 저장성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대두 단백질 및 배아를 이용한 Bifidobacterium lactis BL740의 균체성장 및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생산를 위한 통계적 배지 최적화 (Statistical optimization of culture media contained soy proteins and hypocotyl for the growth of Bifidobacterium lactis BL 740 and production of soy isoflavone aglycones)

  • 이충영;이윤복;이근하;박명수;황석연;홍승복;유영춘;유병연;김정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3호
    • /
    • pp.126-131
    • /
    • 2010
  • 대두가공공정 중 발생하는 부산물인 대두배아 및 대두 단백질을 이용하여 Bifidobacterium lactis BL740의 생균수 및 대두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생산 최대화를 위한 배지최적화를 수행하였고 이를 위하여 통계적 방법인 fractional factorial design (FFD) 및 central composite design(CCD)를 이용, 대두 유래 성분들이 포함된 배지 (S-medium)의 최적 조성물을 확언하였다. FFD의 경우 glucose, cellobiose, fructooligosaccharidde, soy peptone, soy protein, 대두배아를 이용 총 6가지 요소를 2수준에서 적용하였으며 이 중 soy protein, soy peptone 그리고 대두 배아가 B. lactis BL740의 균성장 혹은 대두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전환에 중요 인자로 확인이 되었다. FFD에서 확인된 3가지 인자를 CCD에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균성장의 경우 최적의 배지조성함량이 soy peptone 29.55 g/L, soy protein 12.73 g/L, 대두 배아 130.67 g/L로 확인되었으며 비배당체 전환의 경우 soy peptone 1.25 g/L, soy protein 2.06 g/L, 대두 배아 60.02 g/L로 최적화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