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 peptide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3초

The Effects of Combination of Functional Beverage(Garcinia Cambogia, L-Carnitine, and Soy Peptide) and Exercise on the Improvement of Body Fat

  • Kim, Kyung-Soo;Jung, Ju-Hae;Song, Chan-Hee;Sung, Bong-Ju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1권2호
    • /
    • pp.99-108
    • /
    • 2003
  • Background: There is abundance of studies on the decrease in body fat through limited calorie intake or exercise; however, studies focusing simultaneously on functional foods and exercise are rare.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mbination of a functional beverage and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biochemical metabolic profiles. Method: Eighty-one healthy volunteers (69 females aged 19 to 50 years and 12 males aged 19 to 55 years), who maintained their body weight stable with 23 or higher in BMI (kg/$m^2$) and 25% or higher body fat for the last three months, were recruited in the study through written advertisement. All the subjects gave their informed consent, and the study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Declaration of Helsinki. The study design wa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arallel group design. All participants were given 12-week programed-exercise, which was performed 3 times a week. One bottle (100 ml) of test (Garcinia cambogia 300 mg, L-carnitine 20 mg, Soy peptide 1,000 mg) or placebo solution was given daily 30 min before each session of programed-exercise. BMI (body mass index), %fat, local fat amount (visceral and mid-thigh), waist circumference, skin fold thickness and some biochemical metabolic parameters like glucose, insulin and free fatty acids, etc in the blood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12-week intervention within groups as well a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protocol Results: Twenty six volunteers were dropped out and fifty five volunteers completed the study. At the end of 4, 8, and 12 weeks, approximately 1.98%, 3.00% and 3.50% losses of initial body weight were observed, respectively, in the test group (P<0.01), and 0.29, % ,0.74%, 1.60%, respectively, in the placebo group (P>0.05). BMI changed by 2.40%, 3.41% and 4.46%, respectively, in the test group, and 0.38%, 0.95% and 1.75%, respectively, in the placebo group, at each period of time. The reductions of body weight and BMI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est group than in the placebo group at each period of time (P<0.05). Conclusions: It is thought that the combination of functional beverage, which contains mostly garcinia cambogia, L-carnitine, and soy peptide, and exercise have synergy effects on reducing body fat.

전통 메주 유래 미생물이 생산하는 효소에 의한 대두단백 분해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oy Protein Hydrolysates with Enzymes Produced by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Traditional Meju)

  • 정낙현;신용서;김성호;임무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0-88
    • /
    • 2003
  • 대두단백 가수분해 산물의 맛과 향을 개선하기 위해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 system을 확립하기 위하여 단백질 가수분해 패턴이 서로 다른 효소로 생산된 단백 분해산물의 가수분해도와 표면 소수도 등을 측정하였다. 이들 분해물의 pattern을 SDS 전기영동으로 조사하였고, 효소반응에 의한 단백질분해물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균주가 생산한 단백질 분해효소의 pH 변화에 따른 효소의 활성은 No. 16 효소(Bacillu megarerium Bl6)와 No. 4효소(Aspergillus oryzae M4)는 pH 7.0에서 No. 95효소(Bacillu subtilis YG 95)와 No. 5효소(Mucor circinelloides M5)는 8.0에서 가장 높은 효소반응 활성을 보였다. 또한 반응온도에 따른 효소활성의 크기는 4가지 효소 모두 45$^{\circ}C$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대두단백질 분해물의 SDS 전기영동 pattern변화에서, Bacillus megaterium Bl6과 Mucor circinelloides M5의 효소 (No. 16, No. 5)는 반응 후 분자량이 비교적 큰 peptide가 많이 생성되었으며, 효소반응 3시간 경과 후에도 분자량 66KD의 peptide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Bacillus subtilis YG 95와 Aspergillus oryzae M4의 효소(No. 95, No. 4)는 분자량 15KD∼45KD 미만의 작은 분자량의 peptide 물질이 주로 생성되었으며, 반응 2시간 경과후에는 30KD 미만의 저분자 Peptide가 주로 생성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HPLC 분석 결과와 일치하였다. 가수분해가 진행됨에 따라서 SDS 표면소수도가 크게 저하되었으며, Aspergillus oryzae M4 효소의 분해물의 가수분해도가 가장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No. 4(Aspergillus oryzae M4)와 No. 95(Bacillus subtilis YG 95) 가 강한 쓴맛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효소들을 조합해서 분해한 단백분해물을 관능검사한 결과, Aspergillus oryzae M4 효소와 조합된 것의 대두단백질 분해물이 비교적 강한 쓴맛을 나타내었다. 분해물의 단맛은 시료별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Bacillu megarerium Bl6과 Aspergillus oryzae M4를 조합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단맛의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와 같은 효소특성을 이용하여 대두단백질을 가수분해를 하였을 때 다양한 단백질 분해물의 제조에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Hypocholesterolemic Soybean Peptide (IAVP) Inhibits HMG-CoA Reductase in a Competitive Manner

  • Pak, Valeriy V.;Koo, Min-Seon;Lee, Na-Ri;Oh, Su-Kyung;Kim, Myung-Sunny;Lee, Jong-Soo;Kwon, Dae-Yo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6호
    • /
    • pp.727-731
    • /
    • 2005
  • Synthesized Ile-Ala-Val-Pro (IAVP) peptide, which has the highest hypocholesterolemic effect among a number of synthesized derivatives of Ile-Ala-Val-Pro-Gly-Glu-Val-Ala (IAVPGEVA) isolated from 11S globulin of soy protein by pepsin digestion, was selected for investigation in the present study. Using a recombinant Syrian hamster 3-hydroxy-3-methylglutaryl coenzyme A reductase (HMGR), we studied in detail the inhibition of this enzyme by IAVP and compared the action of this peptide to that of lovastatin, a known competitive inhibitor of this enzyme. The concentration of IAVP required for 50% inhibition ($IC_{50}$) of HMGR activity in given experimental conditions was $340\;{\mu}M$. Kinetic analysis revealed that the studied peptide is a competitive inhibitor of HMGR with respect to both 3-hydroxy-3-methylglutaryl coenzyme A (HMG-CoA) and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 (NADPH), with an equilibrium constant of inhibitor binding ($K_i\;=\;[E][I]/[EI]$) of $61{\pm}1.2\;{\mu}M$ and $157{\pm}4.4\;{\mu}M$, respectively. At the same conditions, $K_i$ and $IC_{50}$ for lovastatin were $2.2{\pm}0.1\;nM$ and 12.5 nM, respectively. Thus, the given peptide interacts with HMGR as a bisubstrate, consequently blocking access of both substrates to the active sites. The achieved results suggest the design of new peptide sequences having a higher relative affinity to binding sites of this enzyme and an enhancement of their hypocholesterolemic properties.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ew ${\alpha}$-Glucosidase Inhibitory Peptide from Aspergillus oryzae N159-1

  • Kang, Min-Gu;Yi, Sung-Hun;Lee, Jong-Soo
    • Mycobiology
    • /
    • 제41권3호
    • /
    • pp.149-154
    • /
    • 2013
  • An ${\alpha}$-glucosidase inhibitor was developed from Aspergillus oryzae N159-1, which was screen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Korean foods. The intracellular concentration of the inhibitor reached its highest level when the fungus was cultured in tryptic soy broth medium at $27^{\circ}C$ for five days. The inhibitor was purified using a series of purification steps involving ultrafiltration, Sephadex G-25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strong cation exchange solid phase extraction, reverse-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The final yield of the purification was 1.9%. Results of th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analysis indicated that the purified ${\alpha}$-glucosidase inhibitor was a tri-peptide, Pro-Phe-Pro, with the molecular weight of 360.1 Da. The IC50 value of the peptide against ${\alpha}$-glucosidase activity was 3.1 mg/mL. Using Lineweaver-Burk plot analysis, the inhibition pattern indicated that the inhibitor acts as a mixed type inhibitor.

Isoflavone-Free 검은콩펩타이드의 항고혈압 및 ACE 활성 억제효과 (Antihypertensive and ACE Inhibitory Effects of Novel Isoflavone-free Black Soy Peptide Mixture)

  • 안창원;신동석;박수현;홍순선;강주희;박창신
    • 약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309-313
    • /
    • 2012
  • Antiobesity, hypotriglyceridemic and antihypertensive activities of isoflavone-free peptide mixture (black soybean peptide, BSP) were reported in our previous experiments. In the present study,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Ei) activity was decreased in the aorta tissues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s) treated with BSP (1% in drink water) for 4 weeks, but not in serum. BSP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ACE activity by 17.5% (from $33.2{\pm}4.5$ to $27.4{\pm}1.96$ mUnit/mg, p=0.0013) in aorta tissue hydrolysate. BSP treatment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mean blood pressure (BP) (from $213.0{\pm}16.96$ to $184.0{\pm}6.53$ mmHg, p<0.0001) as expect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SP has antihypertensive activity as well as ACEi activity.

콩 단백 효소 가수분해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Soy Protein Hydrolysate with Asp. saitoi Pretense)

  • 주정현;이상덕;이규희;이기택;오만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29-235
    • /
    • 2004
  • 콩 단백질을 효소로 가수분해하였을 때 생성되는 항균활성 Peptide를 조사하고 천연 항균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분리 콩 단백질에 5종의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작용시켜 생성된 가수분해물의 항균력을 측정하고, membrane filter를 이용해서 한외여과 하여, 분자량별로 분리된 각 fraction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였으며, 항균활성이 가장 높은 분획을 high pe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로 분취한 항균성 peptide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분리 콩 단백질에 5종의 단백질 분해 효소를 작용시켜 제조한 가수분해물 중 Aspergilius saitoi protease로 작용시킨 것이 항균활성이 가장 높았다 Aspergillus saitoi protease로 작용시킨 콩 단백질의 가수분해물을 여과 한계량 10,000, 3,000, 1,000 membrane filter로 cut-off하여 한외여과한 각 fraction의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자량 1,000∼3,000인 fraction의 항균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Aspergillus saitoi protease로 작용시킨 콩 단백질의 분자량 1,000∼3,000 범위 가수분해물의 MIC는 0.5∼0.8 mg/mL였으며 그람 양성균과 음성균 모두의 증식을 억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Aspergillus saitol protease로 작용시킨 콩 단백질의 가수분해물을 121$^{\circ}C$, 10분간 열처리하였을 때도 그 항균활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았을 때 이는 열에 대단히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한외여과하여 얻어진 콩 단백질의 분자량 1,000∼3,000범위 가수분해물을 동결건조하여 HPLC의 결과 얻어 진 peak 별로 분획 수집을 반복하여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retention time 16.02(IV)의 peak에서 최고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청국장에 관한 연구(I) -청국장 제조과정에 있어서 콩단백질의 변화에 관하여- (Studies on Chung-Kook-Jang (Part I) -On the changes of soy-bean protein in manufacturing Chung-Kook-Jang-)

  • 이계호;이효지;정문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4권3호
    • /
    • pp.191-200
    • /
    • 1971
  • 콩 및 장류 연구의 일환으로서 세균효소에 의하여 콩단백질을 분해하는 강력한 protease생산균주를 얻기 위하여 전국 9개도에서 볏짚을 수집하였다. 수집시료로부터 Dilution pour plate에 의하여 protease생산성 균주 총 23 균주를 순수 분리하였다. 순수분리된 전균주에 대하여 portease생산성을 screening하고 protease을 강력히 생산하는 우수균주를 선정 하였다. 우수균주인 $D_9$$F_{20}$ strain이 생성한 protease의 최적작용조건을 검토한 결과 optimum pH가 7.5이고 optimum temperature는 $40^{\circ}C$ 임을 알았다. 청국장은 다른 장류와는 달리 세균으로서 단시간 동안에 단백질을 분해시켜 만들음으로 특유한 식품인 것이다. 우수균주로 분리 선정된 $D_9$$F_{20}$ strain과 Bac. natto strain을 starter로하여 청국장을 제조하는데 세균의 protease에 의하여 콩단백질의 분해로 수용성질소화합물이 증가함을 알았다. 삶은 콩과 우수균주로 선정된 균주에 의하여 제조된 청국장에 대하여 질소형태의 변화를 보면 청국장 제조과정에서 수용성질소가 85%, TCA가용성질소, amino 태질소, peptide 태질소는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반대로 삶은콩은 수용성질소가 감소하였다.

  • PDF

대두 미분해성 단백질로부터 Chemiluminescence법에 의한 담즙산 결합 Peptides의 탐색 (Screening for the Bile Acid-Binding Peptides from Undigested Soy Bean Protein by Chemiluminescence Method)

  • 이상영;김영미;이영일;김복란;김종대;이해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3-198
    • /
    • 1996
  • 담즙산과 결합을 하여 콜레스테롤 농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된 대두 단백질의 생체내 효소에 의한 미분해성 분획물 개량 메주로부터 분리하였다. 개량 메주로부터 pH 6.8 과 pH 4.5의 분획물들을 분리하여, 초음파 처리와 투석을 행한 후 Sephadex G-75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부분 정제하였다. 부분 정제된 분획물들을 chemiluminescence 방법에 의해 in vitro에서 검색을 한 결과, pH 4.5 분획물중의 하나가 담즙산과 강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대두 기원의 pepsin 비분해성 분획물 또한 pH 4.5 분획물의 chemiluminescence 결과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고안한 chemiluminescence 법은 in vitro에서 담즙산 결합 활성도 측정 및 콜레스테롤 대사에 관한 연구의 기본적인 연구 수단을 평가되며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이 분야의 연구에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미생물 효소처리로 얻은 대두 펩타이드의 기능성

  • 박양원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447-450
    • /
    • 2000
  • 대두단백을 응고시키는 균체외 효소를 생산하는 박테리아를 포함하는 미생물을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였다. 이 미생물효소를 이용하여 대두 펩타이드를 생산하는 최적분해조건을 검토하였고, pH 6.1, $65^{\circ}C$에서 1시간 효소처리를 하여 11S globulin를 가수분해, 대두 펩타이드를 얻었다. 효소반응으로 얻은 응고물은 치밀한 구조를 지녔다. 효소반응 가수분해물인 펩타이드 Y와 W는 등전침전으로 얻은 가수분해물에 비해 그 용해성이 뛰어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