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rdough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35초

박력분과 혼합 프로바이오틱스를 사용한 사워도우 만쥬개발 (Development of the sourdough Manju production with cake flour and mixed probiotics)

  • 채동진;장기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693-5699
    • /
    • 2014
  • 사용 밀가루의 종류(강력분과 박력분) 차이가 사워도우(sourdough) 제조시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종균으로는, Bifidobacterium longum KCTC 5734, Enterococcus faecium KCTC 13410와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 3925을 사용하였고 효모균주는 Saccharomyces cerevisiae 였다. 혼합 프로바이오틱스와 효모균에 각각 강력분 또는 박력분 밀가루를 첨가하여 $30^{\circ}C$에서 15시간 발효 후 반죽을 합하여 이를 $30^{\circ}C$에서 다시 10시간 발효하였다. 박력분을 사용한 사워도우에서는 발효전과 비교할 때 수소이온농도는 100배, 산도는 2배 증가하였다. 병행하여 생균수와 유산 생성량은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기존에 알려진 강력분과 더불어 박력분 또한 발효 사워도우 제조에 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깍두기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으로 제조한 사워도우의 기능성 평가 (Functional evaluation of sourdough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sliced radish kimchi)

  • 임은서;김영목;이은우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180-19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깍두기로부터 분리한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사워도우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분리 균주는 99%의 상동성을 가진 Leuconostoc dextranicum SRK03, Lactobacillus brevis SRK15, Pediococcus halophilus SRK22, Lactobacillus acidophilus SRK30, Lactobacillus plantarum SRK38, Leuconostoc citreum SRK 42 및 Lactobacillus delbrueckii SRK60으로 동정되었다. L. dextranicum SRK03, L. acidophilus SRK30, L. plantarum SRK38 혹은 L. delbreckii SRK60과 Saccharomyces cerevisiae KCTC 7246을 혼합하여 $30^{\circ}C$에서 24시간 발효시킨 사워도우의 유산균과 효모수는 각각 $10^9$$10^7CFU/g$이었으며, 특히 L. dextranicum SRK03으로 제조한 사워도우는 L. acidophilus SRK30, L. plantarum SRK38 및 L. delbreckii SRK60 보다 유의하게 높은 총 산도와 에탄올 및 세포 외 다당류 함량을 나타내었다. L. dextranicum SRK03 및 L. acidophilus SRK30으로 제조한 사워도우는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유지의 과산화 억제능도 높았다. 게다가 L. acidophilus SRK30이 생산한 유기산과 박테리오신에 의해 $25^{\circ}C$에서 5일간 저장하는 동안 사워도우 내 Bacillus cereus ATCC 11778과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의 균수는 유의하게 낮은 수준을 유지되었다.

이상발효유산균과 내산성 효모와의 혼합배양이 사워도우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mixed culture of heterofermentative lactic acid bacteria and acid-tolerant yeast on the shelf-life of sourdough)

  • 임은서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471-48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묵은지로부터 분리된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이상발효 유산균 및 내산성 효모가 사워도우의 저장 기간 연장과 품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결과 빵 부패세균인 Bacillus 속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이상발효 유산균은 Leuconostoc mesenteroides LAS112, Lactobacillus brevis LAS129 및 L.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LAB137으로 동정되었고, 산성 pH 하에서 증식 가능한 효모는 Pichia membranifaciens YS05, Pichia fermentans YS19 및 Pichia anomala YS26으로 확인되었다. 사워도우 발효에 사용된 L. brevis LAS129는 L. mesenteroides LAS112 및 L.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LAS 137 보다 더많은 양의 초산과 박테리오신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LAS112는 가장 많은 양의 유산을 생산하였다. Bacillus subtilis ATCC 35421에 대한 최대의 박테리오신 활성(640 AU/g)은 L. brevis LAS129와 P. membranifaciens YS05 혹은 P. anomala YS26으로 혼합 발효시킨 사워도우 내에서 관찰되었다. $30^{\circ}C$에서 24시간 발효 후 사워도우 내 LAS129의 균수($10^9CFU/g$)는 YS05 혹은 YS26의 효모 균수($10^7CFU/g$)보다 높게 검출되었다. 한편, 이들 균주들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사워도우 내에 존재하는 빵 부패균의 균수는 대조구 보다 유의하게(P < 0.05)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국내산 밀가루를 이용한 사워종 분말의 첨가가 식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ng Sourdough Starter Powder using Korean Wheat Flour on the Quality of Pan Bread)

  • 안혜령;이광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83-198
    • /
    • 2012
  • 본 연구는 국내산 밀가루를 이용하여 제조한 사워종 분말이 식빵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제빵 제조 시 제빵개량제의 대체 효과와 품질특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사워종 분말을 첨가한 식빵을 제조하여 사워종 분말의 적정 첨가량을 도출하였다. 실험결과, SP 10의 발효율이 가장 좋았으며, 부피와 비용적도 가장 컸었다. 관능검사에서는 SP 10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워종 분말의 최적 첨가량과 국내유통 사워종 분말 제품과의 비교실험 결과, SI의 발효율이 가장 높았고, 식빵의 부피와 비용적에서도 SI가 가장 컸었다. 조직감 측정에서 SI가 가장 낮아 부드러우며, 가장 탄력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에서 SI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SP 10이 BP보다 선호도가 높았다. 결과적으로 사워종을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한 것을 첨가하여 제조한 SP 10이 국내유통 되고 있는 사워종 분말제품에 비해 관능검사의 기호도 측면에서는 선호도가 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국내산 밀가루를 이용하여 제조한 사워종 분말의 이용가능성이 보여지며, 제빵개량제의 대체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카무트 사워종을 첨가한 Sourdough Bread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rdough Bread made with Kamut Sour Starter)

  • 최재현;김은지;이광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117-133
    • /
    • 2016
  • 본 연구는 카무트 사워종 제조 방식을 달리하여 제조한 사워도우 식빵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자 반죽의 pH와 발효율, 비용적, 영상분석, 수분함량, 색도, TPA, 저장성, 기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반죽의 pH의 경우, 카무트 사워종을 첨가함으로써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pH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발효율 측정을 통해 사워종을 첨가한 시료의 발효가 대조구보다는 다소 느리지만, 대조구와 동일한 부피만큼 팽창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용적과 영상분석 결과, 사워종을 첨가한 실험구가 CON보다는 다소 작은 부피를 가지며, 실험구 중에서도 TM과 CM의 부피와 비용적이 유의적으로 낮음을 확인하였다. 수분함량은 사워종의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최종 제품의 수분함량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 Pool의 수분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색도 분석 결과, 카무트 자체의 색으로 인해 카무트 사워종을 첨가한 실험구에서 다소 어두워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PA과 저장성 측정 결과, 시료 제조 24시간 후 시료의 경도는 CON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으나, 72시간 경과할 때는 Pool과 CON은 유의적인 경도 차이가 없어짐을 확인하였다. 관능검사 중 기호도 검사 결과, 실험구 중에서는 이스트가 소량 첨가된 Pool과 Biga가 높은 평가를 받았고, TM과 CM은 전체적 기호도에서 좋지 않게 나타났다. 특성 차이 검사결과, 카무트 사워종을 첨가함으로써 부피는 다소 감소하지만, 빵의 속질과 껍질 색은 더 진해지며, 신맛과 곡물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반적인 품질특성 결과와 관능검사 결과에 따르면, Poolish의 형태로 카무트 사워종을 제조하는 것이 사워도우 빵의 품질과 기호도 측면에서 최적으로 여겨진다.

유산균 배양액과 계피추출물을 첨가한 sourdough bread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rdough bread added with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solution and cinnamon extract)

  • 허창기;심기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64-77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산균 배양액과 계피 추출물을 물 대신 첨가하여 제조한 sourdough의 제빵 특성과 식품첨가물로서의 계피의 다양성을 연구하였다. 반죽의 무게는 시료간에 차이가 없었고, 식빵의 무게는 D 식빵에서 가장 높았다. 식빵의 부피와 비용적은 C 시료에서 가장 높았고, 굽기손실율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각각의 식빵 시료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수분함량과 pH는 계피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고, 각각의 식빵 시료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적정산도는 유산균 배양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각각의 식빵 시료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색도에서 백색도는 계피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유산균 배양액 첨가량이 감소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식빵 시료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식빵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에서 유산균 배양액이 감소하고 계피추출물이 증가할수록 경도, 점착성 및 씹힘성은 증가하였고, 탄력성과 응집성은 감소하였다. ALH(Lactobacillus sakei subsp. ALI033) 유산균 배양액과 계피 추출물을 첨가한 sourdough로 제조한 식빵은 대조구보다 부피와 물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계피 추출물과 같은 부재료를 첨가하여도 식빵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ALH 유산균 배양액과 계피주정 추출물의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Enterococcus sp.와 Lactobacillus sp. 첨가 sourdough로 제조된 보리식빵의 품질특성 - II. 보리식빵의 이화학적 및 물성적 특성 - (Effect of Barley Bread Using Sourdough Prepared by Enterococcus sp. and Lactobacillus sp. - II. Physicochem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Barley Bread -)

  • 홍정훈;김경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61-370
    • /
    • 2001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urdough on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y of barley bread, sourdough starter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sanfrancisco and Enterococcus sp. were added to baking after 48 hours incubation at $37^{\circ}C$. 1. The pH of bread using Lactobacillus sanfrancisco starter was the lowest among tested starters. while the titratable acidity(TTA) of the strai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Enterococcus sp.. 2. In bread, moisture contents of control were 38%. It was decreased during 6 days. The moisture contents of bread using Lactobacillus sanfrancisco starter were the highest among tested starters, followed by Enterococcus sp.. 3. Oneset temperature$(T_o)$, peak temperature$(T_p)$ and enthalphy $({\Delta}H)$ were increased during storage of 6 days. The enthalphy of bread using Lactobacillus sanfrancisco starter was the lowest among tested starters, followed by Enterococcus sp..

  • PDF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Sourdough with High Exopolysaccharide Production Ability

  • Jung, Seung-Won;Kim, Wang-June;Lee, Kwang-Geun;Kim, Cheol-Woo;Noh, Wan-Seob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2호
    • /
    • pp.384-389
    • /
    • 2009
  • To isolate lactic acid bacteria having high exopolysaccharides (EPS) production ability, 50 strains were initially isolated from the sourdough. Twenty-one strains formed highly mucoid colonies on the sucrose agar medium, which are indicative of active EPS synthesis. DU-07, DU-10, DU-12, DU-19, and DU-21 produced $11.51{\pm}0.167$, $13.09{\pm}0.193$, $12.72{\pm}0.108$, $11.61{\pm}0.284$, and $13.32{\pm}0.094\;g/L$ EPS, respectively, in MRS medium. The isolated strains, DU-10, DU-12, and DU-21, were identified as Enterococcus flavescens, Enterococcus faecium, and Lactobacillus amylovorus, respectively, by using API 50CHL kit and determining partial sequences of their 16S rDNA. Especially, L. amylovorus DU-21 showed the highest production of EPS, as well as the highest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pathogenic (p<0.05). Interestingly, the L. amylovorus DU-21 seem to be endemic to sourdough fermentations, as they have not been isolated from other environments.

잔트커런츠 발효액과 Sourdough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rdough Bread with Fermented Zante currants Juice)

  • 김영모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9-266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rdough bread with fermented Zante currants juice. The sweetness of fermented Zante currants starter increased while its pH value decreased as time passed. The pH valu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added amount of starter with the lowest pH being recorded at 70% addition. Similarly, bread's moisture was inversely correlated to the added amount of starter with the highest moisture content being recorded at 10% addition. For bread's height, excluding the control, 70% addition turned out to be the highest, and the height decreased as the added amount increased. The oven-spring was similar between the control and 70% addition. For the volume, except the control, 70% addition turned out to be the largest. The larger the specific volume was, the higher the volume of bread got. The br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were decreased as the added amount was increased. For the texture, the control had the highest elasticity and cohesiveness, and they increased as the added amount of starter increased. The hardnes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dded amount, and 70% addition yielded the same result as the control. The adhesiveness appeared only in 10% addition.

건포도 천연 발효액과 호밀 사워도우를 이용한 호밀-밀 혼합빵의 저장 중 저장수명, 수분활성도 및 조직감의 변화 (Changes in Shelf-Life, Water Activity, and Texture of Rye-Wheat Mixed Bread with Naturally Fermented Raisin Extract and Rye Sourdough during Storage)

  • 김문용;전순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0-179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effects on shelf-life extension and prevention of starch retrogradation in rye-wheat mixed bread (RWMB) samples prepared with substitutions of 20, 40, 60, and 80% rye sourdough (RSD) as well as a control made with the addition of naturally fermented raisin extract. These effects were investigated using mold growth, water activit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during a storage period of 8 days at $20^{\circ}C$. The activities of the rye sourdough were examined in terms of pH, total titratable acidity, general bacteria,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counts. As the incubation time of the sour dough increased, pH decreased, while total titratable acidity increased. General bacteria,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counts increased with increasing incubation time. Mold grew on the external surface of the control group after 6 days and on the surface of the RSD bread samples after 8 days, respectively. With regard to water activity, the control group had increasing activity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In addition, the 20, 40, 60, and 80% RSD samples had increasing water activities until the 4th day however, these strongly decreased by the 6th day. In terms of textural characteristics,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hardness increased, while springiness, cohesiveness, and resilience decreas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umminess among the samples. The control, 20, 40, and 60% RSD samples had decreases in chewiness with increasing storage time, however, the 40% RSD sampl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during the storage period. Finally, water activ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hardness (p<0.05).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substituting rye sourdough in rye-wheat mixed bread has a prolongation effect on shelf-life, but no effect on the prevention of starch retrogra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