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ving problems

검색결과 3,824건 처리시간 0.026초

개방형 문제해결학습이 초등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pen-Ende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Learning on Mathematical Creativity and Attitudes of Elementary Students)

  • 서영민;박만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277-293
    • /
    • 2021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방형 문제해결학습을 진행하였을 때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과 수학적 태도에 대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시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9차시의 개방형 문제해결학습을 진행한 뒤 I-STATistics를 활용하여 사전 사후 t-검정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개방형 문제해결학습은 수학적 창의성 신장에 효과가 있었고, 특히 창의성의 하위 요소인 유창성에는 유의미한 결과가 없었지만, 융통성, 독창성 신장에 효과가 있었다. 또한, 개방형 문제해결학습은 수학적 태도 향상에 도움이 되며 특히 하위 요인 중 수학적 태도, 인정욕구, 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개방형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반응을 공유하고 생각을 확장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 현장에서 개방형 수학 문제해결을 활용을 위한 양질의 자료 개발 및 교사 연수를 지속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복합개념상황에서 고등학생들의 문제해결력과 정신용량 (Problem Solving Ability and Mental Capacity of High School Students under Complex Concept Situations)

  • 최혁준;박호진;권재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937-945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이미 해결한 단일개념으로만 구성된 복합개념상황에서 학생들의 문제해결력과 정신용량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과학적 개념이나 원리 하나만 알면 풀 수 있는 문제를 단일개념상황으로 정의하였고 단일개념상황을 2개 이상 결합하여 만든 문제를 복합개념상황으로 정의하였다. 청주시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52명을 대상으로 정신용량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이미 해결한 단일개념상황들의 결합으로 만들어 전 복합개념상황의 문제해결에 있어서는 정신용량이 작은 집단에서만 실패한 학생들이 나타났으며 문제해결에 실패한 학생들의 정신용량이 문제해결에 성공한 학생들의 정신용량보다 낮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 단일개념상황은 해결할 수 있으면서 이와 관련된 복합개념상황의 해결에 실패한 이유의 하나를 문제해결자의 정신용량이 작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Are the Primary School Teachers of the Future Ready to Solve the Word Problems without Algebra?

  • Enver Tatar;Tevfik Isleyen;Muzaffer Okur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9권4호
    • /
    • pp.317-328
    • /
    • 2005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uture teachers' skills that can make problem solving methods concrete for 7-11 year old students. For the students in the concrete operations level, solutions of word problems should also be taught by concreting. But most of teacher candidates can not solve the problems without algebra because they got used to solve the word problems with algebra during their high school and university education. In this study, whether the teacher candidates have the skills of solving the primary school level problems without using algebra or not are being observed. At the end of this observation it is determinated that primary level teacher candidates generally prefer using algebra operations because of their former habits. The results show that in the education of the primary level teacher candidates, there is the need of developing the solving skills using figures and diagrams without algebra rather than algebraic solutions in word problems.

  • PDF

TP를 이용한 개선된 공급체인의 핵심문제 도출 및 해결방향 선정에 관한 연구 : 해병대 공급체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re Problems Deduction and Selection of Solving Direction Using TP : Focus on Marine Corps's Supply Chain)

  • 김갑주;고현우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8-115
    • /
    • 2008
  • Future war needs a lot of changes for military organization. In this circumstance, it is importance the role of the Military Equipment Command Separation (MECS). In case of Korea Marine Corps, in spite of being MECS, Marine Corps has formed supply chain depended on Amy and Navy even it. Thus we proposed a new SCM of Marine Corps with Sense and Response concept. There are many problems and arguments to implement of new SCM. Therefore it is essential solving the problems but we don't know core problems and right solving directions. So, In this study, we present core problems deduction and selection of solving direction using TP(Thinking Process).

High School Students' Problem Solving Approaches on the Concept of Stoichiometry

  • Park, Hyun-Ju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5
    • /
    • 2005
  • This study examined two students' problem solving approaches: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in their problem solving approaches, and the general problem solving strategies (heuristics) the students employed were discussed. The two students represent differences not only in terms of grades earned, but also in term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attention to detail, and approaches to answering questions and problem solving. Three separate problem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 stoichiometry problem; a fruit salad problem; and a limiting reactant problem. Each student was asked individually on three separate occasions to contribute to this study. There are more similarities in the students' problem solving strategies than there are differences. Both students were able to correctly solve the stoichiometry and the fruit salad problems, and were unable to correctly solve the limiting reactant problem. They recognized that an algorithm could be used for both chemistry problems(a stoichiometry problem & a limiting reactant problem). Both students were unable to correctly solve the limiting reactant problem and to demonstrat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Law of Conservation of Mass. Nor did they show an ability to apply it in solving the problem.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ach one's ability to extend what had been learned/practiced/quizzed in class, to a related but different problem situation.

화학 문제 유형에 따른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리 문제 해결력과 개념 이해도 비교 (A Comparison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Algorithmic Problem Solving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by Types of Chemistry Problems)

  • 노태희;강훈식;전경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79-8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유형의 문제(수리 문제, 그림 문제, 문장 문제)를 이용하여 화학 수리 문제 해결력(수리 문제)과 개념 이해도(그림 문제, 문장 문제)를 비교하고 문제 유형에 대한 친숙도와 자신의 답에 대한 자신감 및 선호하는 문제 유형을 조사하였다. 경기도에 위치한 두개의 비평준화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 중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선택 과목으로 화학을 선택한 학생들(N=228)을 선별하여 화학 문제 해결력 검사와 문제 유형에 대한 친숙도, 자신감, 선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수리 문제 성공률이 개념 문제(그림 문제, 문장 문제)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은 그림 문제나 문장 문제보다 수리 문제에 더 친숙하다고 응답했다. 자신감에서는 학생들이 문장 문제보다 수리 문제와 그림 문제에 대해 더 자신 있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호도에서는 그림 문제보다 수리 문제와 문장 문제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문제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분석 (An Analysis of the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on Mathematical Problems)

  • 박만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1호
    • /
    • pp.125-141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에게 초등학교 수준의 좋은 수학문제를 만들고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해 보도록 하면서 예비교사들이 수학문제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A교육대학교 2학년과 3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86명은 자신들이 생각하는 좋은 수학문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예비교사들은 제시한 수학문제에 대하여 초등학교 학생의 해결전략을 예상하고, 초등학교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을 관찰하면서 교사의 전문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좋은 수학문제로 수학 개념이나 알고리즘의 활용, 동기유발, 개방형의 문제의 유형을 선호하였고 일부 전략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들은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심층적인 관찰과 분석 경험이 교사의 문제해결에 대한 전문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교사의 수학 문제해결에 대한 전문성 신장을 위해 예비교사들에게 학생들의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관찰과 질 높은 수학문제의 개발 경험을 제공하고 교과서의 문제와 연계한 양질의 수학문제의 보급을 제안하였다.

유아 수학에서의 문제해결에 대한 이론적 고찰 (Establishing a Theoretical Rationale for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김은정;이정욱
    • 아동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19-331
    • /
    • 2007
  • This review of literature establishes a contemporary meaning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ncluding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sses/assessments and teaching strategies. The contemporary meaning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nvolves complicated higher thinking processes. Explanation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sses of young children include the four steps suggested by $P{\acute{o}}lya$(1957) : understand the problem, devise a plan, carry out the plan, and review/extend the plan. Assessments of children'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nclude both the process and the product of problem solving. Teaching strategies to support children'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nclude mathematical problems built upon children's daily activities, interests, and questions and helping children to generate new approaches to solve problems.

  • PDF

중학교 기하단원의 개방형문제에서 학생의 문제해결과정의 사고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udent's Processes of Problem Solving Using Open-ended Geometric Problems in the Middle School)

  • 고상숙;노지연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303-322
    • /
    • 2007
  •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문제는 주로 정형화된 폐쇄형의 문제로 학생의 문제해결력을 육성하거나 학생의 자주적인 학습을 촉구하는데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문제해결력을 육성하기 위해 개방형 문제를 해결해가는 과정을 폴리아의 문제해결단계를 따라 학생에게 나타나는 학습변화를 관찰하였다. 학생은 문제를 더욱 신중히 읽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단순화하였고 계획수립과정에선 처음엔 익숙하지 않았지만 다양한 방법으로 해결하려는 시도와 체계적으로 되돌아보는 인지과정을 나타냈으며, 실행과정에서는 오류를 통한 계획수립의 재시도가 일어나 통제가 향상되는 과정을 보였다. 반성단계는 점검만하는 수준을 벗어나 다른 해결방법을 무엇인지 등의 반성단계의 필요성을 인식하였고 개방형문제의 실생활 적용과 일반화하는 과정을 통해 문제 해결력이 더욱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초등예비교사의 수학 문장제 해결 도구로서 다이어그램에 대한 초기 관념과 수행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preconceptions and experiences of diagrams in solving math word problems)

  • 임재훈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1-181
    • /
    • 2018
  • 다이어그램은 수학 문장제의 구조를 표현하고 추론을 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하다. 다이어그램에 관한 교사의 관념과 실행은 학생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예비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예비교사들이 다이어그램 관련 역량을 기를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관련하여, 예비교사들이 다이어그램에 대한 어떤 사전 경험과 관념을 가지고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입문하는지, 프로그램을 거치면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프로그램에 어떤 개선이 필요한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그 출발점 작업으로, 교육대학교의 수학교육 프로그램에 입문하는 초등예비교사들의 다이어그램에 대한 관념과 수행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초등예비교사들은 다이어그램 유용성 인식과 다이어그램 교육 의지 영역에서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으나, 수학 문장제 해결에 다이어그램을 자발적으로 사용하고 있지 않았고 학교에서의 다이어그램 학습 경험에서도 부정적인 응답을 보였다. 또, 초등예비교사들이 그린 다이어그램을 분석한 결과, 해를 구하는 추론 (풀이) 과정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을 그린 초등예비교사는 소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이어그램에 관한 경험과 지식이 부족한 상태로 수학교육 프로그램에 입문하는 초등예비교사가 많음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