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ar salt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32초

이론적 고찰 및 현황 진단을 통한 국내 천일염 산업의 발전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olar Salt Industry through Diagnosis of Current Situation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

  • 서보원
    • 수산경영론집
    • /
    • 제44권2호
    • /
    • pp.35-4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velopment of the solar salt industry in Korea. To achieve the objective, the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advancement and competitiveness improvement regarding the solar salt industry, and identified a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solar salt industry. The result showed that to develop the solar salt industry in Korea, production system should be modernized, and distribution system should be changed to get consumer's trust, and it should be informed outstand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solar salt to consumers. Finally, the government and related corporation should push related system and policy such as traceability system to develop the solar salt industry in Korea.

소금의 종류를 달리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s Prepared with Various Salts)

  • 김혁;최차란;함경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2-80
    • /
    • 2007
  • 다양한 소금의 첨가가 제빵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계염, 국산 천일염, 중국산 천일염, 멕시코산 천일염, 구운 소금, 죽염을 첨가하여 반죽과 식빵을 제조하고 각각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Farinograph로 측정한 반죽의 흡수율은 소금의 첨가로 감소하였으며, 기계염의 경우가 흡수율 감소가 작아 가장 높은 흡수율을 나타내었다. 반죽의 면적과 저항면에서는 국산, 중국산, 멕시코산 천일염과 죽염 등이 크게 나타나 우수한 제빵적성을 보였다. Amylograph로 측정한 paste의 최고점도는 기계 염, 천일염, 세척탈수염 첨가군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구운 소금과 죽염 첨가군은 다소 높았다. 식빵의 비용적은 국산 천일염 첨가군이 4.11 mL/g으로 가장 작았으며 멕시코산 천일염 첨가군은 4.85 mL/g으로 부피 증가가 가장 컸다. 빵의 무게는 국산 천일염 첨가군에서 412.4g으로 가장 높아 굽기 손실율 에서 국산 천일염 첨가군(10.34%)이 다른 첨가군(10.91$\sim$11.65%)에 비해 낮았다. 식빵의 색도에서는 국산 천일염 첨가군의 경우 빵 껍질의 명도가 크고 적색도가 낮았고, 빵내부의 황색도는 높았으며, 다른 첨가군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저장 초기의 식빵의 경도는 세척 탈수염 첨가군이 가장 낮았고 중국산 천일염 첨가군이 가장 높았으며 저장기간 1, 3, 5일 경과함에 따라 멕시코산 천일염과 중국산 천일염 첨가군은 경도가 크게 증가했다. 식빵의 관능검사 결과 소금의 종류에 따른 식빵의 내 외부적 제품 특성에서 국산 천일염 첨가군과 멕시코산 천일염 첨가군이 유의적 차이를 보였으며 향, 맛,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Korean Solar Salt Ameliorates Colon Carcinogenesis in an AOM/DSS-Induced C57BL/6 Mouse Model

  • Ju, Jaehyun;Kim, Yeung-Ju;Park, Eui Seong;Park, Kun-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2권2호
    • /
    • pp.149-155
    • /
    • 2017
  • The effects of Korean solar salt on an azoxymethane (AOM)/dextran sodium sulfate (DSS)-induced colon cancer C57BL/6 mouse model were studied. Korean solar salt samples (SS-S, solar salt from S salt field; SS-Yb, solar salt from Yb salt field), nine-time-baked bamboo salt (BS-9x, made from SS-Yb), purified salt (PS), and SS-G (solar salt from $Gu\acute{e}rande$, France) were orally administered at a concentration of 1% during AOM/DSS colon cancer induction, and compared for their protective effects during colon carcinogenesis in C57BL/6 mice. SS-S and SS-Yb suppressed colon length shortening and tumor counts in mouse colons. Histological evaluation by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also revealed suppression of tumorigenesis by SS-S. Conversely, PS and SS-G did not show a similar suppressive efficacy as Korean solar salt. SS-S and SS-Yb promoted colon mRNA expression of an apoptosis-related factor and cell-cycle-related gene and suppressed pro-inflammatory factor. SS-Yb baked into BS-9x further promoted these anti-carcinogenic efficacies. Taken together, the results indicate that Korean solar salt, especially SS-S and SS-Yb, exhibited anti-cancer activity by modulating apoptosis- and inflammation-related gene expression during colon carcinogenesis in mice, and bamboo salt baked from SS-Yb showed enhanced anti-cancer functionality.

전국 염전에서 생산된 갯벌천일염, 함수 및 해수의 중금속 함량 평가 (Evaluation of Heavy Metal Contents in Mudflat Solar Salt, Salt Water, and Sea Water in the Nationwide Salt Pan)

  • 김학렬;유영주;이인선;고강희;김인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7호
    • /
    • pp.1014-1019
    • /
    • 2012
  • 전국 염전에서 생산된 갯벌천일염의 수분함량과 함수 및 염전 저수지 해수에 포함된 중금속(수은, 납, 카드뮴, 비소, 구리) 함량을 평가하였으며, 생산지역에 따른 갯벌천일염의 중금속 함량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갯벌천일염의 수분함량은 7.357%에서 14.862% 범위였으며, 중금속 함량은 생산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비소함량은 0.007 ppm에서 0.497 ppm 수준으로 기준치를 초과한 함량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카드뮴은 불검출에서부터 0.101 ppm, 납은 불검출에서부터 0.191 ppm, 수은은 0.006 ppb에서 0.180 ppb 수준으로 기준치를 초과한 시료는 검출되지 않았다. 천일염의 구리함량은 0.039 ppm 수준에서 4.794 ppm 수준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지역에 따라 다소 높은 수준의 함량이 검출되었다. 염전 저수지 해수에 포함되어 있는 비소함량은 불검출에서 0.474 ppm 수준이었으며, 카드뮴은 불검출에서 0.009 ppm, 납은 0.005 ppm에서 0.038 ppm, 수은은 불검출에서 0.018 ppb, 구리함량은 0.267 ppm 수준에서 3.184 ppm 수준의 범위였다. 전국 염전 함수에 대한 비소함량은 0.012 ppm에서 0.914 ppm, 카드뮴은 불검출에서 0.021 ppm, 납은 0.010 ppm에서 0.094 ppm 수준의 범위였으며, 수은은 불검출에서 0.0221 ppb, 구리함량은 0.372 ppm 수준에서 3.275 ppm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모든 시료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함량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전국 염전에서 생산된 천일염, 함수 및 해수에 포함된 중금속 함량은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되지만 염전 결정지 바닥재로 사용하고 있는 PVC의 잠재적인 위해성을 감안한다면 이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절실히 요청된다.

염전 병행 태양광 발전의 실증과 시뮬레이션 (Salt Farm Parallel Solar Power System:Field tests and Simulations)

  • 박종성;김봉석;김근호;이승민;임철현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7권4호
    • /
    • pp.121-124
    • /
    • 2019
  • In this research, the concept of a salt farm parallel solar power system, which produce salt and electricity at the same site, is proposed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The concept is that large waterproof plates made by interconnected solar modules ar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alt farm. The pilot system was successfully installed at a sea shore, and verified its feasibility as a solar power plant. For deeper understanding, simulations for power prediction of the system were carried out and compared with the field test results. The power generation of the salt farm parallel system is comparable to conventional solar power plants. The cooling effect by sea water contributes more to the increase in the crystalline silicon photovoltaic module performance than the absorption loss due to sea water by maintaining certain height above the module.

국내 염전에서 생산된 갯벌천일염, 함수 및 해수의 가소제(DEHP) 오염 수준 평가 (Evaluation of Plasticizer Pollution Levels in Mudflat Solar Salt, Salt Water, and Sea Water of Nationwide Saltpan)

  • 김학렬;백형희;김인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0호
    • /
    • pp.1460-1466
    • /
    • 2012
  • 전국 25개 지역 염전에서 생산된 갯벌천일염 뿐만 아니라 천일염을 결정하는 함수 및 근원이 되는 염전 저수지 해수를 채취하여 가소제 오염수준을 평가하고, 갯벌천일염 및 염전 결정지 PVC 사용연수에 따른 환경호르몬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천일염의 DEP는 불검출에서 1.55 ppb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DIBP는 불검출에서 2.38 ppb, DBP는 불검출에서 4.90 ppb, DEHA는 불검출에서 2.32 ppb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BBP는 불검출에서 1.45 ppb 수준으로 무시할 정도의 수준이었다. 천일염을 생산하는 염전에서 결정지 바닥재로 PVC 장판을 사용하면서 최근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DEHP는 천일염을 생산하는 지역에 따라 불검출에서 268.5 ppb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천일염에 0.268 ppm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인체 안전성을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MP, DPrP, DNPP, DNHP, DCHP는 모든 시료에서 불검출 되었다. 전국 염전 저수지 해수 및 함수에 포함된 프탈레이트는 무시할 정도의 수준이었으며, 염전 저수지 해수에 대한 DEHP는 불검출에서 3.4 ppb 수준, 함수는 불검출에서 21.4 ppb 수준을 나타내어 불검출 수준이었다. 또한 염전 결정지 PVC 장판 사용기간에 따른 환경호르몬(DEHP) 오염여부가 의심됨에 따라 장판 사용 년수와 천일염에서 검출된 DEHP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r=0.0362의 낮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한국 식용 천일염 시장규모 전망에 관한 연구 (A Forecasting on the Market Size of Korean Solar Salt)

  • 최병옥;김배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4812-4818
    • /
    • 2013
  • 본 논문은 한국의 식용 천일염 수요 및 공급 규모를 예측한 내용을 담고 있다. 2007년 염관리법 규정에 의해 식용으로 허용된 천일염은 그 이전에는 광물로 분류되어있었기 때문에 식용 천일염 관련 별도의 연도별 통계자료가 정비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최근 식용 천일염에 대한 소비자 수요증대와 더불어, 산업계에서 시장규모 파악 및 그 성장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이 연구는 식용 천일염 수급 추정을 위한 관련 자료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생산을 위한 기후여건, 생산업체 현황, 소비추세, 수출입 동향 등을 고려하여 식용 천일염 수요 및 공급규모를 예측하였다. 연구결과, 2013-2017년 동안 생산량은 222-384천 톤 수준, 수입량은 498-565천 톤, 수출량은 2.67-3.62천 톤, 소비량은 767-996천 톤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었다.

천일염 함유 청국장의 항산화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Chungkukjang Preparation by Adding Solar Salt)

  • 이재준;김아라;장해춘;이명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38-24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천일염의 아직 밝혀지지 않은 기능성과 청국장의 효과를 감안하여 천일염으로 제조된 청국장의 기능적 우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Bacillus subtilis DJI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무염청국장, 3% 천일염 첨가 청국장, 3% 정제염 첨가 청국장과 3% 정제염이 첨가되어진 시판청국장의 에탄올, 물 및 헥산 추출물의 항산화력을 비교 검토하였다. 청국장 에탄올, 헥산 및 물 추출 수율은 각각 $10.9{\sim}11.8%$, $15.7{\sim}16.9%$, $18.6{\sim}19.4%$ 범위로 청국장 용매별 간에는 서로 유사한 경향이었으며, 물 추출 수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추출물의 DPPH에 대한 전자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linoleic acid에 대한 과산화물가 및 항산화지수 측정에 의한 항산화효과는 에탄올 추출 시료군이 물 추출 시료군에 비하여 높았다. 청국장 추출물의 전자소거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은 무염청국장과 3% 천일염 첨가 청국장 추출물이 가장 우수하였으나, 합성항산화제에 비해서는 낮은 효능을 보였다. 청국장 추출물 중 항산화지수는 3% 천일염 첨가 청국장 추출물이 가장 우수하였다. Bacillus subtilis DJI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청국장인 무염청국장, 3% 천일염 첨가 청국장 및 3% 정제염 첨가 청국장이 시판청국장에 비하여 항산화효과가 우수하였으며,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청국장 중 무염청국장과 3% 천일염 첨가 청국장이 3% 정제염 첨가 청국장에 비하여 항산화효과가 다소 우수하였다.

여러 종류의 소금으로 제조한 새우젓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alt-Fermented Shrimp Prepared with Various Salts)

  • 이강덕;최차란;조정용;김학렬;함경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3-59
    • /
    • 2008
  • 본 연구는 여러 종류의 소금(한국산 천일염, 정제염, 함초 해수농축염, 함초 스프레이 천일염, 해수농축염, 분무건조염)을 사용하여 제조한 새우젓의 발효과정 중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발효 60일까지는 분무건조염으로 제조한 새우젓의 암모니아태 질소의 함량이 다른 소금에 비하여 낮은 값을 보였으며 아미노태 질소 역시 발효기간 동안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발효 90일에는 함초 성분이 포함된 소금으로 제조한 새우젓의 아미노태 질소 값이 약 980 mg%로 가장 높았고 분무건조염은 680 mg%로 가장 낮아 소금 종류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아미노태 질소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그 차이가 감소하였다. VBN은 발효 14일부터 60일까지 분무건조염으로 제조한 새우젓이 다른 시료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으며 TMA는 발효 180일 후 정제염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어 소금의 종류에 따라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180일 동안 발효시킨 새우젓을 대상으로 실시한 관능평가의 결과 짠맛, 전체적인 맛, 전체적인 기호도 등에서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고, 천일염 및 가공염으로 제조한 새우젓이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정제염으로 제조한 새우젓에 비해 높게 평가되었다.

천일염 이력추적제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참여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nsumers' Perception and Intention to Participation for Solar Salt Traceability System)

  • 서보원
    • 수산경영론집
    • /
    • 제45권2호
    • /
    • pp.15-28
    • /
    • 2014
  • Concern about food safety among consumers is very high at the moment, because many problems related to food safety have occurred, such as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BSE). To improve consumers' reliability about food safety issue, government in every country have tried to set various food policy, and the Korean government has also tried to set consumers at ease about their diet, for instance, food traceability syste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fine consumer perceptions and intention to participation for solar salt traceability system. As the results, consumers generally have positive perception about solar salt traceability system, and the study identifies that attitude, reliability and availability significantly influence intention to participation for solar salt traceability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