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oil burial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4초

반복재하에 의한 고막껍질-풍화잔류토 혼합토의 변형 특성 (Characteristics of Shell-Residual Soil Mixture Deformation by Cyclic Loading)

  • 장용채;서지웅;이승은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8호
    • /
    • pp.47-55
    • /
    • 2009
  • 본 연구는 해양부산물로 발생되는 고막껍질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매립이나 성토재료로 활용되고 있는 황토에 혼합 적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건설재료의 대체재료로 활용성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황토를 조립재료인 고막껍질과 혼합하여 반복삼축시험을 통하여 역학적인 특성을 알아보았다. 고막껍질-황토 혼합토의 혼합비율은 중량비를 이용하였으며 황토에 고막껍질을 일정한 함유율로 혼합한 고막껍질의 혼합비율은 5종류로 하고 각각의 혼합토에 대해 반복삼축시험을 실시하였다. 반복삼축시험 결과 고막껍질 치환 함유율이 20.0% 이상인 혼합토에서 액상화저항성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막껍질-황토 혼합토의 액상화 저항성을 증대시키고자 약간의 유리섬유를 첨가 하여 입증하였다.

토질 특성에 따른 가축사체 매몰지의 악취 저감 연구 (The Effect of Soil Characters on Removal of Odorous Gases during Carcasses Degradation with Efficient Microorganisms)

  • 김현숙;박수정;정원화;;이상섭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77-28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구제역으로 인해 발생된 가축사체 매몰지의 조기 안정화를 위하여 유용 미생물 KEM을 사용하였고, 토질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매몰지 모형의 반응기를 통해 연구하였다. 반응기는 랩 스케일로 제작하였고, 토질 특성에 다양성을 주기 위하여 일반 토양, 20%의 사토와 섞은 일반 토양, 20%의 점토와 섞은 일반 토양을 각각 준비하였다. 각각의 토양과 유용 미생물 KEM과 섞은 후 사체를 매몰하였다. 분석 대상 악취 성분은 총 8가지로 이산화탄소, 메탄,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황화수소, 메칠메르캅탄, 황화메틸과 이황화메틸이었다. 악취 분석 결과 황화수소와 메틸메르캅탄은 사토를 적용한 반응기에서 저감 효과를 보였고(각각 배출 잔량 0.09, 0.35 mg), 암모니아와 트리메틸아민은 점토를 적용한 경우 저감 효율이 높았다(각각 배출잔량 0.31, 2.06 mg). 이에 근거하여 사토는 황 화합물 악취 저감에, 점토는 질소 화합물 악취 저감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토질의 특성에 따라 우점화된 미생물의 군집과 분포도가 변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반 굴착 시 지반 거동에 따른 매설관 손상 평가 (Damage Assessment of Buried Pipelines due to Deep Excavation-Induced Ground Movements)

  • 유충식;최병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765-774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a damage assesment method for buried pipelines subjected to Deep Excavation-induced ground movements. Ground deformation characteristics resulting from 3D finite element analysis was represented mathematically by a hyperbolic tangential function. A parametric study was performed on excavation depth and burial position of pipeline. The result of the parametric study indicate that length of hyperbolic tangential function affects the results of damage assessment. Using numerical studies for buried pipeline response to ground movements by relative flexibility of the pipe-soil system. The result of numerical studies are presented in forms of design charts which can be readily used for various condition encountered in practices.

  • PDF

Pot-Test에 의한 Poly-$\beta$-Hydroxybutyrate의 생분해성 평가 (Assesment of Biodegradability of Poly-$\beta$- Hydroxyvbutyrate by Pot-Test)

  • 손대주;김희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79-384
    • /
    • 1997
  • The biodegradable characteristics of poly-$\beta$-hydroxybutyrate(PHB) film by fun맥 and soil burial are Investigated. As the results of the American Standards for Testing and Materials(ASTM) method, the you of Aspergillus niger was apparent on the PHB containing plate. This suggests that PHB was utilized as the sole carbon source by Aspergillus niger and ASTM method may have applications as measuring means of biome gradability of polyhydroxyalkanoic acid(PHA). PHB film was studied by monitoring the time-dependant changes in weight loss of PHB film under 30% and relative humidity 80 % during pot-test. As the results of pot-test, PHB film was decomposed about 87 % in 30 days by soul microorganisms. PHB film was more slowly degraded than PHB/HV film.

  • PDF

부자재가 돼지 사체 퇴비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mendments on Composting of Swine Carcass)

  • 홍지형;최병민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5-52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for the livestock for the livestock carcass composting operation in agricultural waste management. Burial, landfilling and incineration of livestock carcass may have environmental regulatory and economic liabilities. Dead animals amended with agricultural residues can be composted and used to promote soil fertility and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of amendments on the primary and secondary composting reaction and stability of compost. The full-scale composting bin of swine carcass in roofed system with three amendments was adequate in reaching sufficient temperature above 55$^{\circ}C$ long enough to kill the pathogen.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compost material in dead swine amended with corn stover increased rapidly to 64$^{\circ}C$ on the 2nd day after primary composting and dropped to near ambient temperature on the 140th day of composting. The composting with of corn stover and wheat straw are more efficient for swine carcass composting than that of sawdust. Therefore, the amendment property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design of composting facility.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pipe location on the bearing capacity

  • Bildik, Selcuk;Laman, Mustafa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8권2호
    • /
    • pp.221-235
    • /
    • 2015
  • A series of laboratory model tes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uried pipes location on the bearing capacity of strip footing in cohesionless soil. The variables examined in the testing program include relative density of the sand, loading rate of tests, burial depths of pipe and horizontal distance of pipe to footing. The test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bearing capacities when embedment ratio of pipe and horizontal distance of pipe to footing were increased. Based on the test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location of pipes and relative density of sand are main parameters that affect the bearing capacity of strip footing. However, loading rate has not considerable effect on bearing capacity.

미끼식물을 이용한 화상병 감염 기주 매몰지 내 화상병균 제거 효율 검증 및 병 재발 모니터링 (Monitoring the Reoccurrence of Fire Blight and the Eradication Efficiency of Erwinia amylovora in Burial Sites of Infected Host Plants Using Sentinel Plants)

  • 박인웅;송유림;응우옌 트렁 부;오엄지;황인선;함현희;김성환;박덕환;오창식
    • 식물병연구
    • /
    • 제28권4호
    • /
    • pp.221-230
    • /
    • 2022
  • Erwinia amylovora에 의해 발생하는 화상병은 2015년에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된 이후 2021년 기준으로 전국 22개 지역으로 전파되었다. 우리나라는 식물방역법에 따라 화상병이 발생한 사과 및 배 과원은 발생주율을 기준으로 모든 기주식물들을 완전히 제거하여 구덩이에 매몰처리한다. 이후, 3년간 화상병균 전파를 막기 위해 매몰지 위에 기주식물 식재를 금하고 있다. 매몰처리법에 의한 화상병균 박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화상병 감수성 식물을 미끼식물로 이용하여 매몰지에 식재 후 화상병 재발 유무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부터 2021년에 매몰처리한 경기도 안성시와 충북 충주시 소재 매몰지 3곳을 선정하여 미끼식물 감시시설을 설치하였다. 화상병 감수성 식물인 사과(부사)를 미끼식물로 선정하고, 각 감시시설당 5주를 식재하였다. 감시시설은 울타리와 그물로 격리하였다. 또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한 CCTV와 동작감지기, 그리고 현지 기상상황을 기록하는 센서를 설치하였다. 감시시설을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육안으로 화상병 발병 유무를 확인하였다. 미끼식물로부터 화상병 의심 증상을 나타내는 표본을 채취하고 화상병균 특이적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과 conventional PCR을 통해 화상병균 감염 유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현재까지 어떠한 미끼식물에서도 화상병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매몰 후 화상병 기주식물 3년 식재 금지 조항을 완화하는 근거로 본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국내 과수산업과 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실험용 매몰지 침출수의 대사체물질 농도변화 (Concentrations of metavolite in the leachate from pilot scale burial)

  • 전태완;박호연;황동건;강영렬;김용준;장미정;신선경
    • 분석과학
    • /
    • 제31권5호
    • /
    • pp.185-194
    • /
    • 2018
  • 2010년 11월말 5번째 구제역이 발생하여 가축 매몰지로 인한 악취물질, 지하수, 음용수 등에 2차 환경오염 발생 가능성에 대한 문제제기 등 환경영향 저감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축종별, 토성별 파일럿 규모 가축매몰지 5기를 설치하여 2012년 2월부터 2015년 2월까지 약 3년 동안 침출수를 채취하여 90 항목을 분석하였으며, 매몰사체의 유기물 분해특성, 사체관련 미량원소 특히 대사체 물질 농도변화, 사체분해정도 등을 정밀 조사하였다. 그 결과 비소, 카드뮴 등 대부분의 중금속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토성에 따른 축종별 분해정도를 파악한 결과 돼지보다는 소가 더 빨리 분해되고 사질 > 식양질 > 사양질 토양 순으로 사체분해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조선왕릉 태조 건원릉 내 석물의 훼손 특성 분석 (Analyzing Characteristic of Deterioration Status for Stone Properties in the Tae-Jo Geonwolleung of the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 이미혜;이명성;전유근;이태종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4호
    • /
    • pp.62-73
    • /
    • 2015
  • 세계문화유산인 조선왕릉 중 태조 건원릉은 조선 제1대 임금인 태조 이성계의 무덤으로 다양한 종류의 석물이 배치되어 있다. 모든 석물들은 중립질 흑운모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위치에 따라 훼손형태 및 손상도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석물의 훼손도를 평가한 결과, 주요 훼손 양상은 물리적 훼손과 생물 오염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에서 박리박락, 탈락, 입상 분해와 같은 물리적 훼손 유형은 봉분 석재와 주변 석물이 유사한 발생 빈도를 나타내지만 토사, 선태류, 초본식물 및 보수 물질의 비율은 봉분 석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봉분에서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토양 및 수분, 지면과의 거리 및 일사량 저하 등으로 수분의 지속시간이 증가하여 물리적 및 생물학적 훼손이 주변 석물에 비해 빠르게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건원릉 석물의 훼손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수분 제어와 함께 봉분 석재를 중심으로 생물의 제거가 요구되며 물리적 훼손이 심한 부재는 강화처리 및 접착 등 물리적인 보강이 필요하다.

수침고목재의 흑화 원인과 제거방법에 관하여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and Removal the Cause of Blacken Effect of Waterlogged archaeological woods)

  • 양석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0권
    • /
    • pp.413-430
    • /
    • 2007
  • 우리나라 저습지에서 출토되는 목제유물은 대부분 흑갈색을 띠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매장 환경의 주체인 토양성분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주 동림동 저습지 유적과 창녕 송현동 고분군 내의 토양성분을 비교 분석한 결과 두 유적 모두 Si, AI, Fe 등의 함유량이 높게 나타난 바가 있다. 또한 신안선과 광주 동림동 및 창녕 송현동 고분 출토 목재의 무기물 분석에서도 모두 토양의 주성분인 Si보다 Fe의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성분과 함유량에 있어서도 유사함을 보였다. 출토지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Fe 함량에서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은 일반적으로 매장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근거자료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그 중 Fe는 목재의 열화로 생성된 타닌과 반응하여 타닌산 제I철이 되고, 산소와 결합하여 타닌산 제II철이 되므로 흑색을 띠게 된다. 이러한 목재흑화의 주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 Fe은 EDTA를 사용하여 킬레이트 화합물을 형성함으로써 제거가 가능하다. EDTA를 통해 흑화된 목재에서 Fe을 제거하는 실험을 한 결과 EDTA-2Na가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72시간 동안 반응 후 용액을 제거하고 다시 EDTA와 반응시켜 Fe을 제거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으로 흑화현상을 제거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