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ftware policy

검색결과 810건 처리시간 0.023초

SW정책변수간 구조분석을 통한 SW기술인력 대우정책 연구 (A Study on the Policy for Improving Treatment of Technical Manpower in Software Industry based on the Structure Analysis between Variables about Software Industry Policy)

  • 노규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4호
    • /
    • pp.35-46
    • /
    • 2010
  • SW산업의 생산요소는 인적자원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SW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핵심요소는 인적자원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IT 산업 현장에서의 SW인력에 대한 경제적 대우나 사회적 가지는 제대로 인정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SW산업 육성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그러나 정부의 SW산업 육성정책은 대부분 기업의 국내 시장조성, 국제 경쟁력 제고, 중소벤처의 경쟁기반 강화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핵심요소인 인력에 대한 정책은 소외되어 온 게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SW기술인력에 대한 정책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현 SW산업정책의 분석과 이의 개선을 위한 정책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의 중점은 SW산업 정책 관련 주요변수들 간의 구조관계분석에 있으며, 이 구조관계분석을 통해 증명된 내용을 토대로 SW인력의 처우개선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 PDF

소프트웨어 최적출하정책의 베이지안 접근방법 (A Bayesian Approach to Software Optima I Re lease Policy)

  • 김희수;이애경
    • 한국신뢰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뢰성학회 2002년도 정기학술대회
    • /
    • pp.273-273
    • /
    • 2002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a software release policy with software reliability growth factor during the warranty period by assuming that the software reliability growth is assumed to occur after the testing phase with probability p and the software reliability growth is not assumed to occur after the testing phase with probability 1-p. The optimal release policy to minimize the expected total software cost is discussed. Numerical examples are shown to illustrate the results of the optimal policy. And we consider a Bayesian decision theoretic approach to determine an optimal software release policy. This approach enables us to update our uncertainty when determining optimal software release time, When the failure time is Weibull distribution with uncertain parameters, a bayesian approach is established. Finally, numerical examples are presented for illustrative propose.

  • PDF

조직성숙도와 조직성과 간의 소프트웨어 정책의 효과분석 (The Moderating Effects of Software Policy between Organizational Capability Matur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 오원근;김인재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5-7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oftware policy shows the moderating effects between organizational capability matur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software policy includes the proportions of development personnel and development budget that can affect organizational performance. It is important to empirically identify whether the ratios of budget and personnel, which are some of the main policy indexes of the organization can promo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matur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se personnel and budget may be assumed to affec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apability matur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moderating effects of software policy are partially proved. The two policy indexes, personnel ratio and budget ratio, showe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process implement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did not show any moderating effect between quantitativ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is because the companies participating in the survey are still in the early stages of quantitative process management and quantitative management does not show the differentiated results among the participating organizat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the academic aspec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matur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examined empirically, and it was analyzed whether the two adopted policy indicators have a moderating effect between organizational matur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n the practical side, the analysis suggested that the ratios of budget and personnel emphasized by the government or organization played a role of facilitating the organizational matur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MMi 기반 자동차 제어 SW 테스팅 프로세스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Automobile Control Software Testing Process Based on TMMi)

  • 장진욱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59-169
    • /
    • 2009
  • The issue of method of software testing process implementation has recently been in the spotlight in korea and some vendor make every effort to improve the software testing process through the evaluation of TMMi. The level of software process is at initial level, nevertheless, so the high quality of software is not guaranteed. This paper apply to the TMMi Level2 Assessment criteria of Automobile control software testing process. The test policy and strategy, test planning, test monitoring and control, test design and execution, test environment goal. The result need to emerge development process connection on the test policy and strategy process, test planning process etc. Also, the study analyzed the infra structure to reach the repeated level via key process area. As the result the process implementation in organization suggests the policy development and the implementation activity. Finally, the practical can refer to this paper in order to implementation the software testing process.

소프트웨어의 테스트 회수(回數)를 이용한 최적방출정책(最適放出政策) (Optimal Release Policy for a Software System using Number of Software Test)

  • 고현우;황의철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7-35
    • /
    • 1989
  • Software developers often allocate a significant amount of effort to software testing. But for most business-related software system it is natural to expect the continued discovery of defects after the software system is released into field. Such defects are usually very expensive to fix and have the potential to cause great damages to the users. It is important to stop testing the software and release it to the users at the correct time.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number of software test oy minimizing a total expected software cost. A numerical example is used when the criterion is the expected profit.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proposed software release policy based on the number of software test can be a good alternative to the existing policy.

  • PDF

생산성 비교분석을 통한 SW기술인력의 가치제고 정책 연구 (A Study on the Policy for Improving Value of Technical Manpower in Software Industry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roductivity)

  • 노규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2호
    • /
    • pp.1-12
    • /
    • 2010
  • 근래들어 정보기술이 한국의 경제성장에 지대한 공헌을 해왔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아무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것이다. 특히 소프트웨어는 대부분의 제품과 서비스의 핵심부품으로서 역할을 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산업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핵심요소인 소프트웨어기술인력에 대한 경제적 대우와 사회적 지위는 매우 취약한 상황이다. 이와같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소프트웨어 인력의 생산성에 관한 토론과 연구, 소프트웨어산업의 기술인력의 가치제고에 관한 접근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소프트웨어산업의 기술인력의 가치제고를 위한 정책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이 논문은 소프트웨어인력의 실태 조사 및, 소프트웨어기술인력의 생산성 분석을 토대로 소프트웨어 분야 기술인력의 가치제고를 위한 정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중국 소프트웨어 지원정책이 중국 소프트웨어 수출액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the China government's software support policy on the revenue of software export)

  • 최정호;장영안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4호
    • /
    • pp.875-886
    • /
    • 2016
  • 본 논문은 지표분석법을 활용하여 중국 정부의 소프트웨어 지원정책이 소프트웨어 수출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08년부터 2014년까지 기술개발, 인력양성, 품질관리, 마케팅강화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연도별 정책영향력과 소프트웨어 수출액이 비슷한 모양으로 증가하였으며, 이것은 중국 정부의 소프트웨어 지원정책이 소프트웨어 수출액에 정비례적인 효과가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다만, 중국 소프트웨어 수출액이 소프트웨어 총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년 하락했으며, 이것은 중국 소프트웨어산업이 내수시장 위주로 성장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소프트웨어 지원 정책과 시장추이를 고려하여 한국 정부는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 미래전략산업의 경우 국내 활성화를 바탕으로 중국 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ICT와 제조업, 서비스업간 융합 신사업의 경우 한 중 양국의 비교우위를 결합하여 상호이익이 될 수 있는 적합한 모델구축이 필요하다고 본다.

소프트웨어시장의 경제적 고찰 (A study on S/W Market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 김범환;임광선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53-164
    • /
    • 1998
  •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policy makers and other interested parties with policy implications throughout an economic analysis of software sector. Chapter 2 is designed to provide an overview of market characteristics in the software sector. Chapter 3 reviews an overview of the evolution stage of the software industry and the effects these trends have on firm strategies. Chapter 4 reviews the relationships between software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ome suggestions are offered in the conclusion, with special attention given to an examination of market characteristics, firm strategies, government policies, and some economic factors.

  • PDF

시간 기반 소프트웨어 재활 방식의 가용도 분석 (Availability Analysis of Systems with Time-Based Software Rejuvenation)

  • 이유태;김형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201-206
    • /
    • 2019
  • 소프트웨어 노화에 따른 시스템의 예기치 않은 장애 발생은 재활 기능을 주기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줄일 수 있다. 이 시스템 재활 기능은 주로 시스템이 가장 한가한 시간에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시스템 가용도를 높일 수 있다. 재활 기법은 크게 시간 기반과 조건 기반의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시간 기반 재활은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수행되고, 조건 기반 재활은 시스템 상태가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 수행된다. 조건 기반 방식은 시스템 감시와 정보의 수집 및 통계적 분석을 통해 재활 시점을 추정해야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한다. 본 논문은 시간 기반 소프트웨어 재활 기법을 분석할 수 있는 확률 모형을 제시한다. 제시한 모형은 재활을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시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현실적인 상황을 반영한다. 해당 확률 모형을 수학적으로 분석하여, 정상 상태에서의 시스템 가용도와 사용자 인지 가용도 및 이에 따른 비용을 분석한다.

불완전 디버깅 환경에서의 신뢰성 보증 소프트웨어 양도 정책 (A Software Release Policy Assuring Reliability for Imperfect Debugging)

  • 박중양;김영순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5권5호
    • /
    • pp.1225-1233
    • /
    • 1998
  •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언제까지 테스팅해서 사용자에게 양도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소프트웨어 양도 정책은 개발자가 해결해야 하는 중요한 문제의 하나이다. 이 양도 정책 문제에 대한 일반적인 접근법은 주어진 신뢰성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한 고장 발견수나 테스팅 시간을 결정하는 것이다. 소프트웨어 신뢰성은 잔존 고장수 또는 수정된 고장수에 의존하며, 불완전 디버깅 환경에서는 발견된 고장이 모두 수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불완전 디버깅 환경에서의 양도 정책을 구하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불완전 디버깅 환경에서의 신뢰성 요구사항을 만족하였음을 원하는 신뢰수준으로 보증하는 양도 정책을 제안하고, 이를 구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