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ft drink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42초

서울, 경남 일부지역 가공식품 표시기준에 대한 인지도 및 만족도 조사 (A Survey on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Food Labeling System in Seoul and Geongsangnamdo Area)

  • 주나미;윤지영;김옥선;고영주;정현아;최은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25-531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consumer-centric food labeling system by investigating usage state, importance evaluation, problems and satisfaction, etc. on the current food labeling system by consumer. For usage state of checking the food label, 50.2% of respondents were replied ‘mostly check the label’, and they were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 ‘education level(p<.05)’, and in case of married respondents, most were relied 'absolutely check the label', For the reason to check the food label, 61.8% of respondents were replied 'to determine whether it is stable or not', and they were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 age(p<.01), marital status(p<.01), and job(p<.01). For the item considered as important things on the label of the whole food, 49.8% of respondents were replied that 'expiration and manufacture date is important', and they were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p<.001) on age, marital status, job. For item considered as important things on the label of each food, it was indicated that they considered food company as important thing in case of snack, soft drink, edible oils, and noodles, and food company in case of ice cream, and expiration and manufacture date in case of milk product and meat product. For the problems on the current food labeling system, the clauses 'Poor marking on food additives and materials contents' and 'untrue marking of nutrition contents' were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 age(p<0.05, p<0.001), and the clause 'untrue marking of nutrition contents' were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 marital status(p<.01) and job(p<.01).

단기간 생즙섭취에 따른 혈액지표 및 혈류변화 (Changes in Blood Parameters and Blood Flow Subsequent to a Short-Term Raw Juice Diet)

  • 김선희;임종은;윤미은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6권1호
    • /
    • pp.14-29
    • /
    • 2020
  • Dietary nitrate supplementation from green leafy vegetables and beetroot is involved in the 'nitrate-nitrite-nitric oxide (NO) pathway' and is reported to have important vascular impacts. This study evaluated the blood parameters and blood flow change subsequent to a raw juice diet program. The 28 subjec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raw juice diet program at Sahmyook University were instructed to drink the juice composed of fruits and vegetables instead of partaking the usual meal, at a scheduled time daily. The study was approved by the research ethics council of the Sahmyook University (SYUIRB 2014-043). Evaluation of the participants after the required duration revealed decreased levels of soft lean mass (P<0.05), skeletal muscle mass (P<0.001), body fat mass (P<0.001), body mass index (P<0.001) and circulating levels of total cholesterol (P<0.001), triglycerides (P<0.05), HDL-cholesterol (P<0.01), LDL-cholesterol (P<0.01), and blood urea nitrogen (P<0.001). Conversely, circulating levels of creatinine (P<0.001), hemoglobin (P<0.001), and hematocrit (P<0.01) were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The blood flow levels were also increased after the program (P<0.001). Our results indicate that a short-term raw juice die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vascular blood flow and blood lipid parameters, and decreases the lean muscle mass related to dehydration.

제품관여(製品關輿)가 소비자(消費者) 과정(過程)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Product Involvement on Consumer Purchase Process)

  • 정문영
    • 산학경영연구
    • /
    • 제11권
    • /
    • pp.101-122
    • /
    • 1998
  • 이 연구는 다차원적 관점에 따라 개발된 관여척도를 적용하여 제품관여가 소비자 구매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자료 분석결과, 제품별 분석에서 보다 소비자별 분석에서 '구매전 정보탐색'을 비롯한 구매과정의 행동성향이 관여수준에 더 강하게 의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여수준이 소비자선택행동의 변화를 설명해주는 구조물이며, 제품관여는 소비자가 제품에 관련되는 정도를 반영하는 변수로 인식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동시에, 관여가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이해와 예언에는 관여수준과 함께 관여의 관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시사를 얻었다.

  • PDF

형방지황탕(荊防地黃湯)의 임상적 활용 (The Clinical Utilization of Hyungbangjihwang-tang)

  • 황지호;장은수;유종향;김호석;이시우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42-150
    • /
    • 2008
  • 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improvement in the symptoms of the patients who administrated Hyungbangjihwang-tang. 2. Methods We examined 793 case report forms(CRFs) from six oriental medical hospitals and three regional oriental medicine clinics. These CRFs are recorded from november 2007 to july 2008. All constitutions of cases were diagnosed not only by Sasang constitution experts but also through clinical experiences. The traits of the patients and the effects of their treatment were examined. 3. Results and Conclusion 1. The chief complaints in which the patients showed improvement were Headache, fatigue, lumbago, dyspepsia. 2. The ordinary symptoms in which the patients showed improvement were insomnia, fatigue, constipation, dyspepsia, headache. 3. The average food intake of the patients was normal(65.2%) and their feces had intermediate hardness (semi-soft). The color of their urine was either clear or yellow. 4. The amount of the patients' sweat was appropriate (39.1%) Their water intake was approximately normal, and they preferred drinking the cold water. 5. Among the diseases that the patients previously had chronic gastritis(19.6%) had the highest frequencies. 4. Conclusion: The above results show that Hyungbangjihwang-tang can be considered beneficial to headache, fatigue, lumbargo, insomnia, constipation, dyspepsia patients whose food intake is normal, whose sweat level is either appropriate, who prefer to drink cold water, and who are suffering from chronic gastritis.

  • PDF

전북 일부지역 대학생의 커피섭취 실태 및 인식 (Intake Status and Perception of Coffee by University Students in Some Areas of Jeonbuk Region)

  • 장보미;이제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2-13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urvey on coffee intake habits, preference of coffee and other beverages, and awareness of caffeine in coffee by college students in some areas of Jeonbuk province.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83.9% of subjects drank coffee usually, and males (46.4%) and the females (54.2%) drank coffee at school stores and coffee shops, respectively. Companions to drink coffee with were mainly friends, and frequency of coffee intake was one to two cups daily for males and females. Males and females drank coffee at any time (60.0%) and after lunch (38.7%), respectively. Most males and females drank only coffee without snacks. Males preferred more soft drinks and sports drinks than females, but females preferred more milk and dairy products, tea, and coffee than males. Coffee was consumed most frequently, among several beverages. Reasons for drinking coffee was to prevent sleepiness (64.6%), and to enjoy its taste and aroma (38.0%) for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Male (47.2%) and female (73.5%) subjects could detect caffeine, and most of them could detect caffeine in coffee. Additionally, all subjects agreed that less intake of caffeine was better for their health. Based on the survey of intake habits of coffee, the university students need nutrition education relative to labeling caffeine contents in coffee and intake of caffeine, and need to make an effort to overcome the potential damage of caffeine intake.

일부 대학생의 식품의 영양성분표시에 대한 인지도 평가 (Evaluation of Acknowledgement for Food Nutrition Labeling in College Students)

  • 하귀현;문영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291-300
    • /
    • 2008
  •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별 및 전공에 따라 식품의 영양성분표시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하였다. 가공식품의 구매빈도는 주 3-5회 이상 구매하였으며 남학생은 라면, 우유 및 유가공품의 섭취빈도가 높고 여학생은 과자류, 탄산음료 및 당류의 섭취빈도가 높았다. 식품전공은 주스와 탄산음료,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가 높고 비식품전공은 라면과 과자류, 당류의 섭취가 높았다. 가공식품 구매 시 중요하게 여기는 요인은 성별 및 전공에 관계없이 모두"맛"이었으며 영양표시에 대한 인지도와 확인율이 높은 쪽은 여학생과 식품전공학생이었다. 남학생은 건강을 위하여 영양표시를 확인하고 여학생은 영양소 함량 확인을 위해 영양표시를 확인하였다. 또한 식품전공은 영양소 함량 확인을 위해 영양표시를 확인하였으며 식품비전공은 영양표시가 복잡해서 영양표시를 확인하지 않았다. 영양성분에 대한 지식은 여학생과 식품전공이 높았으며 전체적으로 식품군, 영양소의 기능 및 비타민에 대한 지식점수는 낮았다. 본 연구 결과, 습관적으로 가공식품을 구매하는 태도에서 벗어나 영양표시를 확인하고 구입하여 영양에 대한 관심을 식생활에 응용하고 영양지식을 함양 할 수 있도록 대학생을 위한 영양교육이 요구된다.

한국인의 총당류 섭취실태와 급원식품에 대한 연구 -2001년과 2002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Dietary Intakes and Food Sources of Total Sugars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2002)

  • 정진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sup권
    • /
    • pp.9-21
    • /
    • 2007
  •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total sugar intake for Korean and to identify major food sources contributing to those food components. Korean adults aged over 20 years old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1 and 2002 were selected. The data were analyzed to obtain nationally and seasonally representative information on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Korean. Forty food groups were used in identifying food sources of total sugar and energy intake. Total sugar contents of foods in the KNHANES data sets were estimated by food code matching technique with Release 18 of the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Sample weighted means, standard errors, and population percentages were calculated using SAS and SUDAAN. The mean total sugar intake of the Korean was 60.3g in 2001, 40.9g in spring 2002, 45.7g in summer 2002, and 52.1g in fall 2002, which were 30-44% of intake of US people. Fresh fruit was identified as the most significant food source for total sugar intake in Korean population in all age groups and all seasons. The next major food sources following fresh fruits were candy/jelly/syrup/honey, coffee/coffee caream, vegetables, Kimchi, soft drinks, milk, fruit juice, cookie/cracker/cake, and vegetable juice/grain juice, which showed similar results through the seasons. While carbonated soft drink was the most significant food sources for total sugar or added sugar intakes for US people. The total sugar intak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higher educational level, and residing in metropolitan area. As intake of total sugar increased, intakes of protein, fiber, calcium, phosphorus, iron, Vit A, B1, B2, C, niacin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high intakes of added sugars showed low intakes of some micronutrients in the US people. Percentages of people who consumed nutrients below EAR were less in higher total sugar intake group than in lower intake group. From these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the food consumption habits including the total sugar intake of Korean people seems relatively good so far. More reliable database of total sugar and added sugar composition tables in public domain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and also more researches about total sugar and added sugar for Koreans should be continued.

시중 유통 가공식품 중의 중금속 함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the Commercial Processed Foods)

  • 전옥경;김연천;한선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08-314
    • /
    • 2001
  • 본 연구는 가장 대중적인 가공식품이라 할 수 있는 통조림류, 청량음료류 등에 있어서의 중금속 함량을 분석하고 안전성과 오염 정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0년 3월에서 2001년 2월말까지 서울시내 대형 유통 매장에서 판매 중인 통조림, 청량음료 총 24종 120건을 채취하여 납(Pb), 크롬(Cr), 카드뮴(Cd), 주석(Sn)함량을 측정한 결과, 통조림에 있어서의 납의 평균 함량은 과일통조림이 0.041ppm으로 가장 높았고, 농산물통조림과 수산물통조림은 0.024ppm으로 나타났으며 청량음료류는 과일쥬스류가 0.043ppm으로 가장 높았으며 탄산음료(0.029ppm), 혼합음료 (0.017ppm)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과일 원료인 제품에서 납 함량이 높게 나타난 것은 원료 자체에 의한 영향보다는 과일 유기산에 의한 산도의 증가에 의하여 중금속의 용출이 증가했다는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라 판단 되며, 또한 수산물 통조림의 납 함량이 과일, 채소류 통조림보다도 낮게 나타난 것은 시료로 사용된 참치, 꽁치, 고등어통조림의 경우 이미 가공과정에서 중금속 함량이 높은 내장과 껍질 부위의 많은 부위가 제거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크롬함량의 경우 납과 유사하게 과실 원료인 통조림과 과실쥬스류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이것은 총 크롬 함량이므로 3가 크롬과 6가 크롬의 함량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카드뮴 함량은 통조림과 청량음료의 경우 수산물 통조림을 제외하면 매우 낮은 수준을 나타냈는데 특히 청량음료의 경우 식품위생법상의 기준이 0.1ppm인 것에 비해 점반적으로 수ppb수준으로 나타나 기준으로서의 필요성에 대한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통조림과 청량음료의 주석 함량은 과일 원료인 경우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농산물 통조림의 경우 특히 죽순 통조림의 주석 함량이 매우 높아 최고 61.760ppm을 나타내었는데 죽순 자체의 산도가 높지 않은데도 통조림의 주석 함량이 높은 것은 죽순 가공과정에서 갈변을 방지하기 위하여 처리한 아황산염의 영향으로 산도가 낮아진데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외식과 가공식품의 섭취량이 과거에 비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식생활에 미치는 영양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보다 현실적인 접근방식에 의한 가공식품 전반에 걸친 영양학적 위생학적 평가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식이를 통한 식품첨가물의 섭취량에 관한 연구 - 식용색소적색제2호, 적색제3호 및 적색제40호를 대상으로 - (Estimation of Daily Dietary Intake of Food Red Colors - Food Red No.2, No.3 and No. 40 -)

  • 박성관;이달수;박승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5-80
    • /
    • 2005
  • 본 연구는 식품의 종류, 연령에 따른 3종 식용적색타르색소의 소비실태를 파악하고 식이를 통왜 실제 섭취되는 색소의 총 섭취량을 조사하여 FAO/WHO에서 설정한 일일섭취허용량(ADI)과 비교검토함으로서 ADI 관련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실제 섭취fid과 ADI간 안전수준평가 및 관련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제품 중 빵, 과자, 사탕, 주류, 청량음료, 아이스크림, 껌, 초콜릿 등 총 8종 369품목의 시료를 수집 한 후 분석 대상식품별로 함량을 측정하고 국민영양조사자료에 근거하여 식품의 종류와 연령에 따른 색소별 실제 섭취량을 산출하였다. 시료전처리 후 HPLC법에 따라 정성$.$정량분석을 행하였을 때, 분석 대상식품의 회수율은 85.1∼100.4%로 양호하였다. 분석 된 결과로부터 일일추정 섭취량(EDI)을 산출한 결과, 대상식품별 색소의 총 EDI는 0∼1.632 mg/person/day의 범위이었으며 청량음료에서 가장 높았고, 연령대별 색소의 총 EDI는 0.512∼7.281 mg/person/day의 범 위로 13∼19세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국민영 양조사표의 식품별 1인1일당 섭취량과 색소별 평균검출농도로부터 EDI를 산출하였을 때, 3종의 식용적색타르색소별 총 EDI는 각각 R2 0.742, R3 0.391, R40 2.018 mg/person/day로 각 색소의 ADI를 국민평균체중 55 kg으로 환산한 5.S∼385 mg/person/day와 비교하였을 때 매우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식이를 통한 우리나라 국민의 식용적색타르색소별 일일 추정섭취량은 FAO/WHO에서 평가된 ADI의 0.5∼7.1%이었으며, 총 식용적색타르색소의 섭취량도 ADI 대비 약 0.8%로 식품을 통한 섭취는 안전하다고 판단된다.

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한 심화 연구 : 서유구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epening Through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 Focused on (Imwon-kyungje) of Suwoo-gu)

  • 민병현
    • 산업진흥연구
    • /
    • 제3권1호
    • /
    • pp.49-60
    • /
    • 2018
  • 문화콘텐츠는 '창조의 결과물'이기도 하지만 창조와 실천, 그리고 차이의 이해가 이루어지는 '과정'이기도 하다. 따라서 콘텐츠는 융복합지식의 콘텐츠 대중적이면서도 감성과 지식을 채워주는 질 좋은 콘텐츠를 선정해야 한다. 동아시아 인문주의 창제자인 공자는 의식주의 철학과 조선 후기 식생활에 영향을 끼쳤다. 공자는 조선시대 선비들에게 유학뿐만 아니라 음식관에서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중 정조지(鼎俎志)"는 음식과 요리에 대한 백과사전으로 7권 4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음식의 재료, 조리법, 효능 및 금기 등을 다루고 있다. 여기에는 육류요리, 채소요리뿐만 아니라 청량음료 달인음료 등의 각종 음료나 꿀과자 설탕과자 등의 과자류, 그리고 술 빚는 방법까지 천 여 가지의 레시피를 자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그가 72세까지 살아오면서 자기 인생을 되돌아보면서 무엇을 조심하고 어떻게 잘 해야 하는지 일반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는 언급하고 있다. 공자의 일상에서 기록해 온 식문화가 조신시대까지 이어와 영향을 받은 풍석 서유구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를 통해 동양의 식문화에 대한 재미있는 이야기들을 대중적으로 접근하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