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ium lactate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6초

아질산염의 대체제로 고분자 키토산의 첨가가 저지방 소시지의 냉장 저장 중 이화학적 성상 및 미생물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valua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of Chitosan as a Replacer of Sodium Nitrit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Changes of Low-fat Sausage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진구복;오미영;박성용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4호
    • /
    • pp.563-574
    • /
    • 2006
  • 본 실험은 아질산염의 대체제로서 키토산과 젖산나트륨을 이용하여 저장성과 발색도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저장성에서는 아질산염의 대체제로서 젖산나트륨과 비교하여 저장 기간 중 차이점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색도에서는 아질산염을 첨가한 시료에 비해 키토산과 젖산나트륨을 첨가한 시료의 적색도가 많은 차이를 보임으로써 키토산에 의한 아질산염의 완전대체는 불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접종한 Listeria monocytogenes는 아질산염 및 젖산나트륨과는 유사한 항균효과를 보여주고 있어서 키토산의 항균효과는 나타난 것으로 평가되며 앞으로 아질산염을 대체할 수 있는 천연소재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식용 버섯류의 무기물 함량 (Studies on the Mineral Content of Edible Mushrooms)

  • 허윤행;김옥경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9-135
    • /
    • 1991
  • To investigate on the trace element content of twelve edible mushrooms and Aloe arborescens, i. e., Lentinus edodes, Ganoderma lucidum (culturing in wood and soil), Tricholoma matsutake, Agaricus bisporus, Cyrophora esculenta, Auricularia auricula-Jude (produced in Korea and China), Sarcodon asparatus, Pleurotus ostreatus, Coriolus versicolor, Smilax rotundifolia and Aloe arborescerts were analyz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meter. The obtained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Potassium, sodium, magnesium and iron content for the most part samples were in large quantities, especially phosphorus content of those was highest ammount for the all samples. 2. Sodium content was much ammount in the Lentinus edodes (39mg) and Ganoderma lucidurn (20 mg), Culturing in wood and soil, while potassium was very high ammount in the Aloe arborescens and other samples. Mush ammount of magnesium as compared with others was Lentinus edodes (144mg), Ganoderma lucidurn (128mg), Aloe arborescerts (50mg) and pleurotus ostreatus (60mg). Phosphorus content of Ganoderma lucidurn, Lentinus edodes, Gyrophora esculenta, Auricularia polytricha and Agaricus bisporus was much ammount while iron content of all samples equality higher ammount. Sodium content of Aloe arborescens was not analyzed out for almost all, its potassium (82mg), magnesium (50mg) and iron (18rng) content comparatively higher quentity than others minerals and phosphorus volume (4.9mg) as compared with others, was conspicuously lower detect. 4. Cadimium and lead content of harmful metal element were detected on trace quentity for the most part samples 5. Organic acids of samples i.e., Legtinus edodes, Agaricus bisporus, Pleurotus ostreatus and Ganoderma lucidum were Citrate, Malate, Fumalate, Succinate, Oxalate, Acetate, Lactate, and Tartarate and Citrate, Malate and Fumarate contents were higher amount remarkbly than other organic acids. Tartarate content was trace amount.

  • PDF

백합(Meretrix meretrix) 식해에서 분리한 Pediococcus pentosaceus SH-10에 의한 병원성 세균의 억제 기작 (Inhibition of Pathogenic Bacteria by Pediococcus pentosaceus Strain SH-10 Isolated from Hard Clam Meretrix meretrix Sikhae)

  • 신동민;김희대;구재근;박권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600-605
    • /
    • 2012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echanism of inhibition of pathogenic bacteria by Pediococcus pentosaceus strain SH-10 isolated from hard Clam Meretrix meretrix sikhae. When P. pentosaceus SH-10 was co-cultured in MRS broth with pathogenic bacteria, including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choleraesuis and Staphyloccus aureus, no viable pathogenic cells were detected after 18 h of incubation. However, pediocin or a pediocin-like bacteriocin was not detected in cultures of P. pentosaceus SH-10 by the agar diffusion method. Organic acids were produced in MRS broth in proportion to the incubation time of P. pentosaceus SH-10.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 pentosaceus SH-10 inhibited the growth of pathogenic bacteria by lowering the pH of the growth medium through the production of organic acids, including sodium lactate, sodium acetate, and sodium citrate.

재조합 대장균에서 새로운 코엔자임 에이 트랜스퍼레이즈를 이용한 젖산을 모노머로 함유한 폴리하이드록시알칸산 생산 연구 (Biosynthesis of Lactate-containing Polyhydroxyalkanoates in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by Employing New CoA Transferases)

  • 김유진;채철기;강경희;오영훈;주정찬;송봉근;이상엽;박시재
    • KSBB Journal
    • /
    • 제31권1호
    • /
    • pp.27-32
    • /
    • 2016
  • Several CoA transferases from Clostridium beijerinckii, C. perfringens and Klebsiella pneumoniae were examined for biosynthesis of lactate-containing polyhydroxyalkanoates (PHAs) in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XL1-Blue strain. The CB3819 gene and the CB4543 gene from C. beijerinckii, the pct gene from C. perfringens and the pct gene from K. pneumoniae, which encodes putative CoA transferase gene, respectively, was co-expressed with the Pseudomonas sp. MBEL 6-19 phaC1437 gene encoding engineered Pseudomonas sp. MBEL 6-19 PHA synthase 1 ($PhaC1_{Ps6-19}$) to examine its activity for the construction of key metabolic pathway to produce poly(3-hydroxybutyrate-co-lactate) [P(3HB-co-LA)]. The recombinant E. coli XL1-Blue expressing the phaC1437 gene and CB3819 gene synthesized poly(3-hydroxybutyrate) [P(3HB)] homopolymer to the P(3HB) content of 60.5 wt% when it was cultured in a chemically defined medium containing 20 g/L of glucose and 2 g/L of sodium 3-hydroxybutyrate. Expression of the phaC1437 gene and CB4543 gene in recombinant E. coli XL1-Blue also produced P(3HB) homopolymer to the P(3HB) content of 51.2 wt% in the same culture condition. Expression of the phaC1437 gene and the K. pneumoniae pct gene in recombinant E. coli XL1-Blue could not result in the production of PHAs in the same culture condition. However, the recombinant E. coli XL1-Blue expressing the phaC1437 gene and the C. perfringens gene could produce poly(3-hydroxybutyrate-co-lactate [P(86.4mol%3HB-co-13.7 mol%LA) up to the PHA content of 10.6 wt% in the same culture condition. Newly examined CoA transfereases in this study may be useful for the construction of engineered E. coli strains to produce PHA containing novel monomer such lactate.

키토산과 유기산염 첨가가 배추김치의 저장성과 펙틴분획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tosan and Organic Acid Salts on the Shelf-life and Pectin Fraction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 이지선;이혜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19-327
    • /
    • 2000
  • 배추김치에 0.25% chitosan, 0.5% chitosan, 0.5% chitosan+0.04M Na-malate, 0.5% chitosan+0.04M Na-lactate, 0.5% chitosan+04M Na-citrate를 첨가하여 김치의 숙성 과정 중 pH, 산도, pH/TA ratio, ascorbic acid 함량 및 Pectin질의 변화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김치의 숙성과정 중 pH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조군, 0.25% chitosan 첨가군, 0.5% chitosan 첨가군, 0.5% chitosan+Na-citrate 첨가군, 0.5% chitosan+Na-malate 첨가군, 0.5% chitosan+Na-lactate 첨가군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2. 김치의 숙성과정 중 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조군, 0.5% chitosan+Na-malate 첨가군, 0.25% chitosan 첨가군, 0.5% chitosan+ Na-citrate 첨가군. 0.5% chitosan 첨가군, 0.5% chitosan+Na-lactate 첨가군의 순으로 증가하였다. pH/TA ratio는 김치의 숙성 중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조군, 0.25% chitosan 첨가군, 0.5% chitosan+Na-malate 첨가군, 0.5% chito-san+Na-citrate 첨가군, 0.5% chitosan+Na-lactate 첨가군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3. Ascorbic acid 함량은 3일째에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0.5% chitosan에 유기산염 병용첨가군이 다른 군들보다 월등히 높았다. 그 후 숙성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다. 4. AIS 함량의 변화는 숙성기간이 지날수록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조군, 0.25% chit-osan 첨가군, 0.5% chitosan 첨가군, 0.5% chito-san+Na-citrate 첨가군, 0.5% chitosan+Na-lactate 첨가군, 0.5% chitosan+Na-citrate 첨가군 순으로 감소하였다. 5. AIS로부터 펙틴을 추출하여 HWSP, HXSP, HCISP로 분획한 함량비는 대조군이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HWSP가 증가하고 HCISP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chitosan 첨가군은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HWSP가 감소하고 HCISP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위와 같은 결과로부터 chitosan의 첨가는 김치의 보존성 향상에 효과를 보였으며. 유기산염과 병용첨가군이 단독첨가군보다 더욱 효과적이었다. 유기산염의 종류에 따른 병용에 있어서는 Na-lactate 첨가군이 Na-citrate와 Na-malate 첨가군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 PDF

유전자 재조합 생물 발광 균주를 이용한 순수 오염물과 토양시료의 독성도 평가 (Application of the Recombinant Bioluminescence Bacterium on the Toxicity Assessment of the Sole Chemicals and Soil Samples)

  • 공인철;김진영;이선희;고경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36-14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중금속 오염물 생물 검정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오염 시료의 희석 최소화의 필요 조건인 낮은 균주와 시료의 비율(0.5 : 9.5)에서도 실험을 수행할 정도의 발광 활성이 관찰되었다. Sodium lactate와 $KNO_3$를 첨가한 조건에서 대조군에 대해 약 2.6~4.0배의 발광이 관찰되었다. 시료 희석(추출)용액으로는 발광 영향에 중요한 끼치지 않는 증류수와 MSM이 적절하였다. 본 방법은 중금속에 대해서는 매우 민감하였지만 유기오염물에 대해서는 민감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1지역의 토양 시료추출액은 대조군의 29~111% 발광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시료별 총중금속 농도와 독성 영향 간의 상관성을 예측하기는 어려웠지만 시료의 중요 오염물(비소)에 기준한 두 그룹 간에 통계적 차이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높은 비소와 낮은 비소 그룹은 각 44%와 20%의 독성도).

다양한 개시제(initiator)분말 전처리(pre-treatment)를 통한 노화된 지문의 Cyanoacrylate Fuming법 현출 증강 비교 (Comparison of aging fingerprint enhancement by pre-treatment of various initiator powders in the cyanoacrylate fuming method)

  • 김수경;이윤정;서경숙
    • 분석과학
    • /
    • 제35권3호
    • /
    • pp.129-135
    • /
    • 2022
  • 본 연구는 alumina, leucine, alumina와 leucine을 9:1로 혼합한 분말(이하 Al-Leu (9:1)), alumina와 leucine을 5:1로 혼합한 분말(이하 Al-Leu (5:1)), alumina와 sodium lactate를 5:1로 혼합한 분말(이하 Al-Lac (5:1))을 자연상태 시료지문을 남긴 후 1, 7, 14, 30일로 노화시킨 잠재지문에 전처리한 후 cyanoacrylate fuming(이하 CA 훈증법)으로 현출 증강을 시도하였다. 전체적으로 미처리한 후 CA 훈증한 잠재지문보다 alumina, leucine, Al-Leu (9:1), Al-Leu (5:1), Al-Lac (5:1) 분말로 전처리한 잠재지문의 면적값과 특징점 개수가 향상되었다. 따라서 5종류의 개시제가 CA 훈증 시 현출 증강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젖산나트륨과 키토산을 첨가한 저지방 기능성 소시지의 냉장 저장 중의 품질 및 저장성 증진 효과 (Product Quality and Extension of Shelf-life of Low-fat Functional Sausages Manufactured with Sodium Lactate and Chitosan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국성호;최순희;강상미;박성용;진구복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8-136
    • /
    • 2003
  • 본 연구는 젖산나트륨과 분자량에 따른 키토산을 저지방 기능성 소시지의 제조 시 첨가하여 냉장 저장 중 물리화학적 및 조직적인 성상과 항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실시하였으며 락색소를 첨가하여 아질산염과 대체할 수 있는 발색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제조한 저지방 기능성 소시지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 76-78, 지방 1~2 그리고 단백질은 14~15%의 수준이었다. 각 처리구별 pH는 6.37~6.50 범위였으며 냉장 저장중의 뚜렷한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중분자 키토산을 첨가한 처리구의 보수력이 저분자와 고분자 키토산 처리구보다 낮았으나 저분자와 고분자 키토산의 처리구 사이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저장기간 중에 보수력은 차이가 없었다 (p>0.05). 젖산나트륨의 첨가에 의한 진공감량은 증가하였으나 0.3%의 키토산 첨가에 의하여 진공감량의 차이는 상쇄되었고, 냉장 저장 중의 진공감량은 대체적으로 증가하였다. 키토산 첨가에 의한 명도와 황색도가 낮았으며 락색소를 0.05% 첨가한 처리구의 적색도는 아질산염 75와 150 ppm 사이였다. 냉장 저장기간 동안에 명도와 적색도는 차이가 없었으며 황색도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젖산나트륨에 저분자와 중분자 키토산을 각각 첨가한 처리구는 아질산염을 75와 150 ppm을 첨가한 대조구에 비하여 경도와 탄력성에서 높았으며 중분자의 경우 탄력성, 검성 및 저작성에서 다른 처리구들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p<0.05). 젖산나트륨의 첨가에 의한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한 유의차는 있었으나(p<0.05) 키토산 첨가에 의한 상승효과는 없었다. 저장기간 중에 아질산염 75나 150 ppm을 첨가한 처리구의 경우 3주후에 $10^{6}$ CFU/g이상을 기록한 반면, 젖산나트륨과 키토산을 첨가할 경우 4~5주 후에 $10^{6}$CFU/g이상이 나타나 저장기간을 1~2주간 연장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Salmonella typhimurium과 E. coli O157:H7의 병원성 미생물은 냉장조건의 저장기간 중에 감소하는 추세를 보임으로써 저지방 기능성 소시지의 경우 냉장저장이 필수적이라고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젖산나트륨과 키토산을 첨가한 처리구의 항 미생물적 효과는 아질산염 75나 150ppm을 첨가한 처리구보다 훨씬 높았고 젖산나트륨에 중분자 키토산을 첨가한 처리구는 대부분의 조직적 성상에서 다른 처리구들보다 높았으며, 락색소에 의한 발색효과는 아질산염 75에서 150 ppm 사이로서 일부는 대체가 가능하였으나 완전 대체는 불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 of an extract of Bauhinia variegata leaves on chronic arsenic intoxication in mice (Mus musculus): A preliminary study

  • Biswas, Surjyo Jyoti;Ghosh, Goutam
    • 셀메드
    • /
    • 제4권3호
    • /
    • pp.20.1-20.7
    • /
    • 2014
  • Ethanolic leaf extract of Bauhinia variegata has been tested for its possible antioxidant potentials against sodium arsenite induced toxicity in mice. Mice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 of five and fifty mice. Group I consisting of 5 mice without any treatment with food and water ad libitum which served as normal control. Group II mice were fed with sodium arsenite in drinking water at 100 ppm concentration for two monthsthen they were segregated into five groups which were treated differently. Group II a mice received only arsenic as sodium arsenite with drinking water, Group II b were fed chronically 1 : 20 alcohol to distilled water (vehicle), Group II c, d, e mice were orally fed 50 mg/kg, 150 mg/kg and 250 mg/kg of B. variegata leaf extract of once daily for 15 and 30 days respectively along with arsenic. Several toxicity marker enzymes such as gamma glutamyl transferase, lactate dehydrogenase, aspartate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cid and alkaline phosphatase, catalase and superoxide dismutase along with haematological variables such as glucose 6-phosphate dehydrogenase, creatinine, bilirubin, haemoglobin and sugar in different groups of treated and control mice were studied. Results obtained from the in vivo experiment revealed that administration of sodium arsenite caus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ome enzymes while decrease in some. A similar trend was also observed with haematological variables. In contrast B. variegata treatment at 150 mg/kg favourably modulated these alterations and maintained the antioxidant status than other two doses i.e. 50 mg/kg and 250 mg/kg thereby making it a good candidate to be used as supportive palliating measures in arsenic induced toxicity.

Effect of Organic Acid Salts and Chitosan on Case-Ready Packed Ground Beef and Pork Patties

  • Park, Seon-Hee;Chung, Seung-Hee;Lee, Sung-Ki;Lee, Keun-Tai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74-684
    • /
    • 2010
  • The effects of ascorbic acid (AA)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sodium acetate/calcium lactate (AA+SACL) and chitosan (AA+CH)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growth of beef and pork patties stored at $5^{\circ}C$ were investigated. The patties were case-ready packed in an air-containing polypropylene (PP) tray and sealed with polyethylene terephthlate (PETP)/casted polypropylene (CPP) top film. Treatments with AA, AA+SACL and AA+CH were effective in inhibiting total aerobic bacteria from day 4 compared to the control. In general, thiobarbituric acid, volatile basic nitrogen, and hue values in treated samples were lower than the control over the storage, whereas Hunter ${\alpha}^*$ (redness) values and sensory scores for surface color and off-odor were higher. Regarding quality and shelf-life extension, ground beef and pork patties treated with AA+SACL produced the most desirable results among all treatments during sto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