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welfare practice

검색결과 563건 처리시간 0.026초

여성주의 사회복지실천의 정립을 위한 고찰 (A Study on the Examination of Feminist Social Work Practice)

  • 김인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1권
    • /
    • pp.93-118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major contents and examine the feminist social work practice. Feminist social work practice has never been introduced and applied to social work fields in Korea. By contrast, it has been developed and expanded in advanced Western countries. Feminist social work was emerged under the influence of worldwide Women's Movement on the end of 1960's. After the time, there were critics of existing social work practice by feminist, increase in interest of women's issues, development of principles and methods in feminist social work practice. Feminist social work practice brought, transformative change, application of gender perspectives to social work practice. Also, it offered the visions for 'integrative practice', accepted the alternative principles and methods, and enriched 'theory-practice'. As the result, feminist social work practice contributed to solving or alleviating the problems of many clients, especially women clients. These evidences suggest that feminist social work practice has the possibility of holding an position as a new alternative social work practice.

  • PDF

김덕준(金德俊)의 사회복지 사상과 사회복지 교육 실천원리를 통해 본 현재의 한국 사회복지 교육 (Examining Present Korean Social Welfare Education through the Perspective of Social Welfare Ideology & Social Welfare Education Practice Theory of Deok Joon Kim)

  • 이준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496-51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사회복지 교육의 선구자이면서 한국 최초의 사회복지 독립학과를 설립한 김덕준(1919-1992)의 사회복지 사상과 사회복지 교육의 실천원리를 고찰하는 데에 있다. 김덕준의 생애와 사회복지와 관련된 행적 그리고 그의 사회복지 사상과 사회복지 교육의 실천원리를 살펴본 결과, 첫째, 샬롬의 정신, 둘째, 인간의 존엄성, 셋째, 십자가 사랑, 넷째, 사회정의, 다섯째, 경천애인, 여섯째, 이웃 사랑의 관계성으로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김덕준의 사회복지 사상과 사회복지 교육의 실천원리는 현재 한국의 사회복지 교육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치적이며 이념적인 사회복지사 양성의 본질적인 목적과 목표를 재정립할 수 있는 통찰들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한국의 사회복지 교육에 적용하면, 사회복지사의 정의와 자세, 역할, 기능에 대한 내용으로 정리될 수 있다.

김만두 비평 -그의 실천경험과 연구문헌 중심으로- (A Critique on Kim, Mandoo -Based on His Social Work Practice and Literatures-)

  • 최옥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4호
    • /
    • pp.271-294
    • /
    • 2013
  • 이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학의 발전 상황의 한 단면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어 실천과 연구를 겸비한 김만두를 선정하여 그의 인물비평을 실시하였다. 이 인물비평 방법은 문학비평에서 빌려와 김만두의 실천경험과 연구문헌을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김만두의 실천경험과 연구문헌에서 각기 5개와 6개 주제를 도출하고, 이들 주제를 결합해 다시 5개 주제(통합적 접근 강조, 미국과 일본 사회복지의 아우름, 사회복지학의 선순환적 형성, 사회복지학의 패러다임 전환, 실천과 연구 조화의 미완)를 도출 해석했다. 이와 같은 결과에 근거하여, 김만두의 사회복지실천이 사회복지제도를 넘나들며 정제됨, 1960-90년대 한국 사회복지의 한 단면이 드러남, 1960년대 아동 중심의 사회복지실천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짐, 당시 연구자의 성향에 따라 사회복지학의 구성을 달리함 들을 논의하였다.

  • PDF

COVID-19 상황 중 사회복지현장실습에 참여한 예비사회복지사의 실습경험에 관한 연구 (Study on Experience of Prospective Social Workers Participated in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during COVID-19 Pandemic)

  • 배나래;김지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301-310
    • /
    • 2021
  •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사회복지현장실습에 참여한 사회복지전공 재학생들의 실습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의 의의는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재학생들의 실습 전후 사회복지현장실습에 대한 생각의 변화를 탐색하여 위기 상황 속에서 효과적인 사회복지현장실습 매뉴얼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 상황에서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어려움으로는 일 학습 병행에 따른 시간조정의 어려움, 감염 우려로 실습 기관의 원활치 않은 실습상황, 제한된 실습 경험과 낮은 질의 수퍼비전, 실습기관의 선정에 대한 어려움, COVID-19 확산으로 인한 실습 중단의 두려움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현장실습 후 학생들이 인식한 실습의 긍정적인 경험으로는 사회복지에 대한 전공 본연의 의미를 이해하였고,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으며, 사회복지현장에서의 인권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또한 사회복지실천현장은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라포형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사회복지사의 지역사회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Social Worker's Experience in Community Practice -focused on community welfare centers-)

  • 최옥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2권
    • /
    • pp.301-324
    • /
    • 2003
  • 이 연구는 지역사회실천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전 단계로 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사가 지역사회 실천 사례에 개입한 경험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자는 '사회복지사는 지역사회실천 사례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가?'라는 연구 문제를 풀어가기 위해 질적 연구인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지역사회실천 사례 경험이 있는 아홉 개 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사 11명과 1 대 1 또는 1 대 2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근거이론에 따라 면접 내용을 개방코딩한 결과 총 166개 개념으로부터 41개 하위범주와 여덟 개 범주를 추출하였다. 이들 범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실천 경험의 패러다임 모형을 만들었고, 이 모형을 근거로 '열악한 여건에서 의지적 노력으로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여 발전적 경험으로 쌓이는 과정'이라는 핵심 범주를 추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사회복지사는 지역사회실천 요체로서 주민, 지역사회, 사회복지사(자신), 사회복지관의 여건을 중시하고, 전체 과정에서 다양한 전략을 구사한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아울러 지역사회실천 관련 교육과 훈련을 강화하기 위해 대학과 사회복지관이 협력하여 훈련 체계를 갖추어야 함을 알게 되었다.

  • PDF

한국 사회복지실천연구 경향에 관한 반성적 고찰 (A Critical Analysis on Social Work Practice Researches in Korea)

  • 김미옥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4호
    • /
    • pp.153-180
    • /
    • 2015
  • 이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실천연구 경향을 반성적으로 고찰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할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첫째, 그동안 한국 사회복지실천연구에 대한 비판적 논의들을 정리하였고, 둘째, '한국사회복지학' 학술지에 게재된(1998~2014)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사회복지학'에는 총 874편의 연구가 17년 동안 게재되었고, 이중 사회복지실천연구가 16.6%(145편), 실천과 관련된 경험적 연구가 40.5%(363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복지실천논문 145편에 대해 세부 분석결과, 연구주제별로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가 26.2%, 사회복지사가 29%, 척도개발이 20.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에 관한 연구는 2007년 이후 증가양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업성은 교수가 84.6%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실무자는 8.6%에 불과하였다. 2006년 이후 공동연구비율이 현저히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독연구는 44.8%로 낮아지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셋째, 사회복지실천 전공교수 8명을 개별인터뷰 한 결과, 현재 실천연구는 경계, 위기, 그리고 혼돈사이에 서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사회복지실천연구가 위기와 기회 사이에 선 것으로 평가하며, 연구 환경, 실천현장, 한국적 사회복지학의 재구성에 대한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 PDF

사회복지 행정영역에서 수퍼비젼과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pervision and ethical dilemma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 이애라;박현승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2호
    • /
    • pp.77-83
    • /
    • 2024
  • 본 연구는 사회복지 행정영역에서의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연구를 통해 사회복지사들이 겪고 있는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 직면하여 바람직한 의사결정을 도출해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사회복지 전문직에 있어서 윤리 문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사회복지 윤리강령을 제정하는 한편, 사회복지학 전공 교과 과정에 '사회복지윤리와 철학'을 개설하여 윤리적 문제를 주요 이슈로 다루어 왔다. 하지만 실천, 교육현장의 변화와 욕구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학계의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관심은 매우 부족했다.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여러 가지의 윤리적 문제 중에서 사회복지사들에게 가장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바로 윤리적 의사결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전문가로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윤리 문제의 중요성에 대하여 인식을 전화하고 윤리적 딜레마 상황을 고려하여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윤리적 방법과 절차를 모색해야 하는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연구를 통해 슈퍼비전 과정에서 윤리적 민감성에 대한 이해와 슈퍼비전 전문가의 양성 방안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임상사회복지실천의 효과성 연구 경향에 관한 연구 (Analysis on Effectiveness Research of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in Korea)

  • 양옥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2권
    • /
    • pp.225-253
    • /
    • 200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articles on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effectiveness to build a scientific and scholaristic image of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The data for analysis were the articles published in 13 professional journals including Korean J. of Social Welfare in the period of 1979 to 1999. The appearance rate of effectiveness studies was 1.28% with only 18 articles. Experimental studies consisted only 4 out of 18, and there were only 10 Quasi-experimental studies. Statistical errors were observed in most studies, so it is too early to call that the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is either effective or not effective. In order to see the comprehensive trends of the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other clinical papers were also examined. The appearance rate was also as low as 8.75% (effectiveness studies included). While 18 articles were about the therapy model, other clinical papers were about generic practice models. However, those newly developed generic practice models had not yet been widely used nor tested for effectiveness. Thus, the followings were suggested: active research activities with solid methodology, team work with the field, theory and method development, education and re-education, and collaborative team work with other related fields. It was also pointed that the cross analysis of research papers by the publishing period, authors major and other background variables would be useful.

  • PDF

한국 사회복지학 연구방법론에 대한 분석과 고찰 - 질적 연구방법의 유용성 제고를 위한 논의 - (Research Methods in Korean Social Welfare Research: Analysis of the Trend and Discussion for Promoting Application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 강철희;김미옥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5권
    • /
    • pp.55-81
    • /
    • 2003
  • 본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학 연구방법론에 대한 분석과 고찰을 통하여 질적 연구방법의 사회복지학에 대한 유용성을 논의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의 가장 대표적인 학술지인 "한국사회복지학"에 실린 학술논문 538편을 연구 방법론에 초점을 두고 분석한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사회복지학은 양적 연구방법에의 과도한 편향이 매우 극심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이 되면서 이러한 한계가 지적되어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논문들이 등장하기 시작하는데, 엄밀성 측면에서 볼 때 방법의 적절성과 수준은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한국 사회복지학 연구방법론의 동향 분석과 함께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의 특성과 유형을 정리하면서 한국 사회복지학과 질적 연구방법의 적합성(fitness) 즉 '질적 연구방법이 왜 필요한가' 그리고 '그 유용성은 무엇인가'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본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학의 양적 연구방법에 편향된 상황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사회현상의 본질과 실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방법론이나 패러다임에 얽매이지 않고 사회과학의 많은 연구방법을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제시한다.

  • PDF

복지공간으로서 인보관을 통한 사회복지실천의 뜻과 정체성의 사유 : 토인비 홀과 헐 하우스의 비교 (Meaning and identity of social work practice by thinking through settlement house as a welfare space : Comparison of Toynbee Hall and Hull House)

  • 박선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1호
    • /
    • pp.91-111
    • /
    • 2017
  • 이 연구에서 19세기말-20세기 초 영국의 토인비 홀과 미국의 헐 하우스 두 인보관의 사상과 활동을 소환하는 목적은 첫째, 당시 사회복지실천이 점진적으로 형태를 갖추게 된 계기와 당초의 뜻을 찾아보는 것이다. 둘째, 개인화의 문제와 대안의 공동체 만들기가 공존하는 이 시기에 당시 '사회적 일'로 시작된 맥락과 영국과 미국의 특징적인 활동을 통해 사회복지실천의 현재 의미와 정체성에 유용한 함의를 얻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기존 문헌들을 활용하여 서사를 고찰하되 인보관이라는 장소가 복지공간으로 구성된 당시 시대정신과 활동, 지도력을 목적과 위치, 전문성과 교육, 사회행동 차원으로 분석하며 오늘의 의미를 살리고자 하였다. 유용한 분석 결과는 첫째,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은 상반되기 보다는 빈곤에의 대응책으로 '제안-실행-비판-대안의 제안-사회복지실천의 대두'가 진행된 일련의 과정 속에서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인보관은 빈곤문제를 중심으로 계층, 젠더, 개인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 민간과 공공의 개입 등 여러 현상을 담은 담지자로서 복지공간을 구성하였다. 셋째, 두 인보관은 상이점도 있지만 둘 다 공공의 선과 안녕을 목적으로 하여 사회적인 일, 즉 사회복지실천을 구체화시켰다. 끝으로, 인보관의 복지공간으로서의 의의와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