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innovation cluster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31초

혁신클러스터의 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판교테크노밸리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act Factors for Innovation Cluster: A Case of the Pangyo Techno Valley)

  • 정선양;황두희;임종빈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848-872
    • /
    • 2016
  • 본 연구는 경기도 남부지역의 대표적인 혁신클러스터인 판교테크노밸리를 연구대상으로 혁신클러스터의 성과 영향요인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한 사례연구이다. 혁신클러스터의 평가를 위한 영향요인은 이론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해 제도적 물리적 사회적 구성 요인으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정선양, 2012). 특히 정선양(2012)에서 제안된 클러스터 구성요인은 혁신클러스터 기능 및 역할에 대한 연구분석의 틀은 기존의 이론과 연구를 통해 통합되어, 최근 많은 연구에 의해 실증분석의 틀로 제안되고 있다(예: 임종빈. 2013; 임종빈 외, 2016; 이상욱 외, 2014). 본 연구는 기 제시된 제도적 요인, 물리적 요인, 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판교테크노밸리의 혁신클러스터의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하여 실증분석하고, 혁신클러스터내 기업들의 기술협력이 이들 영향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한다. 이 같은 실증분석은 기존에 제시된 혁신클러스터의 영향요인에 대한 변별력을 제고하고, 실제적인 혁신클러스터 공간에서의 운영과 성장, 향후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소들을 도출하는데 유용성을 줄 것이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는 혁신클러스터 영향요인을 도출함에 따라 혁신클러스터의 혁신평가 실증분석을 통해 지표의 변별력을 향상해주고, 새로운 지표개발 및 평가적용에 합리성 제고 등을 기여할 것이다. 직접적으로 동 연구는 연구대상 및 사례로 하고 있는 판교테크노밸리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대구.경북 모바일 클러스터 육성전략: 지역혁신 거버넌스의 대안 모색 (Promotion Strategies for Daegu-Kyungbuk Mobile Cluster: Searching for Alternative Regional Innovation Governance)

  • 이정협;김형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77-493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지역혁신 거버넌스를 진단하고 구조적 문제점을 규명하여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인 지역혁신 거버넌스 전략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삼성전자이라는 대기업 주도로 형성된 대구·경북 모바일 클러스터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지역혁신의 거버넌스가 구체적으로 어떤 문제를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혁신의 거버넌스 개념을 지식생산 및 지식활용 시스템을 연계하는 정책시스템, 그리고 이를 작동시키는 제도적 조건으로 정의하였다. 클러스터의 거버넌스 측정은 세계은행의 "Social Capital Assessment Tool (SOCAT)"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대구경북 모바일 클러스터는 삼성과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들 간의 일대일 관계가 지배적인 생산네트워크, 분산된 연구개발 네트워크 그리고 다중 허브의 정책 네트워크의 특징을 보였다. 대부분의 정책기관들은 지역기업들과의 네트워크가 활성화되어 있지 못하며, 정책기관들 간의 상호작용도 활발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기업들 특히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들은 지역의 문제해결을 위해 협력하고 공동체의 목표를 공유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주요 지역의 프로젝트 리더들에 대한 신뢰의 수준은 높지 않았다. 대구경북 모바일 클러스터의 경우 요소기술을 갖고 유사한 기술이나 제품의 개발로 결합될 수 있는 여러 개발업체간의 연대와 제휴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대구시와 경상북도 등 지방행정주체들이 모바일상용화센터 등 다양한 혁신기관들과 협력하여 다양한 기술 및 제품개발 협력체가 프로젝트 단위로 지속적으로 형성되고 해체되고 재형성될 수 있는 환경과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 PDF

A Comparison of Daedeok Innopolis Cluster with the San Diego Biotechnology Cluster

  • Kim, Sang-Tae;An, Gi-Don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1권2호
    • /
    • pp.118-128
    • /
    • 2012
  • This paper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for Daedeok Innopolis (DI) in Daejeon by comparing the development and problems of DI with the San Diego biotechnology cluster. DI has strengthened its capabilities for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business activities after having created and managed by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While DI has been successful in increasing the number of institutes, researchers, research activities, however, its dynamism is not rigorous enough to be a regional innovative system. San Diego's scientific and entrepreneurial community shows the importance of formulating social and spatial contexts for mutual interactions and engagements. In San Diego, UCSD and networking organizations, especially CONNECT, are central in promoting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s between regional constituents including entrepreneurs, academics and local governments. The mechanisms of San Diego biotechnology imply that DI should provide more attention to designing and developing social and geographical space that can unleash the creative power of social interactions. To build an innovative regional system, DI needs to renovate its space, public-private relationship and networking platforms.

지역 농산업산지의 혁신환경과 클러스터 육성전략 : 봉화군 고추농산업 사례 (The Innovation Milieu of Red Pepper Agro-Industry District in Bonghwa County : A Cluster Perspective)

  • 이종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33-246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낙후지역이자 고추주산지의 하나인 경상북도 봉화군의 고추 농산업의 혁신환경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 고추 농산업의 육성 전락을 클러스터 관점에 기초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봉화군 고추농산업의 혁신인프라는 매우 취약하고 산학연관 네트워크 또한 활성화되어 있지 못하므로, 클러스터 발전단계 상으로 단순 고추 주산지 상태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식커뮤니티의 결성 및 지자체의 적극적인 산학연관 네트워크 육성 의지 둥에 따라 혁신환경이 점진적으로 개선되는 변화양상도 확인된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봉화 고추 농산업을 클러스터화를 위해서는 학습 커뮤니티 조직의 활성화, 공동 브랜드 구축, 네트워크 매개기관으로서의 농업기술센터의 역할 제고, 지식창출의 중심 연계기관으로서 지역 대학과의 연계 강화 등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제안한다.

  • PDF

사회적자본과 지식재산 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f Social Capital and Performance of Intellectual Property)

  • 박호인;이종무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23-134
    • /
    • 2016
  • Social capitals are getting more important for management in enterprises, especially i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S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s on the performance of intellectual property. For the empirical analysis,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138 companies in one industry cluster, 34 companies in the other one. The data were compared using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confirm a positive influence of the conceptive social capital on the performance of intellectual property while there are no effect of structural and relational social capitals on the performance. These are different from the past researches. In addition,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industrial types such as IT, BT, and NT in terms of the effect of social capitals on the performance of intellectual property. Also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dustry clusters.

사회적 경제에 관한 경제지리학의 연구 주제 (Economic Geographical Research Agenda for Social Economy)

  • 주성재;노경란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3-191
    • /
    • 2018
  • 이 연구는 사회적 경제에 관한 학술적 관심과 정책적 적용이 증가하는 추세에 주목하여 사회적 경제를 공간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지리학의 연구 주제를 정리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사회적 경제가 갖는 사회적 가치의 추구라는 지향성은 독특한 공간 특성을 나타낼 것이라 보았고, 이를 위해 사회혁신, 사회적 경제조직, 사회적 기업 등 관련 개념을 통해 공간적 의미를 갖는 요소를 도출하였다. 사회적 경제의 공간적 맥락을 이해하는 방법으로서 사회적 기업가정신이 발현되는 공간의 성격, 사회적 경제조직의 의사결정이 갖는 장소기반의 맥락, 사회적 문제 해결이라는 수요와 사회적 경제조직의 활동을 지원하는 공급의 특성이 상호작용하며 만들어가는 공간의 특성에 주목할 것이 제안된다. 사회혁신클러스터에 대해서는 기존의 산업클러스터와 차별화되는 특성을 밝히는 것이 중요함을 지적한다. 지역사회와 갖는 밀착의 본질, 당위성, 요소에 대해서는 착근성 개념을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혁신의 제도적 접근: 지역혁신체제와 혁신클러스터의 지식파급효과 -선행연구의 검토와 새로운 쟁점- (Institutional Approach to Innovation: the Knowledge Spillovers in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Innovative Cluster - Review and New Issue of Antecedent Research -)

  • 배응환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5-135
    • /
    • 2015
  • 세방화시대에 모든 국가의 공통현상은 국가와 지역차원에서 지식혁신과 성장이 중요한 화두로 등장하여 이론과 실제에서 연구되고 있다. 선진국에서 지역발전의 성공사례에서는 지역혁신체제와 클러스터가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이에 지역혁신체제의 축소모형인 혁신클러스터에서의 지식파급효과가 기업혁신과 지역성장을 유도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혁신지리학의 지역혁신체제와 혁신클러스터에서의 지식파급효과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경험적 연구흐름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보다 심화된 연구를 위한 연구쟁점을 제시한 것이다. 분석결과, 선행연구들은 지식파급효과가 특정한 지리적 근접성의 지식집약산업에서 존재한다고 인식하고 지역혁신을 위해서는 순수지식 파급효과가 중요하다고 한다. 그러나 선행연구의 한계로는 제한된 지리적 공간과 기술영역, 소수의 분석변수 그리고 렌트파급효과무시 등이 있다. 따라서 지식파급효과와 관련한 새로운 연구쟁점으로는 지리적 차원(지역과 글로벌), 기술적 차원(다양한 지식기반산업), 분석변수의 다양화(종전의 변수 외에 시간이나 사회자본), 개념화(무단사용과 기술시장) 등을 들 수 있다.

  • PDF

기술지식 교류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폐쇄와 구조적 공백이 급진적 혁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etwork Closure and Structural Hole in Technological Knowledge Exchange on Radical Innovation)

  • 안재광;김진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4호
    • /
    • pp.95-105
    • /
    • 2018
  • 본 연구는 구미 클러스터내 기술지식 교류 네트워크에서 기술적 급진성에 대한 네트워크 폐쇄와 구조적 공백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검증한 연구이다. 분석을 위해 협회*기업(2-mode)네트워크 자료를 기업*기업(1-mode) 네트워크 자료로 변환하여 2,550개 기업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또한 기업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구미국가산업단지에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랜덤추출을 통해 101개 기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86개 기업을 수집하였다. 분석을 위해, 네트워크 폐쇄와 구조적 공백의 사회네트워크 분석 지표인 네트워크 밀도와 효율성이 높은 수준의 다중공선성을 갖고 있어 능형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구조적 공백은 기업의 급진적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네트워크 밀도는 급진적 혁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과거의 개념적인 논의와 문헌연구에 기반 했던 네트워크 패쇄와 구조적 공백의 논쟁에 실증적 증거 제시하는데 공헌하고 나아가 급진적 혁신을 달성하기 위한 사회적 자본의 구축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준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찾아내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기술 지식의 특성, 혁신 유형, 네트워크 폐쇄와 구조적 공백의 상호작용 등에 관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

기업 간 유대강도가 지식획득과 지식통합 및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산업단지 내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Tie Strength on the Knowledge Acquisition, Knowledge Integration and Innovation Performance: Focusing o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in the Industrial Clustering)

  • 심선영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8권2호
    • /
    • pp.53-72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ie strength in the network of industrial clustering on the knowledge acquisition, integration and innovation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We test the positive relationship of weak tie and knowledge acquisition, strong tie and knowledge integration,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two tie strengths on both processes of knowledge acquisition and integration. By identifying these relationships, we can better understand how to manage the attributes of social networks in terms of tie strength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innovation for the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Design/methodology/approach We collect 200 survey data from 2 industrial cluster respectively: Pankyo and Guroo. In Pankyo, the proportion of IT industry is the highest (35%) while the proportion of manufacturing is highest (35%) in Guroo. Pooling the data from two industrial cluster, we check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our research model and test the hypotheses. Findings First, we find the positive relationship of weak tie and knowledge acquisition from both industrial clustering. Weak tie is composed of heterogeneous organizations with various background and expertise. The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of organizations in the weak tie network helps the idea generation for organization's innovation, which is the knowledge acquisition process. Second, the relationship of strong tie and knowledge integration is insignificant. Typically the strong tie from long-lasting partnership is expected to be beneficial in the action stage of innovation, which is the knowledge integration process. However it is not identified in our industry cluster. Finally, the interaction effect of weak and strong tie is identified to be effective on both knowledge acquisition and integration processes.

지방 차원의 산업 클러스터 정책: 대전광역시를 사례로 (Industrial Cluster Policies of the Korean Government in the Early 2000s: The Case of Daejeon)

  • 신동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6-110
    • /
    • 2009
  • 한국의 급속한 경제성장은 지역간 큰 사회, 경제적 격차를 가져왔다. 과거 여러 정권이 수도권과 비수도권, 영남과 호남간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여러 가지 정책을 수립, 구사하였다. 그 가운데 노무현 정부는 지역혁신론 및 산업 클러스터론에 기초하여 가장 진보적이고 획기적인 정책을 수립, 추진하였다. 본 연구는 노 정부의 그러한 정책을 소개하고, 대전을 사례로 그러한 국가적 정책들이 지방단위에서 어떻게 구체화되는지를 소개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노 정부가 짧은 기간에 여러 부처가 큰 예산과 정책 에너지를 투자하면서 경쟁적으로 지역혁신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예산의 낭비와 정책의 혼선을 초래하였으며, 대전의 경우 역동적인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자 분야별로 다양한 기업가 모임을 조직하고, 후원하였으나, 추진 기관의 장이 바뀌어 그 사업이 정착되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