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competency

검색결과 418건 처리시간 0.033초

대학생의 창업역량과 창업의도의 관계: IT 역량, 창의성 역량, 사회적 역량, 시장인지 역량 (Effect of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 IT Competency, Creativity Competency, Social Competency, Market Perception Competency)

  • 최대수;성창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1호
    • /
    • pp.101-109
    • /
    • 2017
  • 전 세계적으로 창업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국내 대학에서도 각 대학별 특성을 반영한 창업교육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의 논거는 창업교육을 통해 개인의 역량을 개선할 수 있고, 창업의도와 창업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과 관련된 개인적 역량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구성에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에 수도권 2개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IT역량 중 기획역량은 창업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창의성 역량과, 시장인지 역량도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IT역량 중 개발역량과, 사회적 역량은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T기획과 관련된 교육프로그램은 비단 IT를 활용한 기술기반의 창업교육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창업을 위한 프로그램에서도 유효하다는 것이다. 또한 창의성과 시장인지와 관련된 역량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이와 관련된 창업교육 콘텐츠의 지속적인 개발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PDF

창업동기, 창업역량 및 창업지원 정책이 창업 초기기업의 창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Effects of Startup Motivation, Startup Competence, and Startup Support Policy on Startup Satisfaction in Early Startup Companies :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강영철;하규수
    • 벤처혁신연구
    • /
    • 제5권4호
    • /
    • pp.1-21
    • /
    • 2022
  • 사회·국가적으로 창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신생 기업의 생존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따라서 초기 창업기업의 창업 만족도를 재고하여 생존율을 높일 방안 마련이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 창업기업의 창업 동기, 창업역량, 창업지원 정책이 창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창업동기는 세부적으로 경제적 동기와 자아실현 동기로 구분하였다. 창업역량은 세부적으로 경험역량과 마케팅역량으로 구분하였다. 창업지원 정책은 세부적으로 창업자금지원과 창업컨설팅 지원으로 구분하였다. 온오프라인으로 창업 7년 이내 초기 창업기업의 경영자 250명으로부터 설문을 받아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경제적 동기, 자아실현 동기, 경험역량, 마케팅역량, 창업자금지원은 창업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창업컨설팅 지원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창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자아실현 동기, 경험역량, 마케팅역량, 창업자금지원, 경제적 동기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의 조절 효과는 경제적 동기, 자아실현 동기, 경험역량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마케팅역량, 창업자금지원, 창업컨설팅 지원은 조절 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통해 자아실현 동기와 경험역량이 창업 만족도 제고에 핵심적인 요인이라는 학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초기 창업가의 자아실현과 경험역량을 극대화할 창업 교육 프로그램과 창업컨설팅 지원 제도의 실효성 제고 노력 등이 필요하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감성역량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n emotional competency promo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 강혜원;배정이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69-380
    • /
    • 2021
  •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verify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nursing student emotional competency promotion program that is important in professional nursing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patients. Methods: This research was done by developing an emotional competency promo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ADDIE) model. Apply the program to students and evaluate their effects on their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management and self-efficacy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48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of D College; 24 students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4 students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developed program from December 18, 2017 to January 12, 2018, for a total of 8 sessions. Each session was 120 minutes long. For data collection, a pretest, posttest 1 and 2 were perform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and repeated measure ANOVA using SPSS/WIN 22.0.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emotional competency promotion program showed higher self awareness (F=5.65, p=.005), self management (F=11.12, p<.001), social awareness (F=5.02, p=.009), relationship management (F=11.22, p<.001) and self-efficacy (F=14.24, p<.001) tha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were supported by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time period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ime period and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study's findings indicate that the emotional competency promotion program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s effective at increasing the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management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AHP 분석을 활용한 B2B 영업사원 역량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 연구 : 공급사와 구매사 간의 인식차이 (A Study on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e Competency of B2B Salesperson Using AHP : Gap in Perception between Suppliers and Buyers)

  • 안병훈;김승철;이태원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91-203
    • /
    • 2020
  •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differentiating factors of B2B salesperson competency through comparing the suppliers and buyers in Korean steel industry in their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B2B salesperson competency. Based on previous studies, analysis on B2B salesperson competency has been analyzed using the B2B salesperson performance competency measure factors and appropriately reorganizing them for better application to the steel industry. The required performance competencies of B2B salesperson can be categorized into 3 different types, namely social exchange competency, advisory sales competency, and skill & knowledge competency. AHP analysis was performed for analyz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B2B salesperson competency based on the factors of previous studies, in which categorization of the aforementioned types had been done. As the result, firs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1st layer main factors between the supplier group and buyer group. The supplier group valued the advisory sales competency, while the buyer group valued skill & knowledge competency. Second, it has been proved that there is same result of relative importance in 2nd detailed factors between the supplier group and buyer group. Both group confirmed that customer member, identify customer needs and communication skill are very important factors. Third,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gap between B2B salesperson competency of the suppliers and buyers, the gap in the product knowledge and sales team member need improvement for buyer's satisfaction according to overall results of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The steel supplier was able to develop B2B salesperson competency according to the buyers' need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an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increase in buyer competitiveness through differentiation in B2B salesperson competency.

과정이수형 자격제도 운영 학과의 NCS 기반 교육과정 설계모형 연구 - 전문대학 사회복지과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Curriculum Design Modelling Focused on the Combination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nd the Already-Accredited Course in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in the Junior College)

  • 박용운;김경미;유태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652-665
    • /
    • 2016
  •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은 산업현장에서 직무 수행에 필요한 능력들을 체계화 및 표준화한 것으로서 전문직업인 양성이 교육목적인 전문대학에 NCS를 적절히 적용할 수만 있다면 현장 중심의 인력 양성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인문사회계열 학문인 사회복지 분야에서는 실기보다는 이론 숙지가 주를 이루며 또한 사회복지사 2급 자격을 위한 과정이수형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자격제도 변화없이 NCS를 교육과정에 도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정이수형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전문대학 사회복지과 교육과정에 NCS를 적용하기 위한 교육과정 설계모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NCS 능력단위 중심의 교육과정 설계가 아닌 기존 교과목에 NCS 능력단위를 매핑하는 역공학적 접근을 시도한다. 둘째, 주 취업시장의 직무능력 함양을 위하여 노인, 아동, 장애인 등 대상에 따른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에 관한 능력단위를 개발 추가한다. 셋째, NCS 능력단위를 주 취업시장의 직무와의 연관정도에 따라 유형 1,2,3 등 3 유형으로 분류하여 적용한다. 넷째, NCS 직업기초능력 중 사회복지 분야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4개 요소를 추출, 독자적인 과목으로 개설한다. 다섯째, 주 취업시장에서의 직무능력 함양을 위한 능력단위들의 조합을 하나의 가상 능력단위로 간주하고 유형 1, 유형 2, 유형 3 등의 순으로 3단계에 걸쳐 유기적으로 배치한 다음 학습 범위를 주 취업시장에서의 직무 수준으로 조정하여 3단계에 공통적으로 적용한다.

Pentagon Model을 활용한 정보화 프로젝트 PMO의 성과평가 모형 제시 (An Evaluation Model of IT PMO Performance Using Pentagon Model)

  • 김기현;박근완;황승준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19-136
    • /
    • 2016
  • 본 연구는 프로젝트 조직(Project Management Office: PMO)의 성과 평가 모델인 펜타곤 모델을 활용하여 IT 분야의 PMO 역량과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모델 및 세부지표를 제시하는 연구이다. 펜타곤 모델은 정보화 프로젝트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PMO 역량요인을 다섯 가지로 구분, 즉 구조(Structure), 기술(Technology), 조직문화(Culture), 상호작용(Interaction), 사회적 관계와 네트워크(Social Relations and Networks)로 분류하여 접근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섯 가지 상위 요인에 대한 세부요인을 설계하여,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을 활용하여 역량 요인(5개의 상위요인과 25개의 세부요인) 간의 중요도를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Structure 부문에서는 3개의 세부요인이 상위 10위 안에 포함되었으며, Technology, Culture, Interaction 부문에서는 각각 2개 세부요인이, Social Relations and Networks 부문에서는 1개의 세부요인이 10위 안에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보화 프로젝트 성과를 관리할 수 있는 틀(framework)을 제시한다는 점, 그리고 틀을 구성하는 상위요인에 속한 하위 세부요인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Effects of Preschool Teachers' Qualification and Competency on Young Children's Development

  • Kim, Sang Lim;Park, Chang 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6권4호
    • /
    • pp.233-239
    • /
    • 2018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school teachers' qualification (education level, teaching experience, major, and certification) and competency variables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on young children's development (cognition, language, and social development). The data came from $5^{th}$ Wave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from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s well as Pearson's correlation analyses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e positive associations between teachers' competency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 development. However, we did not find significant effects of teachers' qualification on young children's development.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d a policy implication that teacher qualification needed to be discussed with teacher competency to improve teacher quality.

여성정신장애인의 양육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renting Competency of Mothers with Mental Illness)

  • 서미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2호
    • /
    • pp.77-98
    • /
    • 2008
  • 본 연구는 여성정신장애인의 양육능력에 사회적 지지와 모성역할을 격려하는 사회적 맥락이 주요 영향요인이라는 전제하에 자녀를 직접 양육하고 있는 정신분열병과 기분장애를 가진 여성정신장애인 145명을 대상으로 정신장애 특성(유병기간, 진단, 증상정도, 입원횟수)과 인구사회학적 특성(나이, 자녀수, 주관적 경제수준)을 통제한 상태에서 부부관계와 사회적 지지가 양육능력의 세 차원(애정표현, 자율성 격려, 합리적 통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애정표현능력에는 부부관계, 사회적 지지, 경제적 수준이, 자율성 격려 능력에는 부부관계가 주요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차원과 달리 합리적 통제능력은 진단, 증상정도, 유병기간과 같은 장애특성과 경제적 수준이 주요 예측요인으로 나타났고 부부관계와 사회적 지지는 의미 있는 예측력을 가지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여성정신장애인의 양육능력 향상을 위해 가족중심의 서비스와 임상적 서비스를 포함한 포괄적인 심리사회적 개입을 제안하였다.

  • PDF

장애인생활시설 종사자 역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etency of Workers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for a Disabled)

  • 김연옥;윤덕찬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2호
    • /
    • pp.285-312
    • /
    • 2009
  • 본 연구는 장애인생활시설 종사자에게 있어 동일한 조건 속에서도 시설장애인에 대한 서비스의 질적 수준과 시설운영방식의 차이가 발생되는 원인 중의 하나가 개개인이 갖고 있는 자질과 능력이 다를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장애인생활시설 종사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은 무엇인가를 도출해 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에 장애인생활시설 평가에서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13개소의 26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패널을 통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생활시설 종사자라면 누구나 갖추어야 할 공통역량으로 갈등 및 문제해결력, 개선 의지, 대내외 관계 구축 등의 항목들이 도출되었으며, 시설종사자의 직위별·직종별로 요구되는 역량도 각각의 직위와 직종에 따라 모두 상이한 항목이 도출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장애인생활시설 종사자의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각각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중심으로 한 체계적인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창업동기, 역량 및 열정이 창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일반 창업기업과 스타트업의 차이를 중심으로 (Effects of Startup Motivation, Competency, and Passion on Startup Satisfaction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Early Startups and General Startups)

  • 강영철;정병규
    • 벤처혁신연구
    • /
    • 제6권3호
    • /
    • pp.43-60
    • /
    • 2023
  • 창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창업기업이 지속하여 생존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창업기업의 창업만족도를 강화하고 생존율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기업의 창업동기, 창업역량, 창업열정이 창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일반창업기업 및 스타트업의 창업형태에 따른 조절효과에 대해 고찰하였다. 창업동기는 자아실현동기와 친사회적동기로 구분하였다. 창업역량은 마케팅역량과 경험역량으로 구분하였다. 창업열정은 조화열정과 강박열정으로 구분하였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창업후 7년 이내 일반창업기업과 스타트업 기업의 경영자 361명으로부터 설문을 받아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자아실현동기, 친사회적동기, 마케팅역량, 경험역량, 조화열정은 창업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강박열정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치 못하였다. 또한 창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조화열정, 마케팅역량, 자아실현동기, 친사회적동기, 경험역량의 순서로 나타났다. 일반창업기업과 스타트업의 창업형태에 따른 조절효과는 친사회적동기, 경험역량, 조화열정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자아실현동기, 마케팅역량, 강박열정과 창업만족도간 조절효과의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조화열정과 마케팅역량이 창업만족도 제고에 중요한 요인이라는 학술점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창업기업 사업주체의 심리적 안정성 지원 프로그램, 전문가를 통한 창업역량 강화 및 자아실현동기와 친사회적 동기를 함양할 수 있는 창업교육 프로그램 강화 등이 필요하다는 실무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