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assistance

검색결과 382건 처리시간 0.028초

과학기술의 국제개발협력과 ODA에 대한 시론적 고찰 (A Essay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ODA of Science and Technology)

  • 김덕진
    • 한국과 국제사회
    • /
    • 제1권2호
    • /
    • pp.149-170
    • /
    • 2017
  • 한국은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에서 과학기술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분의 활동을 많이 하지는 않지만, 과학기술은 인류의 보편적 인권이나 한 국가의 장기적인 사회체제의 변화를 유인하는데 큰 역할을 수행한다. 한국이 과학기술 국제협력 및 ODA를 통해 더 큰 전략적 이익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사회수렴을 위한 거번넌스와 시스템을 사회지향적으로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시민사회와 민간영역의 참여의지가 선행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국제협력은 국제정치의 문제를 고스란히 내재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이익을 달성하는 것에 많은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과학기술 ODA는 초국가적 기구 및 INGO 등 복합적 행위자가 중층적으로 역할을 하고 있는 국제정치질서에서 더욱 중요한 영역으로 변화해 갈 것이다.

경로당 이용노인의 경제적 의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시 송파구 노인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factors in Economic Dependency in the Senior Center for the Elderly -on the Basis of Elderly in Songpa-gu, Seoul-)

  • 이애련;김지은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6권4호
    • /
    • pp.213-233
    • /
    • 2012
  • This descriptive study about a community center for elderly users identifies factors influencing economic dependenc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factors that contribute to increased economic dependency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venting conflict between caregivers and elderly dependents. The subjects are 204 elderly persons who are community-center users in SongPa-Gu. Thirteen dongs (administrative areas) were chosen randomly in a cluster sample from among 26 dongs in Soungpagu containing a total of 158 community centers for the elderly. I obtained informed consents for my research from all subjects, and collected data by conducting interviews from June 28th, 2011 to August 7th, 2011.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Duncan test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The mean economic dependency score was 3.23, meaning that subjects with this score are dependent at a level that is "over intermediate". The level of formal education, homeownership, financial assistance from family and the number of families, financial assistance to the family and the number of families, economic life satisfaction, self efficacy and social support.

  • PDF

직장인 스트레스 반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Employee's Stress Response Scale)

  • 이정은;최보라;정영은;송광헌;강민재;채정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3-160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mployee's stress response scale (ESRS) and examin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 item generation, and test of validity and reliability. Items were developed via literature review, review of instruments, and data acquired from email-survey of counselors in the field of Employee Assistance Program (EAP). In order to test validity and reli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400 employees. Results :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ESRS suggested 4 factor structures (work-related, anger, somatization, depression & anxiety) with a total of 25 items. ESRS showed a relatively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Hospital Anxiety-Depression scale (HAD), Perceived Stress Scale (P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dex (PWI), which showed ESRS had high convergent validity. Cronbach's ${\alpha}$ and test-retest reliability was .95 and .610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ESRS is reliable and valid brief scale for measuring stress responses of employees. This scale would be useful in quantitatively evaluating job stress in workplace.

북한이탈주민의 지방정착지원을 위한 지역사회 자원동원전략 : 부산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Community Resource Development Strategies for Facilitating North Korean Refugees' Resettlement in Local Areas :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 이기영;윤경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5권
    • /
    • pp.103-130
    • /
    • 2003
  • 이 연구는 지방으로 분산 정착하는 북한이탈주민의 적응상황을 서울 수도권지역의 사람들과 비교 분석하였고 그 결과 노동시장활동, 생활만족도, 민간기관으로부터의 지원내용 등에서 불리한 것으로 나타나 지방정착 북한이탈주민의 지원제도에 정책적 실천적 관심을 기울여야 함을 시사하였다. 이 연구는 이러한 실증분석과 함께 북한이탈주민을 지원하는 전국의 지역사회종합복지관의 사업내용을 분석하였고, 지역차원의 북한이탈주민 지역협의회의 운영현황을 분석하였다. 지방의 사례로서는 부산지역을 선택하였는바 연구의 편의성과 함께 서울수도권지역 이외의 지역으로서 가장 많은 북한이탈주민이 거주하고 이들을 지원하는 민간의 사업이 영세하나마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이 글의 사회복지학 분야의 기여는 기존의 지역사회자원동원과 지역네트워킹에 관련된 이론적 실천적 배경을 북한이탈주민 지원사업분야에 접목하였다는 것이다.

  • PDF

비정부기구를 통한 남북한 구강보건의료 교류의 현황과 전망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oral health services exchange from South and North Korea through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 한동헌;신터전;명훈;이승표;김종철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3권10호
    • /
    • pp.705-711
    • /
    • 2015
  • South Korea's oral health care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have played a crucial role in South-North relations, although a formal intergovernmental relationship is difficult to establish and also easily breaks down. Humanitarian assistance by NGOs in the oral health care sector is an area that receives wide support from South Korean society for its urgency and for its appeal to humanity. This humanitarian assistance started in the late 1990's and continued to grow until the late 2000's. This assistance continued throughout the tension between the two administrations that resulted in a radical decrease in overall assistance from South Korea to North Korea. However, concerns remain about the transparency and efficiency of NGO activities. In this article, the NGOs and their major activities are delineated, and South Korean legislation is examined. A current act, the Law on the Development of South and North Korean Relations serves as a basis for governmental regulation and support of NGO's. Humanitarian assistance in the oral healthcare area is directly related to the oral health of the North Korean people, and it should not be influenced by political changes. Long-term planning and close discussions between NGOs, their North Korean counterparts, an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re needed. NGOs need to overcome their shortcomings such as a lack of expertise and shortage of financial support. For this, NGOs must improve their administration transparency and professionalism.

중소기업의 스마트팩토리 도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정부지원기대와 과업기술적합도를 포함하여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Introduce Smart Factory in SMEs - Including Government Assistance Expectancy and Task Technology Fit -)

  • 김정래
    • 벤처혁신연구
    • /
    • 제3권2호
    • /
    • pp.41-76
    • /
    • 2020
  • 본 연구는 스마트팩토리 도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4차산업혁명의 핵심분야인 스마트팩토리 도입에 있어서 어떤 요인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이며, 아직까지 스마트팩토리 분야에서 기술 수용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학술적 실무적 의의가 있다고 믿는다. 정보기술의 수용요인 연구에 설명력이 검증된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을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UTAUT 이론의 4가지 독립변수인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영향, 촉진조건에 추가로 스마트팩토리의 특성상 중요한 요인으로 예상되는 정부지원기대(Government Assistance Expectancy)를 독립변수에 추가하였다. 또한 스마트팩토리 기술수용의 기술적인 요인을 확인하고자 과업기술적합도(Task Technology Fit)변수 추가하여 스마트팩토리 도입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과업기술적합도의 선행변수인 과업특성(Task Characteristics)과 기술특성(Technology Characteristics)이 과업기술적합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도 진행하였다. 새로운 기술에 대한 신뢰(Trust)의 정도가 기술의 수용에 있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어 신뢰를 매개변수로 추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정보기술에 의한 혁신이 사용자에게 불가피하게 거부감을 야기할 수 있다는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혁신저항(Innovation Resistance)을 조절역할을 하는 연구변수에 추가하여 실증적 검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정부지원기대, 과업기술적합도는 스마트팩토리 도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영향력의 크기는 정부지원기대(β=.487) > 과업기술적합도(β=.218) > 성과기대(β=.205) > 사회적영향(β=.204) 순으로 나타났다. 과업특성과 기술특성은 모두 과업기술적합도에 정(+)의 영향이 확인되었으며, 과업특성(β=.559)이 기술특성(β=.328)보다 과업기술적합도에 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에 대한 매개 효과 검정에서 6개 독립변수 각각과 스마트팩토리 도입의도 간에 신뢰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역할은 확인되지 않았다. 혁신저항의 조절효과 검정을 통해, 혁신저항이 정부지원기대와 스마트팩토리 도입의도 간 정(+)의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혁신저항이 크면 클수록 정부지원기대가 스마트팩토리 도입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혁신저항이 적은 경우보다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형 차량 안전 시스템의 잠재적 안전 효과 분석 연구 (Potential Safety Benefit Analysis of Cooperative Driver Assistance Systems Via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s)

  • 강지웅;송봉섭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28-141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6대 협력형 차량 안전 시스템 대한 잠재적인 사회적 안전효과를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협력형 차량 안전시스템의 도입 및 확산을 위해서는 사회적으로 어떠한 파급효과를 가져올지에 대하여 안전 시스템 별 정량적 분석이 필요하다. 국내에서 사고유형 기반으로 분석이 이루어진 사례들이 있으나, 사고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 분석방법론을 찾아보기 어렵다. 이러한 방법론을 제시하기 위해서 우선 승용차나 승합차만을 대상으로 한 국내 사망교통사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고 시나리오를 분류한다. 다음으로 사고 시나리오를 분석하여 협력형 차량 안전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를 선정하고 결과적으로 사망 사고 빈도수를 통해 안전 시스템의 잠재적인 사회적 안전효과를 정량적으로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안전효과의 정량적 분석을 이용하여 협력형 차량 안전 시스템의 인증을 위한 대표 평가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노동공급 효과 (The Effect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on labor supply)

  • 이상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2호
    • /
    • pp.71-91
    • /
    • 2004
  • 2000년 10월부터 시행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는 기존에 근로무능력 빈곤가구에게만 제한되어 지급되던 현금지원을 근로능력 빈곤가구에게로 확대하였다. 근로능력가구에 대한 현금지원은 전국민에게 기초보장을 제공한다는 긍정적 측면에도 불구하고 저소득층들의 노동공급을 감소시킬 것이라는 우려를 야기하여 왔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1-5차 자료를 이용하여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영향을 받을 프로그램집단으로 근로능력가구의 저학력자를 설정하고 이중차이모델(difference-in-difference model)을 이용하여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노동공급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는 취업과 근로시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에서는 근로능력자에 대한 현금지원이 노동공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제시한다기보다는, 오히려 제도내용이나 실시기간의 제한성 또는 조건부수급제도의 영향 등을 반영한 것으로 보여진다.

  • PDF

독거노인의 ICT 기반 돌봄 보조 기기 사용의향 및 필요 기능 인식에 대한 기술적 연구 (Usage intention and recognition of necessary functions for ICT-based care devices in older adults living alone)

  • 백민소;신준섭;신유선
    • 한국노년학
    • /
    • 제41권1호
    • /
    • pp.25-48
    • /
    • 2021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ICT 기반 돌봄 보조 기기에 대한 사용의향 및 필요 기능을 고찰함으로써 추후 독거노인을 위한 ICT 활용 돌봄 보조 기기의 기능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소재 1개의 도농복합도시를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여 지역 내에 거주하는 독거노인 2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독거노인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돌봄 보조기기의 기능은 다양하였으며, 많은 독거노인이 ICT 기반 돌봄 보조기기를 활용해 볼 의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기능에 대한 필요도 인식의 경우, 독거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질병 및 신체기능 특성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였다. 특히 골다공증, 우울증 및 불면증 여부, 일상생활수행능력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제한 여부는 기능의 필요성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독거노인이 건강하게, 자립적으로 자신의 집에 거주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는 ICT 기반 돌봄 보조기기의 기능이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하며, 독거노인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 관련 특성별 필요도에 따른 개별화된 서비스 및 맞춤형 기기의 제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장애아동 양육을 위한 어머니의 정보요구에 관한 연구 (Information Needs Expressed by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정귀옥;이종렬;박천만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95-213
    • /
    • 2005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fostering stress and mental health state that mothers of handicapped children perceive as primary care givers and to analyze their demand for information assistance in order to release their stress so that it can provide materials that contribute to establishment of assistance system for families with handicapped children. Methods: The research subjects were 340 mothers whose children went to a nursery for special children, 3 general nurseries and 6 special schools in Daegu, an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s questionnaires. The survey analyzed mothers' fostering stress, their demand for fostering information assistance, children's daily activity abilities. Component concepts of each scale was validated by adopt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factors affecting demand for fostering information assistance were analyzed by adopting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Results: Younger mothers tend to have higher demand for information, and mothers with younger children or children with double handicaps also have higher demand. Mothers under 30 have the lowest demand for public health and medical care assistance and for home and community life assistance, while mothers with children with physical handicaps have the highest. The validity of component concepts was verified by categorizing as cognitive structure models fostering stress, information demand, children's daily activity abilities, and their appropriateness was evaluat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nd then, GFI (more than 0.9), CFI (more than 0.9), TLI (more than 0.9) and RMSAE (less than 0.08) were used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It was found that all the component concepts are valid, as every item is within appropriate range. The result of analyzing information demand demonstrated that children's handicap levels significantly affect their mothers' mental health, while fostering stress significantly affect mothers' metal health, information demand. As well, it was confirmed that mothers' mental healt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nformation demand. Conclusions: Therefore, to reduce special children's mothers' uncertainty, helplessness and fostering burden,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information on children's challenges, development and fostering and to offer them quality public health, medical care and welfare assistance along with family and local community life assi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