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activity satisfaction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28초

SNS 공연예술 정보서비스품질이 초기신뢰와 프로슈머 활동에 미치는 영향: 무용공연을 중심으로 (An Effect of SNS Performance and Arts Information Service Quality on Initial Trust and Prosumer Activity: Focusing on Dance Performance)

  • 박선우;조철호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99-214
    • /
    • 2016
  •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casual relationships among performance and arts information service quality, initial trust, user satisfaction, reuse intention and prosumer activity in social network service(SNS). Also, we intended to explore significant factors on use performance of SNS through causal model analysis in the viewpoint of total effect. Methods: As a survey tool, questionnaire has obtained validity and reliability through literature survey, exploratory survey and pretest and sample 403 was selected. For statistical treatment of pretest and main analysis, SPSS18.0 and AMOS18.0 were employed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as analysis method. Results: Result of this study shows as follows. Two factors (precision and reciprocal action) have an effect on user satisfaction, initial trust, reuse intention and prosumer activity. We found that with an importance of initial trust, prosumer activity can be a useful and significant factor in causal relationship of SN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two factors(precision and reciprocal action) in via of initial trust, were important factors that related companies have to emphasize to raise performance, And also we confirmed new factor 'prosumer activity' through this study. However, the present study has some limitations to be studied in the future.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erception Changes to Pre COVID-19, Leisure Satisfaction, Work-Family Conflict, and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Working Women

  • Shin, Hyo-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4호
    • /
    • pp.9-15
    • /
    • 2023
  • The outbreak of COVID-19 has significantly impacted various facets of individuals' lives, including perceptions, leisure activities, work-family balance, and overall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ntricate relationships among changes in perceptions due to COVID-19,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work-family conflict, and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working women. Employing path analysis, we examined a dataset of 1,973 married working women drawn from the 8th Korean Women and Families Panel Survey. The findings indicate that while changes in perception associated with COVID-19 did not directly affect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y did significantly decrease work-family conflict, indirectly leading to heightened life satisfaction. Additionally,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emerged as a mitigating factor for work-family conflict, contributing to enhanced life satisfaction. These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interplay between external factors, individual perceptions, and well-being, offering insights for devising tailored strategies. The study holds significance in guiding policies and interventions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for married working women in the context of evolving pandemic challenges.

사회활동과 종교 및 영성이 한국노인들의 우울증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Impact of Social Activities and Religion/Spirituality 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Korean Elderly)

  • 강선경;김헌진
    • 한국인구학
    • /
    • 제34권2호
    • /
    • pp.163-190
    • /
    • 2011
  • 본 연구는 65세에서 80세 사이의 연령대에 있는 서울/경기지역 노인복지센터에 참여하는 217명의 한국 노인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활동, 종교적 경험, 영성 수행 등이 노인 우울증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종교 및 영성에 관련된 변수는 일상적 영성 경험, 가치관, 관용, 개인의 종교 활동, 종교 및 영적 수양, 종교적 지지 등 여섯 가지 영역으로 나뉘어 측정되었다. 사회활동과 종교 및 영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회활동척도 (Social Activities Scale)와 종교/영성 다중체계 척도 (Brief Multidimensional Measure of Religiosity/Spirituality)를 사용하였으며, 우울증 측정을 위해서는 노인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를 적용하는 동시에 삶의 만족도 측정은 삶의 만족척도 (satisfaction with Life Scale)를 사용하였다. 인구학적 변인들을 통제한 후 분석한 연구결과, 높은 수준의 종교 및 영적 수양, 사회활동, 높은 소득수준, 낮은 수준의 일상적 영성 경험이 노인들의 우울증 발생에 낮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일수록, 고령일수록, 사회활동이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 및 사회복지 실천에 대한 함의를 논하였다.

노인들의 사회활동 참여와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광주시와 전남지역 노인들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Elderly Social Activity and Depression on Elderly Well Being)

  • 김남현;정민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496-506
    • /
    • 2017
  • 본 논문은 노인들의 삶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삶의 질 또는 만족도를 살펴보는 것으로 노인들의 삶이 질이 높아야만 우리사회의 궁극적인 목적인 사회통합이 이루어 질 것이다.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사회활동 참여를 투입변인으로 하여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치는 지를 파악하고 이들 변인들 사이에서 우울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살펴보고서 건강한 노인들의 삶을 영위하는데 실천적 도움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광주시와 전남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결과 사회활동 참여는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에 대한 매개효과는 삶의 질에 직 간접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가 높으면 우울이 감소되고 우울이 감소되면 삶의 질이 높아진다.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성공적 노화를 가져오기 위해 노인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우울의 심리상태를 극복하는 다양한 사회복지적 대책이 시급하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노인복지 정책이 더욱 충실하게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어머니의 여가지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isure Activity of Young People and the Leisure Guidance of Mothers)

  • 박형숙;신효식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7권2호
    • /
    • pp.15-30
    • /
    • 1989
  • This study deals with the following problems about leisure activity of young people and leisure guidance of mothers, (1) Leisure activity of children by the independent variables, (2) Leisure guidance of mothers by the independent variables. (3) The relation between leisure guidance of mothers and leisure activity of young people. This research used the questionaire survey. The subjects were 830 couples of mother and pupil (pupils of 4, 5 and t grades in six primary school in Kwang-Ju city). The statistic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percentage, t, F-test, X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Boys and girls average leisure hours: week days…2 hour, saturday…3 hours, Sunday and holiday…4.5 hours, the school vacation…6.2 hours. And leisure activity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age, educational level, family form (p 0.001, p 0.05, p 0.010). Generally, they had social & amusing leisure activity. And a hindrance cause of leisure activ ty is due to hard working in learning practice. (2) The necessity of leisure activity showed higher in the aged mother and high educated mother, lower in the poor family. And guidance content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of children(p 0.001), educational level of parents(p 0.05). Actually mothers wanted intellectual leisure activity. (3) The relation between the leisure activity pattern desired by leisure activity of mothers and children pattern showed that mothers demanded the various patterns, but children wanted social & amusing leisure activities mainly. Only children's patterns agreed with mothers in the artistic, intellectual, activities on Saturday and during the vacation. And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satisfaction degree in the leisure activity of children and children's satisfaction degree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Children's satisfaction degree is high, irrespective of mothers satisfaction degree.

  • PDF

저소득층 부모가 지각한 부모효능감, 결혼만족도, 사회적지지와 지역사회환경의 질이 가정 중심 유아교육의 부모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Parental Efficacy, Marriage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Neighborhood Context as Predictors of Parent Involvement in Low Income Preschool Children's Education)

  • 이진화;임원신;김경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61-774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fficacy, marriage satisfaction, social support, neighborhood context, and parental involvement in preschool children's education in low income families. Total 460 low income parents' data about parental efficacy, marriage satisfaction, social support, neighborhood context, and parental involvement are collected from the data of index studies for Korean child and adolescent's development in 2009. Parental efficacy, marriage satisfactio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perceived neighborhood context correlated positively with parental involvement. Regression analysis detected different patterns of association between these variables and the three dimensions of parent involvement. Perceived neighborhood context was associated with child care involvement, while parental efficacy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related to child leisure involvement. Marriage satisfaction was the strongest factor influencing involvement in children's educational activity. These results support the validity of a multi-dimensional, ecological conceptualization of parent involvement in low income families.

노년기 여가활동 활성화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 노인의 여가활동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 (The Basic Study on Activating the Education of Leisure Activity for the Old Age -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ies(level and types)and life satisfaction -)

  • 정유리;이신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49-63
    • /
    • 2013
  • 본 연구는 노인의 여가활동 정도와 유형이 생활만족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노년기 여가활동의 중요성을 밝히고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높힐 수 있도록 여가활동 활성과 교육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며 여가교육에 있어 가정과 교육의 중요성을 논하고 있다.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남 동부권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남녀노인 28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검증,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정도 및 유형과 생활만족도의 정도를 알아본 결과 가장 많이 참여하는 여가활동 유형은 소일거리 활동과 가족중심활동이었으며 자기개발 활동 및 종교, 사회봉사활동에는 참여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들의 여가활동은 생활수준이 높을 때, 가정분위기가 좋을 때, 건강이 좋을 때 여가활동에 더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활동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오락 및 사교활동에 참여할 때, 자기개발활동에 참여할 때, 가족중심활동에 많이 참여할 때 생활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가활동을 많이 한 노인일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길어진 노후생활에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우리 문화에 맞는 노인여가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이에 대한 참여가 필요하다. 그리고 노인의 여가활동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가정과 교육이 교과내용으로 다루고 이를 실천해야 할 것이다.

  • PDF

사회계층 변수에 따른 여가 격차 : 여가 유형과 여가 및 삶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ocial Class on the Leisure Activities in Korea: based on types and satisfaction of leisure activities)

  • 남은영;최유정
    • 한국인구학
    • /
    • 제31권3호
    • /
    • pp.57-84
    • /
    • 2008
  • 본 연구는 한국 여가문화의 유형과 사회계층 변수별 차이를 규명하는 한편, 계층 변수가 여가의 객관적, 주관적 차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전국가구에 거주하는 1376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활동의 전반적 실태를 살펴보면 여전히 가장 많이 영위되는 여가활동은 TV/DVD/비디오 보기이고 그 밖에도 주로 집에서 할 수 있는 활동들이 선호된다. 여가 유형은 "활동형"과 "음주형", "휴식형", "관계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여가의 기능은 주로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강화시켜주는 것이다. 여가의 목적으로는 휴식과 재충전이 가장 중시되고, 유용한 대인관계 형성이 그 다음이다. 또한 자유시간에 일 생각을 많이 하는 등 여가에 대한 효용감이 낮다. 셋째, 관계형, 활동형, 음주형 여가에서 고학력, 고소득층의 참여 정도가 확연히 높다. 휴식형 여가에서는 교육과 소득에 따른 차이가 없다. 직업별로는 학생과 주부의 참여도가 전 여가유형에서 높은 가운데, 관리/전문직 및 사무직/준전문직이 상대적으로 다양한 여가활동을 즐기고 있다. 넷째, 여가활동의 객관적 수준을 나타내는 여가활동지수에 대한 소득, 교육, 직업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한 결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여가활동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여가활동지수가 여가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가운데, 남성이 여성보다, 연령이 높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여가만족도가 높다. 직종별로는 학생이 여가만족도가 높고 판매서비스직과 생산/기능/노무직은 낮다. 동거가족수는 여가만족도와 반비례한다. 활동형 여가가 가장 여가만족도가 높고 음주형 여가가 가장 낮다. 여가활동을 다양하게 자주 즐길수록 삶의 만족도가 증가하고 활동형 여가가 삶의 만족도를 가장 크게 향상시킨다.

노인의 여가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Leisure Activity and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 이갑숙;임왕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291-306
    • /
    • 2012
  • 본 연구는 노인의 여가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역할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소재 노인종합복지관, 노인대학 및 노인문화센터 10곳의 여가활동프로그램에 참여하는 347명의 노인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도구로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한 주된 분석방법으로는 단계적 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생산적 여가활동은 심리적 복지감의 긍정적 차원인 생활만족도의 증진과 부정적 차원인 고독감의 감소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나, 소비적 여가활동은 생활만족도의 증진에만 상대적으로 작은 영향을 미쳤다. 둘째로, 생활만족도 증진에는 배우자지지가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그 다음으로 자녀지지, 친구지지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에, 고독감 감소에는 친구지지가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그 다음이 배우자지지였으며, 자녀지지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지의 세 유형 중에서 배우자지지와 친구지지의 두 유형이 생산적 여가활동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며, 생산적 여가활동과 고독감 간의관계에 대해서는 친구지지만 조절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갖는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으며, 향후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청소년 또래집단 내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긍정적 자아개념과의 관계에서 스포츠활동 만족도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ports Activity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Communication Skills and Positive Self-concept within Peer Group)

  • 김기섭;장익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365-373
    • /
    • 2017
  • 본 연구는 청소년 또래집단 내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긍정적 자아개념과의 관계에서 스포츠활동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2016년 05월 경기도에 소재한 4개 남자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중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250명의 학생을 집락무선 표집방법을 통해 설문지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조사 내용 중 일부가 누락되어진 무성의한 자료 18부를 제외한 총 232부의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조절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포츠활동 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만족, 신체적 만족, 환경적 만족 그리고 교육적 만족은 청소년 또래집단 내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긍정적 자아개념의 관계에 있어서 중요한 조절효과가 있다. 다시 말하면, 청소년 또래집단 내에서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긍정적 자아개념에 중요한 변인이지만 스포츠활동 만족도가 조절변인으로 투입되었을 때 청소년 또래집단 내 긍정적 자아개념은 훨씬 더 향상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