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 screen

검색결과 410건 처리시간 0.036초

좁은 화면(small-size screen)을 통한 정보 탐색 패턴에 정서 상태가 마치는 효과 (The effect of emotional state on information search pattern with small-size screen)

  • 김혁;한광희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627-632
    • /
    • 2006
  • 최근 들어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 분야에서 기존의 인지적인 측면 이외에 정서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좁은 화면을 통해 정보검색을 수행 할 때 정서 상태에 따라 정보 검색 패턴이 다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참가자들의 정서 상태를 인위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검색과제를 수행하기 전에 긍정적인 정서와 부정적인 정서를 유발시킬 수 있는 음악을 듣게 하였고 동시에 자신의 과거 기역으로부터 긍정적인 정서 혹은 부정적인 정서를 유발 시킬 수 있는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정서 유발 과정이 끝난 뒤 각 실험 참가자들은 좁은 화면을 통해 정보 탐색 과제를 수행하였다. 정보 탐색 과제는 주어진 시간 동안 제시되는 나라들에 대한 여행 정보를 검색하는 것이었고 정보 검색이 이루어지는 동안 소요된 시간 및 검색 페이지 링크가 기록되었다. 실험결과 긍정적인 정서상태에서는 중립 상태와 부정적인 정서 상태에 비해서 보다 광범위하고 빠른 정보검색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제한된 화면공간에서의 메뉴설계 (Design of a menu on a limited screen space)

  • 곽지영;최재호;조항준;한성호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1994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창원대학교; 08월 09일 Apr. 1994
    • /
    • pp.93-102
    • /
    • 1994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provide guidelines for the design a menu on a limited screen space. Printers, facsimiles, copiers, etc. usually employ a small LCD, which provides either 8 or 16 characters to present functions and system status. Menu type, menu structure, and experience in menu structure were manipulated by using a within-subjects experimental design. The results imply that design recommendations for a menu on a limited screen space should be different from those for an ordinary CRT screen.

비젼 기반의 포인팅 기기를 위한 퍼지 스크린 검출기 (Fuzzy Screen Detector for a Vision Based Pointing Device)

  • 고재원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58권3호
    • /
    • pp.297-302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 advanced screen detector as a tool for selecting the object for tracking and estimating its distance from a screen using fuzzy logic in vision based pointing device. Our system classifies the line component of the input image into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and applies the fuzzy rule to obtain the best line pair which constitute peripheral framework of the screen. The proposed system improves the detection ratio for detecting the screen in relative to the detector used in the previous works for hand-held type vision based pointing device. Also it allows to detect the screen even though a small part of it may be hidden behind other object.

비디오 월 컨트롤러의 블랙 스크린 감지를 위한 데이터셋 생성 (Generation of Dataset for Detection of Black Screen in Video Wall Controller)

  • 김성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21-523
    • /
    • 2021
  • 데이터 증강은 데이터셋의 양이 충분하지 않을 때 소량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데이터의 양을 늘리는 기법이다.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해 손쉽게 얻을 수 있는 데이터는 많아졌지만 의학과 같이 데이터의 수집이 곤란한 분야도 여전히 남아 있다. 블랙 스크린 감지 모델에서 사용하는 비디오 월 컨트롤러에서 블랙 스크린이 발생한 이미지도 수집하기 어려운 데이터인데, 이는 비디오 월 컨트롤러를 운용하고 있는 중에 블랙 스크린이 발생하는 빈도가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월 컨트롤러에서 수집한 소량의 블랙 스크린 이미지를 활용하여 DCGAN을 훈련한 후 DCGAN의 생성자로 대량의 데이터셋을 생성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 PDF

Large viewing angle walk through type display using smoke screen

  • Sato, Koki;Takano, Kunihiko;Ohki, Makoto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9년도 IWAIT
    • /
    • pp.790-793
    • /
    • 2009
  • In the case of projection type display, it needs to use the screen in order to project the image clearly and wide viewing angle. We have been developing the step in type display system using the smoke screen. However, the image with smoke screen was flickered by gravity and air flow. Then we considered to reduce the flicker of the image and we found that flicker can be reduced and viewing angle becomes more large. This time we report the large viewing angle step in type display system using screen made up with very small particle size smoke and flow controlled nozzle. Hence, at first we considered the most suitable particle for the screen and then the shape of screen and then we constructed the array of flow controlled smoke screen. By the results of experiment we could get considerably high contrast flicker-less image and get the viewing angle more than $60^{\circ}$ by this flow controlled nozzle attached new type smoke screen and make clear the efficiency of this method.

  • PDF

Identification of Small GTPases That Phosphorylate IRF3 through TBK1 Activation Using an Active Mutant Library Screen

  • Jae-Hyun Yu;Eun-Yi Moon;Jiyoon Kim;Ja Hyun Ko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1권1호
    • /
    • pp.48-58
    • /
    • 2023
  • Interferon regulatory factor 3 (IRF3) integrates both immunological and non-immunological inputs to control cell survival and death. Small GTPases are versatile functional switches that lie on the very upstream in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of which duration of activation is very transient. The large number of homologous proteins and the requirement for site-directed mutagenesis have hindered attempts to investigate the link between small GTPases and IRF3. Here, we constructed a constitutively active mutant expression library for small GTPase expression using Gibson assembly cloning. Small-scale screening identified multiple GTPases capable of promoting IRF3 phosphorylation. Intriguingly, 27 of 152 GTPases, including ARF1, RHEB, RHEBL1, and RAN, were found to increase IRF3 phosphorylation. Unbiased screening enabled us to investigate the sequence-activity relationship between the GTPases and IRF3. We found that the regulation of IRF3 by small GTPases was dependent on TBK1. Our work reveals the significant contribution of GTPases in IRF3 signaling and the potential role of IRF3 in GTPase function, providing a novel therapeutic approach against diseases with GTPase overexpression or active mutations, such as cancer.

구간 평면 모델을 사용한 곡면 스크린 상의 영상 왜곡 보정 (Compensation of Image Distortion on a Curved Screen using a Piecewise Planar Model)

  • 이경미;이병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3C호
    • /
    • pp.264-270
    • /
    • 2010
  • 몰입감을 주기 위한 초대형 화면을 생성하기 위하여 원통이나 구 모양의 곡면 스크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방법에서 스크린을 2차 곡면으로 모델링하여 영상이 스크린의 3차원 평면위에 투영되는 대응점을 찾기 위하여 2차 행렬을 이용한다. 기하학적 영상 보정 후에도 스크린의 모양에 약간의 변화나 움직임이 생길 경우에 2차 행렬이 변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스크린의 움직임 및 변화가 작은 경우 약간의 움직임에 의해 변형된 2차행렬을 구하기 위해 3차원 정보를 새로이 구하지 않고, 스크린을 부분적인 평면으로 근사하여 영상의 기하학적 왜곡을 보정을 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제 프로젝터로 곡면 스크린에 영상을 투영한 후 스크린을 움직였을 때 스크린의 움직임에 대해 제안한 부분적 평면 근사화 방법으로 왜곡을 보정하는 실험을 통해 스크린이 움직이기 전과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FM Screen을 이용한 高精細 스크린 인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creen printing of high definition used FM screen)

  • 김기호;조가람;구철회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1-43
    • /
    • 2002
  • Screen printing is a stencil process whereby ink is transferred to the substrate through a stencil supported by a fine fabric mesh. Therefore screen had a tendency to distort and swell, as ink was deposited between the fibers, and were difficult to clean. The tow importance of stencil parameters that affect print quality are stencil thread diameter and the fabric thickness because of their influence on both ink deposit and print definition. Since screen printing inks can be formulated to adhere to almost any surface, and the printing process itself can be handled almost any substrate in a wide variety of shape, screen printing is a very versatile process. The small size pronting is reproduced image used screen printing because the surface of substrates is not suited at screen printing method. In screen printing, the need of high definition printing is gradually increasing according to developing special inks. A conventional haftone, so called AM screening, is simple and easy to implement, but the haftone dot patterns by using this method are not free for the moire fringe. This paper is used densitometry and image analysis to investigate relation with printing according to screen mesh, opening size and resolution of copy in image reproduction used FM screen. We had the good result of dot gain and tone reproduction on the screen printing of high definition using FM screen.

  • PDF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과 재래식 스크린 날염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extile Printing and Traditional Screen Printing)

  • 정용순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363-372
    • /
    • 2004
  • 2000년대는 디지털 시대, 정보기술의 시대로 유행의 회전속도도 빨라지고 있으며 개성화, 고급화된 소비자의 성향에 맞추어 주문식 소량생산 시대로 전환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재래식 날염 생산 방식만으로는 경쟁력을 갖기 힘들고 변화하는 시장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섬유선진국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으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하며 소비자의 요구에 얼마나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생산체제를 갖추고 있는가가 중요한 경쟁력 확보의 요인이 된다. 대량생산에 있어서는 재래식 스크린 날염이 속도나 생산비용에 있어 훨씬 경제적이지만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시스템은 디자인에서부터 날염까지의 공정을 디지털화함으로써 제도, 분판, 제판의 복잡한 과정 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생산할 수 있는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한 날염방식으로 고부가 섬유제품의 생산에 있어 경쟁력이 있고 앞으로 환경문제를 생각할 때 더욱 기대되는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유연한 다공성 스크린을 가진 헬름홀쯔 공명기의 흡음특성 (Absorptive Characteristics of a Helmholtz Resonator Damped by a Flexible Porous Screen)

  • 김상렬;김양한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865-868
    • /
    • 2005
  • A Helmholtz resonator is one of noise control elements widely used in many practical applications. The resonator has very high absorption at resonance frequency but the frequency bandwidth is very small. Therefore many kinds of additional resistive screens have been applied to the resonator's neck in order to increase the bandwidth. This paper discusses the absorptive characteristics of a Helmholtz resonator damped by a flexible porous screen in form of wire mesh. First, various experimental results are introduced and studied. Secondly, the effect of the resistive screen is theoretically predicted. It is show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creen and aperture affects on the resonance frequency as well as the absorption of the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