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ide

검색결과 979건 처리시간 0.046초

WebDAV 기반의 협업시스템을 위한 Jabber 메신저 (Jabber Messenger for a WebDAV-based Collaborative System)

  • 이홍창;박진호;김성훈;이명준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4C권6호
    • /
    • pp.509-518
    • /
    • 2007
  • Jakarta Slide는 아파치 프로젝트 중의 하나로 개발된 WebDAV 서버로서 인터넷 상에서 다양한 콘텐츠의 비동기적인 협업 활동을 지원한다. 하지만 WebDAV 프로토콜은 사용자와 그룹을 위한 가상 작업공간을 명시적으로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Jakarta Slide를 통하여 복잡한 협업을 지원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CoSlide 협업시스템은 Jakarta Slide의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확장된 시스템으로서 그룹작업을 위한 다양한 가상 작업공간을 지원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협업 환경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CoSlide 협업시스템을 위한 CoJBother 메신저의 개발에 대하여 기술한다. CoJBother는 표준 Jabber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JBother 메신저를 확장하여 개발되었으며, CoSlide 협업시스템의 사용자와 그룹을 지원하기 위하여 Jabber 프로토콜이 확장되었다. CoJBother는 일반 Jabber 사용자와 그룹에 대한 정보와 더불어 CoSiide 협업시스템의 사용자와 그룹의 정보를 표시한다. CoSlide를 통하여 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는 CoJBother를 통하여 별도의 관리 작업 없이 그룹 구성원들과 그룹 채팅을 수행할 수 있다.

Fuzzy Slide Mode Control을 이용한 Control Actuator System (Control Actuator System used in Fuzzy Slide Mode Control)

  • 양문상;이영우;정순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B
    • /
    • pp.199-202
    • /
    • 2008
  • 본 논문은 Fuzzy Slide Mode Control 및 BLDC모터를 이용하여 공기의 부하를 모사한 Actuator System에 관한 연구이다.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으로 PID, PD, fuzzy Slide Mode Control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고 외란의 영향에 강한 Fuzzy Slide Mode Control을 적용하였다. 모터의 토크를 제어하여 실제 공기 부하에 맞는 토크를 모사함으로써 최대 2.3Nm의 토크와 50Hz의 응답 특성을 얻었다.

  • PDF

CoSlide 협업시스템을 위한 관리 도구 (An Administration Tool for CoSlide Collaborative System)

  • 이홍창;신원준;김동호;이명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 (D)
    • /
    • pp.642-646
    • /
    • 2006
  • Jakarta-Slide는 Tomcat 웹서버의 WebDAV 프로토콜 지원 모듈로서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콘텐츠의 비동기적인 협업을 지원한다. CoSlide 협업시스템은 이러한 Jakarta-Slide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협업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CoSlide 협업시스템은 협업을 위한 가상공간을 제공하며 다양한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가상공간에 자원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CoSlide 협업시스템을 많은 사용자나 그룹이 사용하게 될 경우 가상공간과 자원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의 CoSlide 협업시스템에서는 이러한 가상공간과 자원에 대한 전문적인 관리 기능을 지원하는 도구가 지원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관리 작업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oSlide 협업시스템의 관리 도구 개발에 대하여 기술한다. CoSlide 관리 도구는 Tomcat Administrator Tool을 확장하여 구현되었으며, 효과적인 가상공간과 사용자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시스템 관리자는 CoSlide 관리 도구를 통하여 협업에 참여하는 사용자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업에 따라 개인 가상공간이 자동적으로 관리된다. 또한 그룹 가상공간의 정보를 제공하며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들을 파악하고 등록된 가상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효과적인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 PDF

CoSpace: 효과적인 협업 작업을 지원하는 윈도우즈 웹데브 클라이언트 (CoSace: A Windows WebDAV Client Supporting Effective Collaborative Works)

  • 이홍창;박진호;이명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79-89
    • /
    • 2009
  • 웹데브는 비동기적인 협업 저작을 지원하는 IETF의 표준 프로토콜로서 다양한 콘텐츠의 저작과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웹 기반의 하부구조를 제공한다. CoSlide는 웹데브 프로토콜을 통하여 다양한 작업공간과 협업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Jakarta Slide를 확장하여 개발되었다. CoSlide 서버는 다양한 사용자의 정보 저장 및 공유를 위한 작업공간을 지원하며 자원의 효과적인 공동저작을 위한 환경을 제공한다. 실제적인 협업 활동은 CoSlide 서버에서 제공하는 협업서비스들을 활용하여 협업 수행기능을 제공하는 협업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본 논문은 CoSlide서버와 함께 동작하여 효과적인 협업 환경을 제공하는 CoSpace협업시스템 클라이언트의 개발에 대하여 기술한다. CoSpace는 CoSlide서버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작업공간에 접근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작업공간의 자원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특별히 자원의 공동저작을 위한 저작도구 자동연결 자동 잠금 처리 드래그앤드랍을 이용한 자원 이동 등의 향상된 자원 제어기능을 제공한다.

Jakarta Slide의 사용자 관리를 위한 도구 (A User Administration Tool for Jakarta Slide)

  • 이홍창;신원준;박양수;이명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1 (D)
    • /
    • pp.76-78
    • /
    • 2006
  • Jakarta-Slide는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의 비동기적인 협업 저작을 지원하는 WebDAV 서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Jakarta-Slide를 사용하여 개별 사용자가 원격지 자원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등록된 개별 사용자에게 적절한 접근 권한이 부여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의 Jakarta-slide에서는 이러한 사용자 관리를 시스템 관리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처리하여야 하므로 관리 작업이 복잡하고 비효과적이다. 따라서 Tomcat 서버에서 사용자를 관리하는 Tomcat Admin 관리도구처럼 Jakarta-Slide의 사용자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관리도구가 지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논문에서는 Jakarta-Slide의 사용자 관리도구 개발에 대하여 기술한다. Jakarta-Slide Admin 관리도구는 Tomcat Admin 관리도구를 확장하여 구현되었으며, 효과적인 사용자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시스템 관리자는 개발된 관리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생성, 삭제할 수 있으며 역할을 추가하여 사용자에게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 PDF

Bathythermograph Smoked-glass slide의 간역제작법 (SELF-PREPARATION OF BATHYTHERMOGRAPH SMOKED-GLASS SLIDE)

  • 허종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35-137
    • /
    • 1968
  • 1938년 A. F. Spillaus에 의하여 Bathythermograph가 고안된 이내 현재까지 수차 개량된 것이 제작판매하게 되어 해양조사 또는 어장탐색에 총중한 측기로 세계 각국에서 널리 보급되었다. 이 측기는 항해중이라도 수심 270m까지 내렸다 올림으로써 수심에 대한 수온이 동시에 연속된 일선으로 도은 또는 Smoked한 유리 판상에 기록되어 신속하게 수온의 미세한 수직분포를 알 수 있어 어장탐사에 필요한 나층의 판별과 그 수탐 및 수온의 판단에 큰 도움을 준다. 여기에서는 1, 2연전 이내 수산진흥원 산하 각 해구 시험소 및 교육기관을 비롯한 해양조사 관계기관에 다수양이 공급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B.T의 Smoked-glass slide가 없어 사용의 곤란성 및 일본 또는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의 귀찮은 수속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본원에서 실험 제작사용한 결과로서 간단하게 B.T Smoked glass Slide를 제작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CoSlide 협업 시스템을 위한 일정관리 도구 설계 (Design of a Scheduling Tool for the CoSlide Collaborative System)

  • 박진호;신원준;김성훈;이명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7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4 No.1 (D)
    • /
    • pp.445-448
    • /
    • 2007
  • CoSlide 협업 시스템은 CoSlide 서버와 CoSpace 클라이언트로 구성된다. CoSlide 서버는 시스템 사용자들의 자원 공유를 지원하는 Jakarta Slide 웹데브 서버의 확장으로서 협업 구성원들 간의 자원 공유를 위한 그룹작업장을 지원하며, CoSpace 클라이언트는 CoSlide 서버의 개인작업장, 그룹작업장과 공개작업장을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협업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그룹작업장 지원과 메신저 기능이외에 일정관리를 위한 도구가 필요하다. 일정관리를 위한 도구는 사용자들 간의 다양한 일정 공유와 동기화가 가능한 CalDAV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보다 손쉽게 개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CoSlide 협업시스템을 위한 일정관리 도구의 설계에 대하여 기술한다. 설계된 일정관리 도구는 CalDAV 프로토콜에 기반을 두고 CoSlide 협업시스템의 그룹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CalDAV 프로토콜에 반영하여 CalDAV 클라이언트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자바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CoSlide 협업시스템의 Awareness 지원 설계 (Design of Supporting Awareness on CoSlide Collaborative System using Java Message Service)

  • 김성훈;이홍창;박종문;이명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8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D)
    • /
    • pp.213-217
    • /
    • 2008
  • 협업시스템은 분산된 작업그룹의 구성원들이 정보를 쉽게 교환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동작업환경이다. HTTP/1.1 을 확장한 WebDAV는 사용자가 원거리 서버의 자원을 수정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웹 통신 프로토콜이다. CoSlide 협업시스템은 효과적으로 협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WebDAV 프로토콜을 확장하여 개발된 협업시스템으로서 협업을 위한 가상공 간을 제공하며 가상공간에 다양한 자원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하지만, CoSlide 협업시스템이 제공하는 기존의 작업장들은 그룹 구성원들간의 효과적인 협업을 위한 구성원들의 행위 인식 (Behavior Awareness) 을 지원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oSlide 협업시스템을 이용하여 협업을 수행할 때, 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구성원이 수행하는 행동을 인식할 수 있도록 자바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CoSlide 서버의 Awareness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CoSlide 서버의 Awareness 지원을 위하여 CoSlide 클라이언트인 CoSpace의 확장을 설계하였다. 사용자는 CoSpace 협업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협업을 수행하면 CoSlide 서버는 구성원이 수행하는 작업을 인식하고, 인식한 정보의 공개수준 여부와 수신여부를 참조하여 관련된 구성원에게 알려줌으로써 협업의 효율성이 증대된다.

  • PDF

월 슬라이드와 슬링 슬라이드 운동이 어깨뼈 아래쪽 돌림 증후군의 어깨뼈 주변 근육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Muscle Activities around Scapula for Wall Slide and Sling Slide Exercises in Subjects with Scapular Downward Rotation syndrome)

  • 임진용;김병곤;서현규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1-58
    • /
    • 2016
  • Background: Evidence for effective management of scapular downward rotation syndrome is limited.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scapular muscle activation through 4weeks wall slide exercise and sling slide exercise in subjects with scapular downward rotation syndrome. Methods: Twenty-two subjects with scapular downward rotation syndrome participated in the study. Surface electromyograph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upper and lower trapezius, serratus anterior and pectoralis major during shoulder flexion of $60^{\circ}$, $90^{\circ}$ and $120^{\circ}$ in the sagittal plane. The alignment of the scapula was measured using radiographic analysis. Subjects were assessed pre and post a 4 weeks exercise (wall slide, sling slide). The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e in pre- and post-exercise within each groups was assessed using a paired t-test.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all- and sling-exercise was used a independent t-test. Results: In the wall slide group, the muscle activity of upper trapezius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shoulder flexion at $60^{\circ}$, $90^{\circ}$ and $120^{\circ}$ after 4 weeks, and the muscle activity of serratus anterior increased significantly at all angles. Also, the muscle activity of pectoralis major decreased significantly at $90^{\circ}$ and $120^{\circ}$. Conclusions: Based on such results, it can be said that wall slide exercise is effective than sling slide exercise for the subjects with scapular downward rotation syndrome.

  • PDF

야경의 주관적 이미지에 관한 현지평가와 슬라이드평가의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Field and Slide Survey on Subjective Image of the Nightscape)

  • 안현태;문기훈;김정태
    • KIEAE Journal
    • /
    • 제7권2호
    • /
    • pp.31-37
    • /
    • 2007
  • Despite of many supportive research to the usefulness of slide evaluation on environment of outdoor lighting, study method of using slides have provoked many discussions of its manifestation of reality of field conditions.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results of slide survey with that of field survey. Distant view and short range view of nightscape of Seoul were selected. Field measurement of luminance and chromaticity were conducted and questionnaire survey were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T-test,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shows that distant view and short range view of field survey have better visual atmosphere than slide survey. In addition, slide survey on distant view shows lowest values. Difference between field survey and slide survey on distant view is much bigger than the results of short range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