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pping

검색결과 660건 처리시간 0.027초

패턴인식의 MLP 고속학습 알고리즘 (A Fast-Loaming Algorithm for MLP in Pattern Recognition)

  • 이태승;최호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8권3호
    • /
    • pp.344-355
    • /
    • 2002
  • MLP(multilayer perceptron)는 다른 패턴인식 방법에 비해 여러 가지 훌륭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패턴인식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MLP의 학습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EBP(error backpropagation) 알고리즘은 학습시간이 비교적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패턴인식에 사용되는 학습 데이타는 풍부한 중복특성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패턴마다 MLP의 내부변수를 갱신하는 온라인 계열의 학습방식이 속도의 향상에 상당한 효과가 있다. 일반적인 온라인 EBP 알고리즘에서는 내부변수 갱신시 고정된 학습률을 적용한다. 고정 학습률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패턴인식 웅용에서 상당한 속도개선을 얻을 수 있지만, 학습률이 고정되고 학습이 진행됨에 따라 학습패턴 영역이 달라지는 학습과정의 각 단계에 효과적으로 대웅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학습과정을 세 단계로 정의하고, 각 단계별로 필요한 패턴만을 학습에 반영하는 패턴별 가변학습속도 및 학습생략(ILVRS) 방법을 제안한다. ILVRS의 기본개념은 다음과 같다. 학습단계마다 학습에 필요한 패턴의 부분이 달라지므로 이를 구별 하여 학습에 적용할 수 있도록 (1)패턴마다 발생하는 오류치를 적절한 범위 이내로 제한하여 가변 학습률로 사용하고, (2)학습이 진행됨에 따라 불필요한 부분의 패턴을 학습에서 생략한다. 제안한 ILVRS의 성능을 입증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패턴인식 응용의 한 갈래인 화자증명을 실험하고 그 결과를 제시한다.

부산 일부지역 중학생 급식에 대한 성과평가 (Evaluation of Foodservice Quality Performance of Middle Schools in Busan)

  • 류은순;이경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6호통권90호
    • /
    • pp.829-837
    • /
    • 2005
  • 본 연구는 중학교 급식의 품질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학교급식을 시행하고 있는 부산지역 중학교 중에서 8개 학교를 대상으로 학교급식 서비스 품질의 급식 성과와 잔식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학교 급식서비스의 품질 특성의 급식성과에 대한 결과, 전체 평균은 2.93점이고 공지된 식단의 정확한 배식>음식의 영양>음식의 맛>식단의 다양한 순으로 급식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건의사항의 반영, 불만처리의 신속함, 반납장소의 청결 항목은 급식성과가 2.50점 이하로 전체 평균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급식경험 기간이 낮은 학생들이 급식경험 기간이 높은 학생들에 비해 급식서비스 품질특성 다섯 영역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0.01)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그리고 매일 아침식사를 하는 학생들이 결식을 하는 학생들에 비해 식단의 다양함, 배식시간의 정확성, 공지된 식단의 정확한 배식에서 유의적(p <0.01)으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2. 학생들의 급식되는 음식에 대한 섭취정도에 대한결과에서,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김치(>0.01)와 국 및 찌개(<0.05)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섭취율을 보였다. 또한 매일 아침식사를 하는 학생들이 아침식사횟수가 적은 학생들 보다 모든 식단에서 유의적으로 섭취율이 높게 나타났다. 3. 급식된 음식을 남기는 이유에 대한 결과에서, 밥의 경우에는 양이 너무 많아서, 국 및 찌개와 반찬의 경우에는 음식 맛이 없어서, 김치의 경우에는 자주 배식되어서가 주된 이유로 나타났다. 4. 학생들이 개선되기를 바라는 항목은 위생적인 음식> 식기류의 청결> 반찬 맛 순으로 높은 개선 요구도를 나타내었다 아침식사 횟수가 주 2회 이하인 학생들이 다른 학생들에 비해 #반찬수의 증가(<0.01)#,#음식양의 증가(<0.05)#,#급식종사자의 친절함(<0.05)#과 #공지된 식단의 정확한 배식(<0.05)#에 대해 유의적으로 높은 급식개선 요구도를 나타냈다. 5. 급식경험 기간과 급식성과 점수간의 상관관계에서, 급식성과는 급식경험 기간과 음(-)의 상관관계를, 아침식사횟수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서비스 품질의 특성 영역은 각 영역들에 대한 급식성과 점수가 높을수록 다른 영역의 급식성과 점수가 높은 유의적인(p <0.01)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균형된 영양공급이 다른 어느 시기보다 더 중요한 우리의 청소년들의 학교급식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먼저, 학교급식에 대한 식단 작성 시 학생들이 학교에서 제공되기 원하는 식단에 대한 의견을 받고 그 의견에 대한 결과를 게시하여 학생들이 제공되기 원하는 식단을 급식 시 제공하여 학생들이 식단선택에 동참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또한 영양사는 학급의 반대표와의 정기적인 모임을 가짐으로서 학생들의 불만사항 및 개선 요구사항에대해 서로 의견을 교환하여 설문지조사가 아닌 직접적인 대화를 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겠다. 특히 아침식사의 결식 빈도가 높았고 이는 급식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뿐 아니라 학교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섭취정도에도 영향을 주고 있으므로 학생들에게 학부모와 전담교사 및 학교영양사는 학생들에게 이상적인 아침식사에 대한 교육은 물론이고 아침식사를 실천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에 대해 함께 연구해야 하겠다. 정부차원에서 학교급식에 아침식사 프로그램을 도입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아침을 결식하는 학생이 학교에서 수업시작 하기 전에 간단한 식사를 할 수 있는 정책 도입이 필요하다

Dietary Behaviors, Self Perception of Body Image, Hematological Index and Nutrient Intake of Female Athletes in Incheon

  • Cheong, Sun-Hee;Hyuni Sung;Kim, Soon-Ki;Cho, Mi-Hye;Chang, Kyung-Ja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48-104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etary behaviors, body image, hematological index and nutrient intake of female athletes in Incheon. The subjects were 112 female athletes (field and track: n=32, firing: n=27, fencing: n=29, swimming: n=14, badminton: n=10)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in Incheon.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asting blood samples were obtained and analyzed for hemoglobin (Hb), hematocrit(Hct), ferritin, serum iron, mean corpuscular volume (MCV), mean corpuscular hemoglobin (MCH),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MCHC), unsaturated iron binding capacity (UBC), total iron binding capacity (TIBC) and transferrin saturation (TS). Nutrient intakes collected from 3 day-recalls were analyzed by the 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10.0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verage age of field and track athletes, firing, fencer and swimmer was 14 years and that of badmintoner was 17 years. Most of female athletes had dietary problems such as unbalanced meals, skipping meals, and preference of processed foods. More than 60% of female athletes skipped breakfast. As for perception of body image, most of female athletes perceived themselves fatter compared to normal body image. Especially, field and track athletes were more significantly experienced weight control compared to the other athletes (p<0.05). As for physical burden during exercise, 56.3% of swimmer and 31.3% of field and track athletes answered “very hard”,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More than 80% of female athletes had experienced a vertigo during exercise (p<0.01). Also, more than 50% of female athletes except badmintoner had experienced an irregular menstruation (p<0.05). Average serum iron level (p<0.05) and TS (p<0.05) of field and track athletes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e other athletes. Serum ferritin of badmintoner, field and track athletes and fencer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firing and swimmer (p<0.05). Nutrient intakes of female athletes except vitamin B6, niacin and phosphorus were lower than the Korean RDA. Especially, calcium and iron intakes of female athletes were under the 50% of the Korean RDA. Therefore, proper nutrition education and supplementation are required for female athletes to encourage desirable food habits as well as to improve their nutritional status and exercise performance.

  • PDF

광주지역 대학생의 식습관, 영양지식 및 편의식품 섭취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ietary Habits,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the Consumption Patterns of Convenience Food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Gwangju Area)

  • 김경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81-19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habits,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the consumption patterns of convenience foods of 618 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the Gwangju area, from November twentieth to November thirtieth, 2002. The subjects included 301 males (48.7%) and 317 females (51.3%). This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were underweight, normal and overweight based on their body mass index (BMI) was 3.7, 88.0 and 8.3 far the males, and 29, 71 and 0 for the females, respectively. Most students (73.8%) skipped breakfast. This was because of lack of time (65.1%) of the cases. Self-reported eating habit problems were eating irregular meal (52.4%), overeating (21%), prejudiced meal (12.4%) and skipping meal (7.4%). The type of favorite snack was biscuit (31.9%) and cup Ramyon (31.9%). The rates of alcohol drinking in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88.0% and 85.8% respectively, and the rates of smoking were 35.9% and 28% respectively. Males ate fiequently cup Ramyon (2.08 $\pm$ 2.95), fries (pork cutlet, fried potato) (1.91 $\pm$ 2.58), Ramyon (1.81 $\pm$ 3.00) and kimbab (1.70 $\pm$ 3.17) more frequently, while females ate kimbab (2.25 $\pm$ 3.26), cup Ramyon (1.89 $\pm$ 2.09), fries (pork cutlet, fried potato) (1.77 $\pm$ 2.67), Ramyon (1.46 $\pm$ 1.1.95) and fish paste (1.45 $\pm$ 2.22) more frequently. The nutritional knowledge score was higher in females than in males. The mean consumption patterns of convenience foods of students living in home were lower than that of students living in dormitory and boarding w/cooking. When the amount of pocket money available and the body mass index increased and the nutritional knowledge level was low, the mean consumption of convenience foods increased. The mean consumption of convenience foods correlated negatively with nutritional knowledge (p < 0.01). Therefore, nutritional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is needed so as to improve their health and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thes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8(2) : 181~191, 2003)

첨단 디지털 헬스케어 의료기기를 진료에 도입할 때 평가원칙 (Principles for evaluating the clinical implementation of novel digital healthcare devices)

  • 박성호;도경현;최준일;심정석;양달모;어홍;우현식;이정민;정승은;오주형
    • 대한의사협회지
    • /
    • 제61권12호
    • /
    • pp.765-775
    • /
    • 2018
  • With growing interest in novel digital healthcare devic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software for medical diagnosis and prediction, and their potential impacts on healthcare, discussions have taken place regarding the regulatory approval, coverage, and clinical implementation of these devices. Despite their potential, 'digital exceptionalism' (i.e., skipping the rigorous clinical validation of such digital tools) is creating significant concerns for patients and healthcare stakeholders. This white paper presents the posi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a leader in medical imaging and digital medicine, on the clinical validation, regulatory approval, coverage decisions, and clinical implementation of novel digital healthcare devices, especially AI software for medical diagnosis and prediction, and explains the scientific principles underlying those positions. Mere regulatory approval by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of Korea, the United States, or other countries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coverage decisions and widespread clinical implementation, as regulatory approval only indicates that a digital tool is allowed for use in patients, not that the device is beneficial or recommended for patient care. Coverage or widespread clinical adoption of AI software tools should require a thorough clinical validation of safety, high accuracy proven by robust external validation, documented benefits for patient outcomes, and cost-effectiveness.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puts patients first when considering novel digital healthcare tools, and as an impartial professional organization that follows scientific principles and evidence, strives to provide correct information to the public, make reasonable policy suggestions, and build collaborative partnerships with industry and government for the good of our patients.

한국 여성의 폐경 후 우울증과 식이성 염증지수 간의 관련성 연구: 2016-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Dietary Inflammatory Index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Based on the 2016-202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진아;이심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85-99
    • /
    • 2022
  • 본 연구는 한국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우울증과 식이성 염증지수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 2016~2020년의 자료를 이용하여 식이성 염증지수 수준에 따른 식행동, 항염증과 염증유발 항목의 영양소 및 식품 섭취량, 식이성 염증지수와 우울증과의 관계에 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염증성 식이군은 항염증 식이군에 비해 혼자서 거주하는 비율이 높고,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낮았다. 건강행태 요인으로 염증성 식이군은 흡연율이 높고 신체활동율과 삶의 질이 낮으며, 식행동 요인으로는 아침, 점심, 저녁 식사 결식률과 가족 동반 아침식사 비율, 영양표시 인지율이 낮았다. 식이성 염증지수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증상 선별도구인 PHQ-9 점수와 우울증 교차비는 증가하였다. 식이성 염증지수의 항염증 항목 중 MUFA, PUFA, n-3계 지방산, n-6계 지방산 항목은 식이성 염증지수 점수가 증가할수록 우울증 유병위험도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폐경 후 여성의 우울증 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식생활과 항염증성 식사 섭취 지침에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 청소년의 영양표시 이용에 따른 식생활 및 건강행태: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The Study of Dietary Habits and Health Behaviors according to Nutrition Label Utilization in Korean Adolescents: Based on the 2016-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진아;이심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45-56
    • /
    • 2021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2016년~2018년 자료를 활용하여, 만 12~18세 남녀 청소년 1,068을 대상으로 영양표시 이용여부에 따른 식습관 및 영양소 섭취와 건강행태 등을 비교하여 영양표시 이용과 올바른 식생활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전체적으로 영양표시를 인지하는 비율은 91.9%였고, 이들 중 영양표시를 이용하는 청소년은 27.9%로 인지율에 비해 이용률이 낮았다. 아침결식률과 외식빈도, 음주, 흡연, 주관적 건강상태의 경우는 영양표시 이용군과 비이용군별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영양소 섭취량의 경우 무기질인 칼슘, 인, 칼륨 섭취량은 이용군이 비이용군의 섭취량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p<0.01). 영양표시 이용군에게서 섭취 영양소 중 단백질(p<0.05), 칼슘(p<0.01), 인(p<0.01), 칼륨(p<0.01)의 섭취기준 비율이 비이용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EQ-5D index로 분석한 건강 관련 삶의 질 점수는 영양표시 이용군은 0.97점, 비이용군은 0.96점으로 영양표시 이용군의 삶의 질 점수가 비이용군 보다 더 높았다(p<0.001). 이상의 연구결과 청소년들의 식생활 개선과 영양표시제 관련 영양교육이 매우 필요하며, 청소년들의 합리적인 식품선택을 도와주고 영양표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영양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올바른 영양표시 이용과 식생활 관리를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유용한 정보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코로나-19 유행 이전과 코로나-19 유행 시기의 청소년 식생활 행태 비교분석 (A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s of Korean Adolescents before a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이정우;김유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61-72
    • /
    • 2023
  • 본 연구는 코로나-19 유행기간 동안 한국 청소년들의 식생활 행태 변화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청소년 건강행태조사에 참여한 12-18세 227,139명의 설문자료를 사용하였다. 2018-2019년에 참여한 117,343명과 2020-2021년에 참여한 109,796명의 자료를 비교하였다. 다중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2018-2019년을 기준으로 식생활 행태 변화를 공변량이 보정된 오즈비를(adjusted odds ratio, AOR) 계산하였다. 탄산음료를 전혀 섭취하지 않는 군과 1주일에 3번 이상 탄산음료를 섭취하는 군 사이의 오즈비를 비교했을 때, AOR 0.81(95% confidence interval [CI]: 0.78-0.84)로 코로나-19 유행기간 동안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마찬가지로, 단맛 음료를 전혀 섭취하지 않는 군과 1주일에 3번 이상 단맛 음료를 섭취하는 군 사이의 오즈비를 비교했을 때 AOR 0.69 (95% CI: 0.67-0.72)로 코로나-19 유행기간 동안 감소하였다(p<0.001). 반면, 1주에 3번 이상 패스트푸드를 섭취하는 AOR (1.15, 95% CI: 1.11-1.20)과 1주에 3번 이상 아침식사를 거르는 AOR (1.23, 95% CI: 1.20-1.26)은 코로나-19 유행기간 동안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과일 섭취량은 코로나-19 유행 동안 감소하였으며, AOR 1.26 (95% CI: 1.21-1.31)이었다. 결론적으로, 코로나-19 유행은 한국 청소년들의 식생활 행태에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동시에 미쳤다.

노이즈에 강인한 음악 시작점 검출 알고리즘 (The Noise Robust Algorithm to Detect the Starting Point of Music for Content Based Music Retrieval System)

  • 김정수;성보경;구광효;고일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95-10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노이즈에 강인한 음악 시작점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음악의 시작점 검출은 음악을 이용한 신호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일관되지 않은 입력데이터를 통한 계산낭비, 비교검색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것이다. 특히 신호처리를 이용한 내용기반 음악검색 시스템에서 시간의 순서로 데이터를 비교하는 시간순차적 검색방법에서는 더욱 필요시 된다. 시간순차적 검색 방법은 시간의 순서로 단순 비교를 수행하기 때문에 검색의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비교하는 데이터의 시작 시간이 동일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디지털화된 음악은 비트레이트 변환에 의한 시작 시간의 동일함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검색의 전처리 단계에서 음악의 시작점을 검출함으로써 시간순차적 검색 방법을 적용하여 고속의 검색을 수행하면서도 인식률이 낮아지지 않게 하였다. 시작점 검출은 소리를 검출할 수 있는 최소 파형모형을 이용하였으며 노이즈에 강인하기 위하여 묵음에 존재하는 노이즈는 스킵핑을 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실험을 통해 시작점 검출을 미적용한 결과보다 약 38%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으며 노이즈에 강인함을 검증하였다.

딥러닝 기반 탄성파 전파형 역산 연구 개관 (A Review of Seismic Full Waveform Inversion Based on Deep Learning)

  • 편석준;박윤희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5권4호
    • /
    • pp.227-241
    • /
    • 2022
  • 전파형 역산은 석유가스 탐사를 위한 탄성파 자료처리 분야에서 지층의 속도 모델을 추정하는데 사용되는 역산 기법이다. 최근 탄성파 자료처리에 딥러닝 기술의 활용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데, 전파형 역산 기술도 마찬가지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초기에는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자료처리 기법이 전파형 역산을 위한 입력자료의 전처리 목적으로 활용되는 수준이었으나, 딥러닝 기술을 통해 전파형 역산을 직접적으로 구현하는 연구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전파형 역산은 순수 데이터 기반 접근법, 물리 기반 신경망 활용법, 인코더-디코더 구조 활용법, 신경망 재매개변수화를 이용한 구현법, 물리정보 기반 신경망 기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딥러닝 기반 전파형 역산 기법을 발전 과정 순서로 체계화하여 각각의 접근법에 대한 이론과 특징을 설명하였다. 전파형 역산 기술에 딥러닝 기법을 도입한 초기에는 데이터 과학의 기본 원리에 충실하게 대량의 학습자료를 준비하고 순수 데이터 기반 예측 모델을 적용하여 속도 모델을 역산하는 연구로 시작하였다. 최근 연구 동향은 탄성파 자료의 잔차나 파동방정식 자체의 물리정보를 심층 신경망에 활용하여 순수 데이터 기반 접근법의 단점을 보완해 나가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발전으로 대량의 학습자료가 필요하지 않고, 전파형 역산의 태생적 한계점인 주기 놓침 현상을 완화하며 계산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딥러닝 기반 전파형 역산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딥러닝 기술의 도입으로 전파형 역산 기술은 탄성파 자료처리 분야에서 가치가 더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