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n barrier function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6초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마우스 모델에 대한 고찰 (Mouse Models of Atopic Dermatitis for Drug Discovery from Medicinal Plants)

  • 윤용갑;황주민;김형률;장선일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45-161
    • /
    • 2007
  • Atopic dermatitis (AD) is a chronic inflammatory skin disease associated with cutaneous hyperreactivity to environmental triggers. The clinical phenotype that characterizes AD is the product of interactions between susceptible genes, the environmental factors, defective skin barrier function, and immunologic responses. This review summarizes recent progress in our understanding of the immunopathophysiology of AD and the implications for mouse models of AD in drug discovery from medicinal plants.

  • PDF

아미노산 동시분석을 통한 피부보습능과 각질 중 아미노산 함량과의 상관관계 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kin Dryness and Amino Acids in Stratum Corneum)

  • 주경미;한지연;손의동;남개원;정혜진;임경민;조준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75-82
    • /
    • 2012
  • 천연보습인자(NMF, natural moisturizing factor)는 정상 피부 내의 각질층에 존재하는 수용성, 친수성 성분을 총칭하는 말로 외부로부터 수분을 흡수하고 각질층의 수분보유능을 증가시키며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의 유연성과 가수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NMF는 주로 아미노산과 아미노산의 대사산물로 구성되며 이들은 필라그린(filaggrin)이 분해되면서 생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피부 각질층의 22종의 개별 아미노산의 함량분석을 통하여 피부보습능과 개개의 아미노산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15명의 건강한 지원자들의 전박과 이마로부터 tape stripping한 각질 시료 중 22종의 아미노산 함량을 UPLC-PDA를 이용하여 동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질 표면보다는 안쪽에서의 아미노산들의 함량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신체 부위별 비교에서 전박이 이마에 비해 아미노산 함량이 1.5배 정도 높음을 확인하였다. 전박부위의 아미노산 총 함량과 보습능(TEWL)과의 상관 관계분석을 통해서는 보습능이 클수록 총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Ser, Glu, Gly, Ala 및 Thr은 각질 내 존재하는 주요 아미노산 성분으로 보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써 NMF의 주성분인 아미노산의 함량은 각질 생리기능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각질층의 아미노산의 통합적인 분석법은 보습, 노화, 미백, 피부 염증질환 등 다양한 피부 상태와 아미노산류들의 변화와의 관계를 깊이 이해하고 피부 기능과 관련된 새로운 분자적 타겟을 발굴하고 증명하는데 기초적인 방법으로써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난백(Egg White)에서 추출한 리소좀 추출물(LOE)의 미백 효능 및 피부장벽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Whitening Efficacy and Skin Barrier by Lysosome-related Organelle Extract (LOE) from Egg White)

  • 최다희;전경찬;윤지희;민지호;박시준;김정수;황이택;황형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89-397
    • /
    • 2019
  • 리소좀(lysosome)은 진핵세포에서 에너지 대사 및 세포 내 소화 작용에 관여하는 세포 소기관으로 protease, nuclease, glycosidase, lipase, phosphatase 들이 다수 존재한다. 우리는 선행 연구결과들을 통해 난백 리소좀의 멜라닌 색소 탈색능을 보고하였다[8]. 그러나 B16F10 melanocyte 세포주에서 난백 리소좀에 의한 멜라닌 함량 변화 및 피부장벽 조절 연구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우리는 계란 난백(egg white)으로부터 추출한 lysosome-related organelle extract (LOE)에 의한 세포 내 멜라닌 함량 변화 및 피부장벽 강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LOE의 미백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B16F10 세포주를 이용하여 세포독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B16F10 세포주에서 LOE에 의한 세포독성은 0에서 20 mg/mL 농도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나, 40 mg/mL 부터 세포독성이 관찰되어 이후 모든 실험에서 최대 농도값을 20 mg/mL로 설정하였다. 먼저 LOE를 이용한 melanin contents assay 결과, 음성 대조군인 α-MSH 처리군 대비 LOE 처리군 5, 10, 20 mg/mL 농도에서 61.5 ± 4.0%, 61.4 ± 7.3%, 58.3 ± 8.3%로 세포 내 멜라닌 함량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20 mg/mL 농도 조건에서 MITF 발현 억제도 관찰하였다. LOE의 피부 장벽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각질형성세포주(HaCaT)를 이용하여 TEER (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assay를 수행한 결과, LOE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TEER 저항값이 증가하여 LOE가 피부장벽 강화에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피부 염증 유발을 위한 TNF-α 처리조건에서도 LOE는 TEER 저항값을 증가시켜 염증 유발 조건에서도 LOE에 의해 피부장벽이 정상적으로 회복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cell migration assay를 통해 LOE에 의한 세포이동 촉진 효과를 관찰한 결과, LOE는 세포분열 및 세포이동을 촉진시켰다. 위 결과들을 통해 LOE는 미백 기능 뿐 아니라 피부재생 및 피부장벽 강화에도 효과를 나타내는 소재이며, 효소안정화 및 제형화 기술이 접목된다면 향후 새로운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도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생체활성 각질층 지질 - 아토피 피부염 관리를 중심으로 - (Stratum Corneum Lipids as Bioactive Materials for Atopic Dermatitis)

  • 박병덕;염종경;안성구;이승헌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45-352
    • /
    • 2004
  • 아토피 피부염을 설명하는 데는 두 가지 패러다임이 있는데, 첫 번째는 outside-inside paradigm이고 두 번째는 inside-ouside paradigm이다. Outside-inside paradigm에 의하면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피부 장벽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이다. 장벽 기능은 각질층의 특징적인 구조에 의해 유지되는데, 각질층은 층상구조의 inter-cellular lipids와 corneocyte로 구성되어 있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 층판상 어린선 환자의 각질층 내 층상구조는 hexagonal 구조가 많이 존재하고 있음을 보였으며, 이는 Ceramide 1 타입과 long chain fatty acid의 감소 때문이라고 보여진다. 이러한 이유에서 라멜라구조를 가지며 intercellular long periodicity phase 기능을 복원할 수 있는 보습제는 각질층의 intercellular lipid의 층상구조를 복원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세라마이드와 유사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보습제는 손상된 피부장벽, 피부질환, 아토피 피부염을 위한 유용한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다. Inside-outside paradigm에 따르면, 아토피 피부염 등이 보조 T cell, lg E, eosinophil 등을 포함한 면역반응과 관계되는데, 특히 Th1/Th2 imbalance의 복원이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현재 여러 종류의 면역억제제가 소개되고 있지만, 이들은 고유 면역기능을 감소시킬 우려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세라마이드 대사산물인 SPC와 S1P는 면역조절 기능 및 상처치유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향후 관심이 집중될 것이다.

Enrichment of Short-Chain Ceramides and Free Fatty Acids in the Skin Epidermis, Liver, and Kidneys of db/db Mice, a Type 2 Diabetes Mellitus Model

  • Kim, Minjeong;Jeong, Haengdueng;Lee, Buhyun;Cho, Yejin;Yoon, Won Kee;Cho, Ahreum;Kwon, Guideock;Nam, Ki Taek;Ha, Hunjoo;Lim, Kyung-Mi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7권5호
    • /
    • pp.457-465
    • /
    • 2019
  •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DM) often suffer from diverse skin disorders, which might be attributable to skin barrier dysfunction. To explore the role of lipid alterations in the epidermis in DM skin disorders, we quantitated 49 lipids (34 ceramides, 14 free fatty acids (FFAs), and cholesterol) in the skin epidermis, liver, and kidneys of db/db mice, a Type 2 DM model, using UPLC-MS/MS. The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lipid synthesis was also evaluated. With the full establishment of hyperglycemia at the age of 20 weeks, remarkable lipid enrichment was noted in the skin of the db/db mice, especially at the epidermis and subcutaneous fat bed. Prominent increases in the ceramides and FFAs (>3 fold) with short or medium chains ($LXR{\alpha}/{\beta}$ and $PPAR{\gamma}$, nuclear receptors promoting lipid synthesis, lipid synthesis enzymes such as elongases 1, 4, and 6, and fatty acid synthase and stearoyl-CoA desaturase were highly expressed in the skin and livers of the db/db mice. Collectively, our study demonstrates an extensive alteration in the skin and systemic lipid profiles of db/db mice, which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kin disorders in DM.

DIAPERS AND INFANT SKIN HEALTH

  • Song Ji Ho;Kim Sang Tae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5권3호
    • /
    • pp.241-249
    • /
    • 1999
  • Diaper dermatitis, or commonly called 'diaper rash', is among the most prevalent cutaneous disorders of infancy and early childhood and important issue in nursing. The term itself is not diagnostic since it encompasses a variety of acute inflammatory reactions which are best regarded as a family of disorders arising from a combination of factors specifically attributable to the use of diapers Intensive study of the rash Process has shown that skin wetness and fecal enzyme activity are damaging to skin and lead to the development of diaper rash. This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keep urine away from babies' skin, so that the skin remains as dry as Possible and maintains its barrier function abilities. Controlling the urine will also minimize the mixing of urine and feces within the diaper. which helps prevent the increased activity of enzymes that attack the skin and cause irritation. Therefore, a diaper that keeps the skin drier and limits the mixing of urine and feces will help Prevent the conditions that lead to diaper rash. Since their introduction about 35 years ago, disposable baby diapers have undergone many design and performance changes. In Particular. the Performance of diapers was advanced by the introduction of absorbent gel materials (AGMs) to Provide advantages in skin care. dryness, and leakage Protection Especially, important was the introduction of AGM which increased the absorbent capacity of the diaper several fold and Yielded marked reductions in the degree of skin hydration occurring under the diaper Studies show not only drier skin but more stable skin pH and less dermatitis with AGM diapers than with home-laundered cloth diapers or single-use diapers without AGM Minimizing diaper area skin wetness is important for managing and Preventing diaper rash. To minimize wetness, parents should use super absorbent diapers.

  • PDF

어류피부의 조직학적 구조와 병변 (The histological structure and the pathologic lesions of teleost skin)

  • 허민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59-164
    • /
    • 1992
  • 어류의 피부는 각종 환경성 저해인자에 대한 최외측 방어장벽으로써, 어체내의 생리적인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피부의 상태는 각종 질병에서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어류는 형태학적으로나 생리학적으로 수중의 환경에 적응되어 있기 때문에, 육상 포유동물과는 또다른 다수의 어류 특이의 조직학적 소견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피부에서 일어나는 병리조직학적인 소견에 대한 보다 정확한 해석을 가하기 위하여는 이러한 조직학적 특성을 잘 이해해 둘 필요성이 있다. 정상 환경하의 어류피부는 육상 고등동물에 비하여 한계적 장벽으로써 그 생리학적 요구에 보다 미묘히 적응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피부의 적응상은 오히려 인공적인 사육시설이나, 수질의 오염등에 의하여 더욱 피부의 항상성은 쉽게 파괴될 수 있다. 피부색조의 변화, 궤양등과 같은 소견은 임상적으로 빈번히 접하게 되지만, 이와 같은 가시적 병변이 유도되기 까지는 다양한 생리학적 또는 병리학적 반응이, 피부의 각층에서 일어날 수 있다. 지금까지, 경골어류의 피부에 대한 조직학적 정보를 기술한 참고서는 그 수에 있어 빈약할 뿐 아니라, 정보의 체력적 정리가 부족하다. 게다가, 병리조직학적 기술도 체계적인 실험적 연구에 의하기 보다는 임상 병리학적인 소견에 근거 기술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여기에서는, 새로운 조직학적 정보를 기술하기 보다는, 지금까지 정설화된 피부에 대한 조직학적 및 병리조직학적 소견의 일반을 모아 정리하고자 하였다.

  • PDF

Effect of Cubic Liquid Crystalline Systems on Skin Localization of Oregonin and Hirsutanonol

  • Im, Tae-Jong;Kang, Myung-Joo;Seo, Dong-Woo;Lee, Jae-Hwi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6권3호
    • /
    • pp.226-230
    • /
    • 2008
  • Monoolein-based cubic liquid crystalline systems were formulated for the local delivery of oregonin and hirsutanonol for the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The liquid crystalline phase and its nanodispersion containing drugs were prepared. The skin permeation and deposition properties of the drugs were examined in normal and delipidized rat skin. The proportion of oregonin (%) deposited in normal skin after topical administration of the drugs in the form of aqueous solution, cubic phase or cubic nanodispersions were $1.53\;{\pm}\;0.46$, $3.62\;{\pm}\;0.17$ and $5.13\;{\pm}\;0.73$, and those of hirsutanonol were $2.46\;{\pm}\;0.02$, $5.44\;{\pm}\;0.27$ and $17.28\;{\pm}\;2.19$, respectively. The greater lipophilicity and thus greater skin affinity of hirsutanonol than oregonin contributed the greater amount of skin deposition. The monoolein-based liquid crystalline phase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mount of both drugs permeated and deposited. Approximately 3.2, 2.1 and 3.0 times greater amount of oregonin, and 3.4, 2.1 and 2.2 times greater amount of hirsutanonol were deposited in delipidized skin after administration of each drug in the form of aqueous solution, cubic phase and cubic nanodispersions system, respectively, because of lowered barrier function of the delipidized skin.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drug property, vehicles type and skin condition on skin deposition and permeation properties of drug were examined and concluded that monoolein-based liquid crystalline systems would be a promising formulation for the local delivery of drugs.

Epidermal Capacitance를 이용한 시판되는 치료용 샴푸의 정상적인 개 피부에 대한 가수효과 (The Comparison of Shampoos for Skin Hydration by Measurement of Epidermal Capacitance in Normal Canine Skin)

  • Oh, Tae-Ho;Jae-Hoon heong;Jang, Kwang-Ho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6-210
    • /
    • 2001
  • 피부질환에는 보조 치료로 다양한 치료용 샴푸가 빈번하게 적용되고 있으나 이들 샴푸의 피부수분에 미치는 영향은 일반적으로 평가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치료용 샴푸의 정확한 처방을 위해서는 피부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여러 종류의 치료용 샴푸의 피부 수분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Corneometer를 이용하여 피부에 샴푸를 적용후 수분을 측정하였다. 5두의 건강한 개를 대상으로 7가지 샴푸로 Humilac, Sebocalm, Sebolytics, Etiderm, Benzoyl peroxide, HyLyt, Zn-7 Derm를 선정하여 적용하였다. Humilac의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피부수분의 증가는 적용 후 17분(p<0.05), 77분(p<0.01)에 나타났으며, Benzoyl peroxide의 경우 적용 후 77분(p<0.05)에 피부의 수분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다른 샴푸의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적용 후 77분에 최초 적용 수치에 근접하게 감소하였다. 어떤 샴푸도 피부에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았다. Corneometer는 실제 임상에서 피부의 수분을 평가하는데 간단하고 유용한 측정방법을 사료된다.

  • PDF

세라마이드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의 응용 - 화장품에서의 자극완화제 (The Application of Nanoliposome Composed of Ceramide as an Anti-irritant in Cosmetics)

  • 조병기;안기웅;신봉수;정지헌;박해룡;황용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67-272
    • /
    • 2005
  • 본 연구는 화장품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자극원에 대한 자극완화제로서의 세라마이드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의 잠재적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세라마이드는 인체로부터 수분 손실을 막고,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 그리고 미생물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함으로써 인간의 생리작용에 있어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진 표피 투과 장벽의 주요한 구조적 구성 성분이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피부 장벽 기능 강화와 자극완화 효과가 제형 내에 단순히 분산된 세라마이드보다 세라마이드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경우 보다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자극원으로서 제형 내 함유되어 있는 젖산의 피부 투과도에 있어서 세라마이드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무모 생쥐에서 얻어낸 피부 막으로 horizontal franz diffusion cells을 이용한 in vitro 피부 투과 시험을 수행해 보았다. 시험 결과, 세라마이드로 구성되 나노리포좀의 항자극 효과는 자극원의 피부 투과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자극완화 시스템의 개발이 가능하였고 이러한 세라마이드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을 화장품에 적용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