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te

검색결과 28,753건 처리시간 0.053초

지중환경 관리를 위한 부지개념모델 구축 및 개선 (Development and Enhancement of Conceptual Site Model for Subsurface Environment Management)

  • 배민서;김주희;이순재;권만재;조호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7권spc호
    • /
    • pp.1-18
    • /
    • 2022
  • A conceptual site model is used to support decision-making of response strategy development, determination, and implementation within a risk-based contaminated site management system. It aims to provide base information of the relevant site characteristics and surface/subsurface condit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taminants of concern and the associated risk they pose to the receptors. This study delineated the technical details of conceptual site model development, and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it in domestic subsurface contamination management. Conceptual site models can be developed in various formats such as tables, diagrams, flowcharts, and figures. Contaminated sites are managed for a long period of time following the steps of investigation, remediation design, remediation, verification, and post-remedation management. The conceptual site model can be enhanced in each stage of the contaminated site management based on the continuously updated information on the site's subsurface environment. In the process of enhancement for conceptual site model, precision is gradually improved, and it can evolve from a conceptual and qualitative form to a more quantitatvive and three-dimensional model. In soil pollution management, it is desirable to incorporate the conceptual site model into the soil scrutiny system to better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the contaminated site and support follow-up investigation and management.

역사 지진 피해 발생 읍성 지역에 대한 부지 고유의 지진 응답 특성 평가 (Evaluation of Site-specific Seismic Response Characteristics at Town Fortress Areas Damaged by Historical Earthquakes)

  • 선창국;정충기;김동수;김재관
    • 지질공학
    • /
    • 제17권1호
    • /
    • pp.1-13
    • /
    • 2007
  • 역사 지진으로 인해 성칩이 붕괴되었던 국내 두 읍성 지역에 대한 국부적 부지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현장 시추 조사 및 탄성파 시험을 통해 전단파속도($V_s$) 주상을 포함한 지반 특성을 결정하고 이를 토대로 등가 선형 기법의 부지 응답 해석을 수행하였다. 대상 부지는 심도 30m까지의 평균 전단파속도가 $500{\sim}850m/s$의 분포를 보임에 따라 지반 분류C와 B로 구분되었고, 부지 고유주기는 성벽과 성첩의 고유주기를 포함하는 범위인 $0.06{\sim}0.16$초의 단주기 분포를 보였다. 대상 영역에서의 부지 응답 해석 결과, 지반 분류 B와는 달리 대부분의 부지 조건인 지반 분류 C의 경우 부지 고유 지진 응답 특성인 단주기에서의 큰 증폭으로 인해, 국내 내진 설계 기준의 단주기($0.1{\sim}0.5$초) 증폭계수 $F_a$와 중장주기 ($0.4{\sim}2.0$초) 증폭계수 $F_v$는 각각 지반 운동을 단주기 영역에서는 과소평가하고 중장주기 영역에서는 과대평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부지 고유 응답 특성은 단주기 고유 응답을 보이는 성벽 구조물이 지진 발생 시 공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하며, 그에 따라 역사 지진 피해 사례인 성첩 붕괴의 지배적인 영향 인자로서 작용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웹 사이트의 구조와 항해가능성 (The Structure of a Web site and Navigability)

  • 민경실;천성규;장기호;정효숙;박성빈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51-62
    • /
    • 2011
  • 항해가능성은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서 원하는 정보를 얼마나 찾기 쉬운지를 말하며 웹 사이트구조에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세 종류의 웹 사이트, 즉 작은 세상 구조의 웹 사이트, 준 매트로이드 구조의 웹 사이트, 그리고 온톨로지를 이용한 웹 사이트를 제작하고 각 웹 사이트의 항해 가능성을 두 가지 기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 클릭한 하이퍼링크의 수 및 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 걸린 시간) 으로 측정하였다. 세가지 구조를 선택한 이유는 각 구조마다 사용자가 정보를 찾기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이퍼링크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실험 결과, 한 사용자가 정보를 찾기까지 거쳐 간 링크의 평균 개수는 준 매트로이드 구조의 웹 사이트 (100.37개) < 온톨로지 구조의 웹 사이트 (117.63개) < 작은 세상 구조의 웹 사이트 (236.17개) 순으로 나왔다. 그리고 한 사용자가 정보를 찾는데 소요된 평균 시간은 온톨로지 구조의 웹 사이트 (20분 26초) < 준 매트로이드 구조의 웹 사이트 (23분 6초) < 작은 세상 구조의 웹 사이트(30분 47초) 였다. 따라서 준 매트로이드 구조나 온톨로지 기반 구조의 웹 사이트가 상대적으로 작은 세상 구조의 웹 사이트보다 항해가능 하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 결과를 어떻게 교육용 웹 사이트 설계에 적용할 수 있을 지도 제안하였다.

  • PDF

연 재배지를 활용한 자유수면형 인공습지의 수질정화효율 (Treatment of Pollutants in Free Water Surface Constructed Wetlands with Lotus (Nelumbo nucifera) Cultivation Pond)

  • 한명자;서동철;강세원;이용철;방석배;채정현;김갑순;박종환;장남익;허종수;조주식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4호
    • /
    • pp.232-238
    • /
    • 2010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reatment efficiency of pollutants in free water surface constructed wetlands (FWS CWs) with lotus (Nelumbo nucifera) cultivation pond, the experiment was consisted of two sites (site I and II) in Lake Juam, Korea. The sites were configured a lotus cultivation pond (with fertilizer application) - a dropwort bed - a reed bed for site I, and a lotus cultivation pond (without fertilizer application) - a dropwort bed - a reed bed for site II. Removal rate of COD in site I and II were 13.3% and 26.0%, respectively. Removal rate of total nitrogen (TN) was 29.7% for site I, and 36.3% for site II. Removal rate of total phosphorus (TP) in site I and II were 36.0% and 36.5%, respectively. COD, TN and TP in effluent from site I (with fertilizer) was higher than that in site II (without fertilizer), showing that COD, TN and TP in effluent were strongly influenced by fertilizer addition. Therefore, in order to satisfy established water-quality standards, the amount of fertilizer used in lotus cultivation showed be evaluated.

ODP Leg 204 Site 1249C와 Site 1251B 퇴적물의 유기물 기원 및 지화학적 특성 (The Characteristic and Origin of Organic Matter in the ODP Leg 204 Site 1249C and Site 1251B)

  • 심은형;윤혜수;이영주;한상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47권1호
    • /
    • pp.71-85
    • /
    • 2014
  • 오레곤 대륙 주변부 남부 하이드레이트 릿지에서 실시한 ODP Leg 204에서 회수한 코어 Site 1249C와 Site 1251B의 유기물 기원 및 유기지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원소분석과 Rock-Eval 열분석 및 동위원소 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Site 1249C와 Site 1251B의 유기물은 해양기원 유기물이 우세하며 이러한 결과는 퇴적물의 퇴적당시 환경이 일반적인 해양 환경이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Rock-Eval 열분석 결과는 다른 분석결과와 반대의 결과를 나타내는데 이러한 결과는 열적으로 미성숙한 유기물이 열분석 과정에서 유기물의 특성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열분석 결과 해석은 다양한 지화학적 결과를 종합하여 해석할 필요가 있다. 코어의 유기물 기원이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Site 1249C는 전 구간에서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집적이 높은 반면, Site 1251B는 가스 하이드레이트가 일부 구간에서만 소량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하이드레이트 정상부에 위치한 Site 1249C는 가스 하이드레이트 생성에 필요한 심부 열기원 가스가 천부 퇴적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통로(Horizon A, BSR2)가 존재하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가스 하이드레이트 집적이 미비한 분지 지역의 Site 1251B는 열기원 가스가 심부로부터 이동할 수 있는 가스 이동 통로가 제한적이고 그에 따른 가스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현장 퇴적물의 속성작용에 의한 생물기원 가스가 우세하여 가스 하이드레이트 생성이 제한적인 것으로 추정된다.

지리산국립공원내 칠선계곡 탐방로의 회복에 관한 분석 (Analysis on the Restoration of Visiting Roads of Stream of Chilsun in Jirisan National Park)

  • 박재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5-113
    • /
    • 2010
  • To investigate the restoration procedure on soil physical properties at the surface of visiting road affected by rest-year system. This study was carried out at visiting roads of stream of Chilsun in Jirisan. Mean soil strength in 20cm of soil depth was lower in the Rest-Year System areas (1.5-1.9 times in Site 2, 1.1-7.5 times in Site 3) than in the control (Site 1). Soil strength was recovered by the Rest-Year System in the national park. Mesopore rate (pF 2.7) in 0-15 cm of soil depth was higher in the Rest-Year System areas (1.2 times) than in the control. This indicates that mesopore rate is rapidly restoring in the Rest-Year System areas. Pore space rate in 0-7.5 cm of soil depth was higher in the Rest-Year System areas (23.2% in Site 2, 23.6% in Site 3) than in the control (22.4% in Site 1). Pore space rate in 7.5-15 cm of soil depth was also higher in the Rest-Year System areas (22.9% in Site 2 and Site 3) than in the control (18.9% in Site 1). Soil pore space was remediable by the Rest-Year System. Bulk density in 0-7.5 cm of soil depth was lower in the Rest-Year System areas (1.674g/$cm^3$ in Site 2, 1.668g/$cm^3$ in Site 3) than in the control (1.723g/$cm^3$ in Site 1). Bulk density in 7.5-15 cm of soil depth was lower in the Rest-Year System areas (1.785g/$cm^3$ in Site 2 and 1.721g/$cm^3$ in Site 3) than in the control (1.721g/$cm^3$ in Site 1). Soil bulk density was decreased in the Rest-Year System areas of the national park. Amount of soil erosion was lower in the Rest-Year System areas ($0.017m^3$/km/yr in site 2, $0.023m^3$/km/yr in site 3) than in the control ($0.054m^3$/km/yr in site 1).

기준관측소 방법을 이용한 댐체 기반암의 동적 지반증폭특성 (The Dynamic Basement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of a Dam Site using a Reference Site Method)

  • 위성훈;김준경;유성화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61-171
    • /
    • 2017
  • 관측된 지반진동은 지진원, 지각감쇠 및 지반의 증폭특성 등 3가지 주요 인자로 구성되어 있고 특히 지반증폭 특성은 지진원 및 감쇠특성을 평가할 때 필요하다. 또한 지진재해도를 분석하기 위해 지반의 증폭 특성에 정보가 내진공학 뿐만 아니라 암반공학적 특성 분석에서 필수적이다. 지반의 증폭특성 분석을 위해 분석대상 관측소와 기준 관측소 지반진동의 수평/수직 비를 이용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기존의 기준관측소의 수직성분 방법에 더하여 새로이 기준관측소의 수평성분 방법을 새로이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예당저수지 인근에 설치한 4개의 관측소에서 관측된 6개의 가속도 지반진동을 이용하여 각 지반진동의 S파, Coda파 및 배경잡음 각각을 분석한 지반증폭 특성을 상호 비교하였다. 4개 관측소 공통적으로 S파와 Coda파를 이용한 결과는 상호 유사한 지반증폭 특성을 보였다. 다만 배경잡음은 다른 2개 지진 에너지와 비교할 때 전혀 다른 지반증폭 특성을 보였고 이는 배경잡음의 발생 원인이 관측소 마다 서로 다르기 때문으로 입증되었다. 4개 각각의 지진 관측소마다 저주파수 및 고주파수 증폭특성과 관측소 고유의 우월주파수가 서로 상이하여 관측소 고유의 증폭특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와 다른 방법의 결과와 비교하면 지반의 동적특성 및 지반분류 연구에 많은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실내외 양식환경에 따른 미꾸라지(Misgurnus mizolepis) 양식장 모니터링과 성장특성 (Fish Farm Monitoring and Growth Performances of Chinese Muddy Loach (Misgurnus mizolepis) under Indoor or Outdoor Aquaculture Conditions, Korea)

  • 최복기;최종렬;이정호;박종성;김정은;황주애;김형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32-238
    • /
    • 2020
  • 본 연구는 실내외 양식방법에 따른 미꾸라지 양식장 모니터링과 성장특성을 조사하여 국내 미꾸라지 양식산업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는 2017년 8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실내 양식장 1개소 (D-site), 실외양식장 2개소 (P1-site, P2-site)를 선정하여 수행하였다. 성장도 측정결과를 토대로 WG (weight gain), DWG (daily weight gain), and SWG (specific weight gain) 분석한 결과 D-site에서는 175.27±36.2%, 7.98±3.3%, 0.94±0.2%, P1-site에서 320±34%, 4.07±0.6%, 0.55±0.1%, P2-site에서 295.9±53%, 4.15±0.5%, 0.62±0.1%로 나타났다. WG는 실외노지 양식장(P1-Site과 P2-site)에서 높았지만 DWG와 SWG는 실내양식장(D-site)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조사 결과의 차이는 실내외 양식방법에 따른 성장도, 수질환경, 출하시기 및 횟수 차이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실외 양식은 출하시기까지 1년 이상 소요되었으나 실내 양식은 1년에 3회의 출하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반암 깊이와 토층 평균 전단파속도를 이용한 국내 지반분류 방법 및 지반 증폭계수 개선 (Development of Site Classification System and Modification of Site Coefficients in Korea Based on Mean Shear Wave Velocity of Soil and Depth to Bedrock)

  • 김동수;이세현;윤종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1C호
    • /
    • pp.63-7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국내 125개 지반에 대한 지층 구성, 전단파속도 주상도, 기반암 깊이 등을 기존 자료의 수집 및 부분 시험 수행을 통해 확보하여 지진응답해석을 수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기반암이 얕아 대부분의 지반조사가 기반암까지 이루어지는 국내 지반조건에 적합하도록 기반암 깊이와 토층 평균 전단파속도를 동시에 고려하는 2-매개변수 지반분류 방법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우선, 기반암 깊이(H)에 대해 10m와 20m를 경계 값으로 설정하여 $H_1$ 지반(H<10m), $H_2$ 지반($10m{\leq}H<20m$) 그리고 $H_3$ 지반($H{\geq}20m$)으로 분류하고 이후, 토층 평균 전단파속도($V_{s,soil}$)를 추가 변수로 하여 총 7개의 지반그룹으로 세분화 하였다. 또한 각 지반그룹에 대하여, 지진응답해석 결과로부터 획득한 지반 증폭계수의 경향성과 그 분산정도를 분석하여 새로운 지반분류 방법의 타당성을 입증하고, 각 지반그룹별 대표 지반 증폭계수 및 설계응답스펙트럼도 함께 제안하였다. 제안된 지반 증폭계수와 이를 대표하는 추세선은 암반노두 가속도의 변화에 따른 지반의 비선형성을 일정한 경향성과 함께 효율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또한 지진응답해석으로부터 획득한 스펙트럴 가속도의 평균값과 제안된 설계응답스펙트럼을 비교한 결과, 일부 지반그룹에서 차이가 발생하였고, 추후 지반 증폭계수 계산을 위한 적분구간을 국내 지반조건에 적합하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내진설계기준의 지반분류체계 및 설계응답스펙트럼 개선을 위한 연구 - (III) 검증 (Site Classification and Design Response Spectra for Seismic Code Provisions - (III) Verification)

  • 조형익;;김동수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257-268
    • /
    • 2016
  • In the companion papers (I, II), site-specific response analyses were performed at more than 300 domestic sites and a new site classification system and design response spectra (DRS) were proposed using the results of the site-specific response analyses. In this paper, the proposed site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design response spectra are compared with those in other seismic codes and verified by different methods. Firstly, the design response spectra are compared with the design response spectra in Eurocode 8, KBC 2016 and MOCT 1997 to estimate quantitative differences and general trends. Secondly, site-specific response analyses are carried out using $V_S$-profiles obtained using field seismic tests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proposed DRS in order to reduce the uncertainty in using the SPT-N value in site-specific response analyses in the companion paper (I). In addition, site coefficients from real earthquake records measured in Korean peninsula are used to compare with the proposed site coefficients. Finally, dynamic centrifuge tests are also performed to simulate the representative Korean site conditions, such as shallow depth to bedrock and short-period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The overall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site classification system and design response spectra reasonably represented the site amplification characteristic of shallow bedrock condition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