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kworm hemolymph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3초

Over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appA Phytase Expressed by Recombinant Baculovirus-Infected Silkworm

  • CHEN YIN;ZHU ZHONGZE;LIN XU'AI;YI YONGZHU;ZHANG ZHIFANG;SHEN GUIF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3호
    • /
    • pp.466-471
    • /
    • 2005
  • An Escherichia coli strain with high phytase activity was screened from pig excreta. The phytase gene, appA, was amplified by PCR technique. To obtain large amounts of appA phytase, the appA gene was subcloned into the baculovirus transfer vector pVL1393 under the control of the Polyhedrin promoter. The recombinant baculovirus harboring the appA gene was obtained after co-transfection and screening. The early $5^{th}$ instar larvae of silkworm were infected with the recombinant virus. Using this system, the appA phytase was overproduced up to 7,710 U per ml hemolymph. SDS-PAGE analysis revealed the baculovirus-derived appA phytase to be approximately 47 kDa in size. The optimal temperature and pH of the expressed phytase were $60^{\circ}C$ and pH 4.5, respectively. The enzymatic activity was increased by the presence of 1 mM $Ca^{2+}$, 1 mM $Mn^{2+}$, or $0.02\%$ Triton X-100.

Characterization of Programmed Cell Death in the Silkworm Thoracic Ganglia during Postembryonic Periods

  • Kim, Soon-Ok;Kim, Mi-Young;Song, Hwa-Young;Kim, Jin-Hee;Kang, Pil-Don;Lee, Bong-Hee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1권1호
    • /
    • pp.23-31
    • /
    • 2007
  • Programmed cell death was characterized in the silkworm thoracic ganglia TG1, TG2 and TG3 during postembryonic periods by TUNEL assay. Apoptotic cells were detected in the three TGs of all larval stages except for day-1, 2 1st instar larvae, in which no apoptotic cells were found. From day-7 5th larva, the numbers of apoptotic cells were dramatically increased and peaked on day-1 pupa and day-2 pupa and then abruptly decreased. Apoptotic cells finally disappeared in day-1 adult. In-vivo injection of 20-hydroxyecdysone (20E) into day-8 5th larva resulted in a striking decrease of apoptotic cells. Actinomycin D (Act D) or cycloheximide (CHX), injected into hemolymph of day-8 5th larva, resulted in a decrease of apoptotic cells in the three TGs. Injection of caspase-8 and -3 inhibitors also blocked cellular apoptosis. These results will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of cellular changes in the three TGs during metamorphosis of the insect species.

누에(Bombyx mori) 무름병을 야기하는 병원성 세균 Staphylococcus gallinarum의 동정 (Identification of a Pathogenic Bacterium, Staphylococcus gallinarum, to Bombyx mori)

  • 김길호;박영진;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79-284
    • /
    • 2002
  • 누에(Bombyx mori) 5령 유충에서 무름병 증상이 발견되었다. 세균성 병원균이 감염 누에 혈액에서 분리되었고, 본 연구에서 동정되었다. 분리된 세균을 각각의 누에 5령 유충에 $5{\times}10^{6}$ cfu(colony-forming unit) 농도로 혈강 주사되었을 때, 뚜렷한 무름병 증상을 유발시켰다. 이렇게 감염된 유충들은 접종 6일 후부터 죽기 시작하여, 10일 경과 후 처리된 유충 모두 사망하였다. Bergey의 세균동정집에 기록된 형태적 및 생리적 형질을 기준으로 이 곤충병원세균이 Staphylo-coccue gallinarum으로 판명되었다. 이 판정은 탄소원 분석 미생물동정장치($MicroLog^{\circledR}$) 분석 결과와 16S-23S r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 구조에 의해서 확인되었다. 이 세균이 발휘하는 살충기작의 일환으로서, 감염 후 누에 유충 혈구에 세포치사 효과를 주어 패혈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CHO 세포에서 누에 혈림프 유래 Storage-protein 2의 세포응집 및 세포사멸 억제 효과 (Effects of Storage-protein 2 Derived from Silkworm Hemolymph on Reduction of Aggregation and Cell Death in CHO Cells)

  • 임진혁;차현명;김지훈;최용수;김동일
    • KSBB Journal
    • /
    • 제31권1호
    • /
    • pp.66-72
    • /
    • 2016
  • Chinese hamster ovary (CHO) cells have been widely used for production of various recombinant proteins such as cytokines and monoclonal antibodies. The cell aggregation and cell death in CHO cell culture directly affect cell viability, and productivity and quality of produc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reventing effects of storage-protein 2 (SP2) derived from silkworm hemolymph on cell aggregation and cell death in CHO cell culture producing albuminerythropoietin (Alb-EPO). The viable cell density in the culture supplemented with 2 mg/mL SP2 was 1.71-fold higher than that in control culture. Increased titer of Alb-EPO was also found in the culture with SP2. Morphology of CHO cells in SP2 supplemented cultures did not differ from that of control. In addition, the cell aggregation rate of the SP2 cultures was reduced 20% compared to the control. Finally, we confirmed that the apoptosis was strongly suppressed by addition of SP2 in the cultures. These results clearly demonstrate that SP2 can be served as an effective supplement for enhancing titer of Alb-EPO via reducing cell aggregation and cell death.

천잠 세크로핀 항균펩타이드 분리 및 정제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a cecropin-like antimicrobial peptide from the japanese oak silkworm, Antheraea yamamai)

  • 김성렬;구태원;최광호;박승원;김성완;황재삼;강석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45-149
    • /
    • 2012
  • 세크로핀(cecropin)은 곤충의 체액성 면역에 있어서 효과적인 방어인자로 작용하는 항균 펩타이드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면역 유도된 천잠, Antheraea yamamai 유충 혈림프로부터 세크로핀 항균 펩타이드 분리 및 정제를 실시하였다. 먼저 항균 펩타이드를 분리하기 위해서, 면역 유도된 유충 및 정상 유충으로부터 추출된 혈림프 단백질 시료에 대한 단백질 전기영동(SDS-PAGE)를 통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정상누에 혈림프 시료에 비해 면역 유도된 혈림프 추출물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분자량 4,223.01 Da의 펩타이드 밴드를 검출하였다. 선발된 면역유도 특이적 발현 펩타이드의 특성 분석을 위해서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및 gel permeation 크래마토그래피을 수행하여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펩타이드를 성공적으로 순수 정제하였다. 정제된 펩타이드는 Edman degradation법으로 N말단 아미노산 서열을 결정하였고 다른 나비목곤충의 세크로핀과 매우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어 세크로핀으로 동정하였다. 또한 정제된 천잠 세크로핀 항균 펩타이드는 그람음성세균, 그람양성세균 및 곰팡이에 대해 폭 넓은 항균 스펙트럼을 나타냈었다.

Possible Presence of an Interleukin-6-Like Molecule in the Immunized Bombyx mori L. (Lepidoptera)

  • Kim, Iksoo;Lee, Young-Shin;Lee, Joon-Ha;Kim, Sang-Hyun;Kang, Pil-Don;Lee, In-Hee;Kim, Jin-Won;Lee, Heui-Sam;Kang, Seok-W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7권2호
    • /
    • pp.165-173
    • /
    • 2003
  • Cytokines represent an essential part of the innate immune response in mammals. Recently,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the presence of cytokine-like activities and molecules in the invertebrates such as echinoderms, tunicates, mollusks and insects. In our serial study, we investigated presence of cytokines in the silkworm, Bombyx mori, infected with several immune inducers. Western blotting analysis using rabbit anti-human cytokines showed the presence of IL-6-like molecule in the hemolymph collected at 8 and 24 hrs after infection with peptidoglycan and oligodeoxynucleotide, and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roteins was ∼45 kDa. We attempted to isolate the molecule by gel permeation HPLC,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ultra centrifugation, and immuno-dot-blot assay, but until now the effort was not much successful yet. It, however, does not appear that the IL-6-like molecule in the silkworm larvae is a mere experimental artifact happened by Western blotting analysis. Instead, further experiment on this subject probably will provide us more fruitful result as detected in other invertebrates including insects.

Molecular Cloning of a cDNA Encoding Putative Apolipophorin III from the Silkworm, Bombyx mori

  • Yun, Eun-Young;Goo, Tae-Won;Kim, Sung-Wan;Hwang, Jae-Sam;Kwon, O-Yu;Kang, Seok-Woo
    • 한국잠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잠사학회 2003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f Silkworm/Insect Biotechnology and Annual Meeting of Korea Society of Sericultural Science
    • /
    • pp.85-86
    • /
    • 2003
  • Apolipophorin III (apoLp-III) is a protypical exchangeable apolipoprotein that is abundant in hemolymph of many insect species. Its function lies in the stabilization of low-density lipophorin particles (LDLp) crossing the hemocoel in phases of high energy consumption to deliver lipids from the fat body to the flight muscle cells. But, recent studies with naive Galleria mellonella-apoLp-III gave first indications of an unexpected role of that protein in insect immune activation (Niere et al., 1999). (omitted)

  • PDF

가잠의 인공사료육에 있어서 다각체 바이러스에 대한 품종별 저항성 및 조직학적 관찰 (Histological Observations and Comparison of the Resistance to Polyhedrosis Viruses in Various Varieties of the Silkworm, Bombyx mori L., fed on Artificial Diet)

  • 강석우;임종성;손해룡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0-27
    • /
    • 1985
  • 가잠의 인고사료육에 있어서 핵다각체 바이러스 및 세포질 다각체 바이러스에 대한 품종별 저항성을 비교하고 이병잠의 각 조직에 있어서의 변화와 전기영동에 의한 체액 단백질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공시 잠품종 중 NPV에 비교적 저항성이 높은 품종은 잠107$\times$잠108 이었으며 CPV에 대한 저항성 단품종은 잠119$\times$잠120이었다. NPV를 경구접종 하였을 때 저농도(104, 105/ml)에서는 잠107$\times$잠108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낮은 치사율을 보였으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품종에 관계없이 높은 치사율을 보였다. CPV를 경구접종 하였을 경우 저농도(104, 105/ml)에서는 잠119$\times$잠120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낮은 치사율을 보였으나, 107~108/ml의 농도에서는 품종에 관계없이 높은 치사를 보였다. NPV에 감수성이 높은 조직은 지방조직진피세포, 기관피막세포 등이며 감염말기에는 진피세포와 지방조직이 완전히 파괴되어 체강중에 유리되었다. CPV의 경우는 중양의 원통세포질에만 감염되어 다각체를 형성하였으며, 일부 세포는 위염중으로 이탈하였다. NPV 이병잠의 체액 단백질 변화는 품종에 관계없이 병세의 진전에 따라 bands가 소실되거나 희미해졌다. CPV의 경우 품종에 관계없이 감염말기에도 bands의 수적인 변화는 없었으며 농도가 옅어진 1~2개의 band를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락토페린 유전자도입 piggyBac 벡터에 의한 누에 형질전환 (Germ Line Transformation of the Silkworm, Bombyx mori L. with a piggyBac Vector Harboring the Human Lactoferrin Gene)

  • 김용순;손봉희;김기영;정이연;김미자;강필돈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37-42
    • /
    • 2007
  • 락토페린 cDNA 유전자를 도입시킨 누에 형질전환 실험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사람 GI-101 세포주의 mRNA로부터 클로닝 된 락토페린 cDNA 유전자의 개시코돈 ATG와 종결코돈 TAA를 포함하는 open reading frame(2,136 bp) 영역을 확인하였다. 2. Sf9 배양세포의 조추출물 시료에 의한 Western blot 분석 결과, 락토페린으로 추정되는 약 80kDa의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 3. 누에 형질전환에 높은 전이효율과 활성을 나타내는 트랜스포존을 이용한 전이벡터 pPIGA3GFP를 개조하여 락토페린 cDNA를 삽입시킨 전이벡터 pPT-HLf를 구축하였다. 4. DNA 미량 주사법에 의한 누에 형질전환 개체의 발현 비율은 약 6.7% 정도를 나타냈다. 5. 형질전환 누에(G0) 동일한 세대간 교배 및 처리하지 않은 성충간의 역교배에 의한 차세대(G1) 개체로부터 락토페린 유전자와 동일한 크기의 2.1 kb DNA 단편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형질전환 G1 세대의 조추출물 시료에 의한 Western blot 분석 결과, 표준 락토페린 항체와 반응하는 약 80 kDa의 단백질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잠의 Vitellogenin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Vitellogenin in the Silkworm, Bombyx mori, Reared with Mulberry Leaves and Artificial Diet)

  • 윤형주;이상몽;문재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0-30
    • /
    • 1987
  • 가잠의 난황주요단백질인 vitellogenin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상엽육잠과 인공사육잠의 발육시기에 따른 저장단백질 SP1, SP2 및 vitellogenin의 변동상, JHA가 이들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과 vitellogenin의 최종산물이 vitellin의 subunit의 분자량 추정을 행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저장단백질 SP1은 자특이성이 있으며, 그 특성의 출현시기는 상엽육잠은 5령 5일, 인공사료육잠은 5령 4일이었으며, 토사 2일까지 그 특성이 유지되었다. 2. 저장단백질 SP2는 성특이성이 전혀 없는 단백질이었고, 체액 중의 소멸시기는 상엽육잠이 화용 1일, 인공사료육잠이 화용 2일이었다. 3. 화용 1일째부터 자특이성이 있는 vitellogenin이 상엽육잠 및 인공사육잠에서 다같이 출현하였으며, 발육이 진전됨에 따라 그 합성량이 점증하였다. 4. 난 vitellogenin의 subunit(vitellin-heavy chain ; VTL-H, vitellin-light chani ; VTL-L)의 분자량은 상엽육잠 및 인공사료육잠 다같이 차이가 없었으며, vitellin의 H$(VTL-H)가 186,000, vitellin의 L$(VTL-L)가 41,000이었다. 5. 상엽육잠 및 인공사료육잠에서 JHA는 5령 누에의 체액중의 SP1, 단백질량을 크게 증가시켰으며, 특히 5$\mu\textrm{g}$처리구가 가장 많이 증가되었다.

  • PDF